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주의 또는 태평양시대의 서막과 신대한의 꿈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11
0
본문
헌법주의

도서명 : 헌법주의
저자/출판사 : 이정호, 소명출판
쪽수 : 300쪽
출판일 : 2023-01-31
ISBN : 9791159055805
정가 : 25000
서문_ 헌법주의라는 사회적 현상
제1장
터키-투르크-돌궐, 심상적 공간, 그리고 개념
1. 역사적 근접, 지리적 거리
2. 투란(Turan)
3. 만주-한반도
4. 문화적 정체성과 개념
5. 개념사-촛불혁명, 헌법재판소, 역사적 궤적
제2장
법치국가 겸 예치국가 조선
1. 조선의 기초 법전, 경제육전(經濟六典)으로 시작하다
2. 『용비어천가』의 경천근민(敬天勤民)과 조선 조정의 ‘정(政)’
3. 통치관련 문헌과 예치(禮治)
제3장
고종 조정, 500년 기초 법전 전통과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1. 고종의 성학(聖學) 교육
2. 고종의 개화조정(開化朝廷)과 통리아문시대(1880~1894)
3. 역사적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보이는 최초의 근대적 입법
제4장
흠정홍범(洪範) 시대
1. 서고문 홍범과 근대 법전 『법규유편』
2. 흠정홍범(欽定洪範)
3. 대한제국의 『법규유편 속편』과 『법률유취성편』
4. 홍범 제1조의 자주와 독립이라는 개념
5. 광무 11년1907 『법규유찬』과 1908년 『융희 법규유편』
제5장
국가 근대화, 대한제국, 그리고 국민의 출현
1. 점진적 국가 근대화와 대한제국 예제(禮制)의 격상
2. 입헌정치는 나쁘다는 의식-1884년 갑신정변이 끼친 부정적 영향
3. 1898년 중추원 민선(民選) 의관(議官) 요구 시위에서 출현한 ‘국민(國民)’
제6장
대한제국에서 헌정(憲政) 개념 자리 잡다
1. 국가학 지식의 확산
2. 흠정헌법의 인정 여부
3. 외교적 사기(詐欺)와 국망(國亡)
제7장
삼일대혁명, 최초의 민정(民定) 헌법, 그리고 대한민국
1. 구국운동과 독립운동의 구분
2. 대한독립만세 구호의 저항성과 정치성
3.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역사 인식은 삼일대혁명
4. 1919년 4월 11일의 대한민국 헌장(憲章)과 제1차 개정된 9월 11일의 헌법
5. 민정헌법의 탄생
6. 대한민국 민국원년1919부터 대일본 항전(抗戰)을 전개하다
제8장
헌법주의의 지속성
1. 1948년 「제헌헌법」과 「87헌법」에 명시된 사회적 가치-정의, 인도, 동포애
2. 1948년 「제헌헌법」과 「87헌법」의 역사 의식
3. 우리 헌법이 기능하는 궁극적인 목적
4. 헌법주의자와 ‘올바른 기념’의 헌정사
주석
태평양시대의 서막과 신대한의 꿈

도서명 : 태평양시대의 서막과 신대한의 꿈
저자/출판사 : 고정휴, 나남출판
쪽수 : 560쪽
출판일 : 2023-05-30
ISBN : 9791192275154
정가 : 34000
책을 내며 5
서설 태평양시대가 열리다 9
1장 시대적 전환기, 주변부의 세 인물
1. 출생과 환경 43
2. 신학문 수학 74
3. 계몽의 시대 99
4. 개종과 구국 137
2장 최남선의 일본 체험: 〈소년〉과 태평대양의 발견
1. 도쿄 체류: 박문관과 대교도서관 175
2. 서울 귀환: 신문관 설립과 〈소년〉 창간 197
3. “해상대한사” 분석 1: 해사사상과 태평대양의 발견 235
4. “해상대한사” 분석 2: 도국의 천직과 반도의 천직 252
5. 제국과 식민의 교차: 신대한의 꿈과 현실 266
3장 현순의 하와이 체험: 《포와유람기》와 태평양시대의 예견
1. 태평양을 건너다: 노동이민의 길 281
2. 《포와유람기》 분석 1: 출간 배경과 경위 293
3. 《포와유람기》 분석 2: 하와이 개관 기록 검토 303
4. 《포와유람기》 분석 3: 한인공동체 관련 기록 검토 312
5. 태평양시대의 예견과 하와이의 지정학 362
4장 이승만의 미국 체험: 미일충돌론과 〈태평양잡지〉 발간
1. 태평양을 건너다: 신학문의 길 373
2. “논論미일협상”과 미일전쟁설 408
3. 망국ㆍ망명과 〈태평양잡지〉 발행 420
4. 초기 기사 분석 1: 제국과 식민지 관계 인식 441
5. 초기 기사 분석 2: 하와이 한인사회와 남조선론 494
에필로그 신대한의 꿈과 엇갈린 길 503
부록 521
참고문헌 530
찾아보기 550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