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 품에 기대어 또는 이어령, 우리 시대 비평의 이정표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예수님 품에 기대어 또는 이어령, 우리 시대 비평의 이정표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08 0

본문




예수님 품에 기대어
9791192404301.jpg


도서명 : 예수님 품에 기대어
저자/출판사 : A,Benedictine,Monk·,류해욱, 솔과학
쪽수 : 592쪽
출판일 : 2023-01-25
ISBN : 9791192404301
정가 : 25000

추천사
참고의 말
머리말 - 예수님 품에 기대어 마음이 마음에게 말할 때 어느 사제의 기도 일기
역자의 말 - 예수님 품에 기대어

1. 2007년
복자 콜룸바 마르미옹, O.S.B.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 첫 금요일, 성 파우스티나와 복자 바르톨로 론고 / 성 브루노 / 가장 복된 성사의 날 / 저녁 / 파티마의 기적 기념일 / 파티마의 기적 90주년 기념 / 저녁 기도 전에 / 우리 주님

2. 2008년
예수님의 거룩한 이름 / 목요일의 흠숭과 보속의 시간 / 성 안토니오 수도원장 / 성 프란친스코 살레시오 / 사제 성 요한 보스코 / 아일랜드, 노크 성모 성당에서 / 아일랜드, 노크의 성모 성당에서 / 아일랜드, D에서 / 코네티컷에서 / 흠숭과 보속의 시간 / 첫 금요일 / 성 목요일 밤 / 하느님의 자비의 일요일 / N. 주교의 경당에서 / 예수님의 승천 / 코네티컷에서 / 지극히 거룩하신 예수 성심 대축일 / 코네티컷에서 / 성 사르벨리오 마클루프 /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 /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 주교 순교자 / 십자가의 성 바오로 사제 / 교황 성 대 레오 / 대림 제 1주일의 첫 저녁기도 후

3. 2009년~2010년
성 베네딕토의 경축 이동 /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 부활 팔일 축제 화요일 / 예수 성심 대축일 전 저녁 기도 후 / 세례자 성 요한의 첫 전야기도 후에 / 대림 제 3 주일: 기쁨의 주일 / 페냐포르트의 성 라이문도 사제 / 복자 콜롬바 마리온의 죽음 기념 / 사순 전의 제 2 일요일 / 재의 수요일 전 일요일 / 성 베네딕트의 전이 축일 / 하느님 자비의 주일

4. 2011년
사순절 전 3주일 첫 번째 저녁기도 후에 / 사순 첫째 주일 / 우리의 거룩한 아버지 성 베네딕트의 전이 축일 / 우리의 거룩한 아버지 성 베네딕트의 첫 번째 저녁기도 후 / 우리의 거룩한 아버지 성 베네딕트의 두 번째 저녁 기도 후 /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일곱 가지 슬픔 / 사계 재일의 금요일,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 사제 기념일 / 성 고스마와 성 다미아노 순교자 축일 /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 / 성녀 파우스티나와 복자 바르토로 론지 / 성 브루노 사제 /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 / 나의 사제직의 25주년 기념일, 성녀 제르트루다 동정

5. 2012년~2016년
성령강림 대축일 / 소 수도원에서 / 성 주간 세족례 목요일 / 성령강림 후 월요일 / 승천 목요일 / 성 목요일 세족례

부록 - ‘예수님 마음 안’의 기도




이어령, 우리 시대 비평의 이정표
9791192964454.jpg


도서명 : 이어령, 우리 시대 비평의 이정표
저자/출판사 : 홍래성, 파람북
쪽수 : 684쪽
출판일 : 2023-07-27
ISBN : 9791192964454
정가 : 28000

추천사 004
책머리에 006

제1부 이어령의 문학비평
Ⅰ. 서론 014
1. 연구의 필요성 014
2. 연구사 검토 024
3. 연구 시각 및 순서 033
Ⅱ. 비평적 사유의 배경 041
1. 비평 지면의 확대 및 신진 문인들의 등장 042
2. 초기 소설에 담긴 내면풍경과 문학비평으로의 전환 051
Ⅲ. 이상(李箱)을 통한 주체성의 형성 079
1. 이상이라는 매력적인 대상과 이를 바라보는 다른 관점들 080
2. 이상을 토대로 이상을 넘어서기 109
Ⅳ. ‘저항의 문학’의 네 가지 계열들 154
1. 새로운 문학을 위한 선언의 퍼포머티브 157
2. 기성들을 향한 도전 190
3. 새로운 문학(담)론의 모색 255
4. 비평 방법에 대한 과학적 탐구 286
Ⅴ. 4 ·19혁명 이후의 변화 양상 316
1. 칼럼니스트, 에세이스트, 그리고 편집자로서의 성가(聲價) 318
2. 세대의 재설정 및 문학에 대한 입장 변화 337
3. 불온시 논쟁과 전후세대 비평(가)의 퇴장 370
Ⅵ. 결론 417

제2부 이어령의 문화비평
전후세대 지식인의 눈에 비친 ‘현대(세대)-한국(인)-서양’
: 이어령의 ≪경향신문≫ 연재 에세이 〈오늘을 사는 세대〉,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바람이 불어오는 곳〉을 대상으로 428
1. 서론 428
2. 퍼블릭 코멘테이터(public commentater)로의 전신(轉身) 432
3. 서양의 전후세대를 거쳐 한국의 전후세대에 다가가기, 혹은, 세대론을 통한 자기 정위(正位) 찾기의 모색 ─ 〈오늘을 사는 세대〉의 경우 442
4. 한국의 순수한 자화상 그리기, 혹은, 한국의 문화 개선을 위한 반성적 성찰 ─ 〈흙 속에 저 바람 속에〉의 경우 459
5. 환상이 아닌 실제의 서양 찾아 나서기, 혹은, 기행을 통한 참고점 제시의 양상 ─ 〈바람이 불어오는 곳〉의 경우 484
6. 결론 501

일본이라는 아포리아와 마주하기
: 『축소지향의 일본인』, 그리고, 그 앞뒤에 놓인 것들 504
1. 머리말─『축소지향의 일본인』의 탄생 배경 504
2. 『축소지향의 일본인』 이전의 대일본관(對日本觀) 509
3. 『축소지향의 일본인』과 이어령의 내면풍경 518
4. 맺음말─『축소지향의 일본인』 그 이후 551

디지로그, 생명자본주의,
새로 쓰는 한국문화론의 행방에 대하여 554
1. 들어가며 554
2. 형용모순적 사유의 배경 557
3. 새 시대를 위한 서언·선언의 기획이자 새 시대에 알맞은 한국인의 문화적 적합성 찾아내기의 시도 570
4. 나가며 597

지성과 영성 그 문지방 사이에서
: 이어령의 기독교적 메시지 좇아 읽기 599
1. 프롤로그 599
2. 기독교적 메시지가 지닌 의미와 특징에 대하여 605
3. 에필로그 633

부록
마을 639
肖像畵 640
文學은 나의 慾求 當選作 모쓴 것이 遺憾 645
幻 646
「마호가니」의 季節 658
東洋의하늘(上) -現代文學의 危機와그出口- 662
東洋의하늘(下) -現代文學의 危機와그出口- 666
참고문헌 669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