대전환기 정책의 키워드 또는 고신라목간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대전환기 정책의 키워드 또는 고신라목간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07 0

본문




대전환기 정책의 키워드
9791130317809.jpg


도서명 : 대전환기 정책의 키워드
저자/출판사 : 구교준,구민교,권향원,문태훈,박기성,박형준,신동면,안, 박영사
쪽수 : 340쪽
출판일 : 2023-06-15
ISBN : 9791130317809
정가 : 22000

개요: 대전환기, 정책은 무엇을 논의해야 하는가?

제1부 성 장
제1장 성장의 세 가지 모습: 경제성장, 지속가능발전, 동태적균형 상태의 발전
제2장 성장의 중요성을 되새기며
토론01 / 토론02

제2부 분 배
제1장 안심소득: 미래를 열어가는 보편적 복지제도
제2장 사라진 중산층은 어떻게 돌아올 수 있을까
토론01 / 토론02

제3부 가 치
제1장 공공가치의 개념화
제2장 사회적 가치의 재발견
토론01 / 토론02

제4부 성 과
제1장 대한민국 ‘성과주의’의 재발견
제2장 뉴노멀시대 공공부분 성과관리 재설계를 위한 소고(小考): 동적 성과관리(Dynamic Performance Management) 고찰
제3장 공공부문의 성과평가: 발견을 넘어 확인으로
제4장 한국의 사회지표 왜 좋아지지 않는가?: 성과에 대한 새로운 이해 필요성




고신라목간
9788960622531.jpg


도서명 : 고신라목간
저자/출판사 : 김창호, 서경문화사
쪽수 : 692쪽
출판일 : 2023-09-15
ISBN : 9788960622531
정가 : 46000

제1장 왕경 목간
제1절 월성해자 목간 신1번의 신검토
제2절 月城垓字 출토 목간의 몇 예
제3절 월성해자 목간 신8번의 재검토
제4절 목간과 와전명으로 본 고신라의 도성제

제2장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기초적 검토
제1절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신고찰
제2절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1)
제3절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2)
제4절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제작 시기
제5절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성촌명

제3장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성격
제1절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용도
제2절 함안 성산산성 목간으로 본 신라의 지방통치체제
제3절 함안 성산산성 城下麥 목간의 재검토
제4절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奴人
제5절 성산산성 목간의 本波ㆍ阿那ㆍ末那 등에 대하여

제4장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내용
제1절 함안 성산산성 목간 2016-W150번에 대하여
제2절 함안 성산산성 목간 2016-W155번에 대하여
제3절 함안 성산산성에서 공진물이 없는 목간
제4절 함안 성산산성에서 공진물이 있는 목간
제5절 함안 성산산성 목간 及伐尺의 소멸 시기

제5장 지방 목간
제1절 고신라 목간에 보이는 王私에 대하여
제2절 대구 팔거산성 출토 목간에 대하여
제3절 대구 팔거산성 출토 목간의 재검토
-하시모토 시게루 박사의 비판에 답함-
제4절 경산 소월리 출토 목간에 대하여
제5절 하남 二聖山城 출토 木簡의 작성 연대
제6절 부산 盃山山城 출토 목간의 새로운 해석

제6장 백제 목간과 토기 명문
제1절 부여 동남리49-2번지 출토 주요 목간에 대하여
제2절 부여 궁남지 출토 목간 315번에 대하여
제3절 나주 복암리 목간 12번에 보이는 백제 5부
제4절 부여 부소산성 출토 乙巳명 토기명문에 대하여

제7장 신라 금석문
제1절 금석문 자료로 본 고신라 왕족과 왕비족
제2절 청주 운천동사적비의 건립 연대에 대하여
제3절 신라 김공순아찬신도비의 작성 시기
제4절 儀鳳四年皆土명 기와의 또 다른 의미
제5절 太和六年명 기와의 凡자에 대하여
제6절 甲辰城年末村主敏亮명 기와의 작성 연대
제7절 청주 쌍청리 7重環濠 출토 昜吾加茀村主명 기와에 대하여
제8절 통일신라 성곽 출토 문자와에 대하여

책을 마치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