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 전통수리농업유산 또는 내 삶의 이야기를 쓰는 법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51
0
본문
의성 전통수리농업유산

도서명 : 의성 전통수리농업유산
저자/출판사 : 한국농어촌유산학회 글/사진 · 박윤호 , 구진혁 , , 대원사
쪽수 : 251쪽
출판일 : 2023-11-16
ISBN : 9788936922627
정가 : 28000
ㆍ 머리말
농업유산을 활용한 농촌 발전에 의미 있는 기여가 되길 바라며
1 농업유산의 의미
농업유산
농업유산의 개념과 의미 | 문화유산 등 다른 제도와의 차별성
국가중요농업유산
국가중요농업유산의 도입 배경 | 국가중요농업유산의 지정 기준과 지정 현황
세계중요농업유산
세계중요농업유산의 도입 배경과 추진 경과 | 세계중요농업유산의 지정 현황 | 세계중요농업유산의 지정 기준과 절차 | 세계중요농업유산의 최근 동향
농업유산의 보전과 미래
농업유산 보전을 통한 지역 활성화 가능성과 방향 | 농업유산의 동적 보전과 플레이스 마케팅
2 의성의 과거, 현재, 미래
의성의 지리
의성의 역사
의성의 역사 | 금성산 일대의 농업 역사 | 불리한 환경 극복을 위한 수리농업의 시작 | 의성의 수리 시설 형성 및 발달
의성 사람들
의성의 인구 분포 | 의성 사람들의 생계유지
의성 공간 특성
의성의 토지 이용 | 농업유산 연계 자원
의성의 미래
3 의성 수리 시설
수리 시스템의 특성
지형과 물의 흐름을 살펴 수리 시설 축조 | 저수지 축조 기술 | 전통 수리 시설의 지혜로운 물 관리
의성 저수지의 분포 현황과 특성
의성의 저수지와 둠벙 | 주민들이 관리하는 저수지
금성산 일대 수리 시설 분포 현황과 특성
저수지 분포 특성과 관리 주체 | 못종과 저수지 역사 | 다양한 크기의 저수지
4 지속 가능한 공동체, 수리계
수리계 구성과 활동
수리계의 구성 | 수리계 운영 | 수리계 활동 | 금성면 운곡리의 수리계 활동 사례
농민의 삶이 살아 있는 농업문화
고된 농민의 삶을 지탱해 준 소리문화 | 가뭄 극복과 풍년을 염원하는 전통 의례 전승
5 의성 전통수리농업 시스템의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
의성 전통수리농업 시스템의 생물다양성
생물다양성과 농업유산 | 의성 전통수리농업 시스템의 생물다양성
의성 전통수리농업 시스템의 종 다양성
식물종 현황 | 동물종 현황
의성 전통수리농업 시스템의 생태계 서비스
농업유산과 생태계 서비스 | 의성 전통수리농업 시스템의 공급 서비스 | 의성 전통수리농업 시스템의 조절 서비스 | 의성 전통수리농업 시스템의 문화 서비스 | 의성 전통수리농업 시스템의 부양 서비스
6 의성의 경관
의성의 경관 구조
산지와 평지가 조화된 복합 경관 형성
전통수리농업 경관
열악한 농업환경을 극복한 전통수리농업 경관 | 금성산 일대 ‘못-농경지-마을’이 조화된 농업유산 경관 | ‘마늘-벼농사’ 중심의 평야지 이모작 농업 경관 | 골짜기를 따라 작은 저수지가 연계된 수(水) 경관
농업 활동 속 형성된 마을 경관
300년 이상 역사가 깃든 산수유 꽃피는 마을 | 주민 생계유지를 위한 지혜의 산물 ‘마늘 건가 시설’ | 마늘 농업 과정이 형성된 문화 경관
화산과 고대국가의 흔적이 있는 역사 경관
고대국가 조문국의 문화를 느낄 수 있는 역사 경관 | 백악기 공룡의 흔적을 찾을 수 있는 지질공원 | 목화 재배를 기념하는 문익점 면작 기념비
7 의성 농업유산의 브랜딩 전략
브랜드란 무엇인가
브랜드 어원 및 개념 | 브랜드 개념 | 브랜드 구성 요소 | 지역 브랜드 | 농산물 브랜드
농업유산 브랜드 사례
청산도 농업유산 브랜드 | 제주 밭담 농업유산 브랜드 | 하동 전통차 농업유산 브랜드
농업유산 브랜드 인증제 사례(일본 사례 중심으로)
일본 농업유산 브랜드 인증제 도입 현황 | 농업유산 브랜드 인증제 사례(1) 일본 시즈오카 농업유산 | 농업유산 브랜드 인증제 사례(2) 일본 미야기현 농업유산 | 농업유산 브랜드 인증제 사례를 통한 시사점
의성 농업유산 브랜드 가치 향상 전략
의성 농업유산 브랜드 인지도 강화 | 의성 농업유산 브랜드 상품 및 관광 프로그램 개발 | 의성 농업유산 브랜드 경쟁력 강화 | 농업유산 브랜드 인증제 도입
8 의성 농업유산과 관광
농업유산관광의 의미
전통수리농업 시스템과 지역 관광
에코뮤지엄 개념의 도입 | 지역관광자원과의 연계
전통수리농업 시스템의 경제적 가치
9 농업유산의 지속가능성
주민 참여를 통한 지속 가능한 지역 상생
의성의 주민 거버넌스(Governance) | 농업유산과 지질공원이 함께하는 주민 참여
의성 전통수리농업유산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모색
금성산 에코뮤지엄 조성 | 금성산 에코뮤지엄 거버넌스 구축 | 산학관 협동, 지속적 연구 및 유지 관리 체계 구축 | 각종 지원 방안 모색
ㆍ 참고 문헌
내 삶의 이야기를 쓰는 법

도서명 : 내 삶의 이야기를 쓰는 법
저자/출판사 : 낸시 슬로님 애러니, 돌베개
쪽수 : 356쪽
출판일 : 2023-03-31
ISBN : 9791192836089
정가 : 18500
서문
1. 시작은…
2. 왜 쓰는가
3. 불확실성
4. 당신 삶의 맨 처음으로 돌아가서 시작하지 않아도 된다
5. 집이 깔끔하다면 그건 당신이 글을 쓰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6. 어떻게 시작하건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쓰라
7. 때로는 살살 흔들리는 정도가 아니라 완전히 뒤흔들려야 한다
8. 영혼의 과제
9. 당신과 다르다고 생각하는 누군가에 대해 쓰라(그런데 당신이 생각하는 만큼 그렇게 다르지 않을 수도 있다)
10. 분기점과 압력
11. 무언가를 거부하면 그 안에 담긴 선물도 받을 수 없다
12. 팬 달구기
13. 같은 이야기를 다르게 써보자
14. 모든 사람이 스토리텔링 재능을 타고나지는 않는다
15. 독자가 책을 읽을 때 당신은 그 자리에 함께 있지 않다
16. 통찰
17. 때로는 무언가가 부서질 때 우리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18. 당신의 이야기는 많은 변곡점에 맞닥뜨리게 될 것이다. 즐거움에서 고통으로, 그리고 다시…
19. 우연을 그냥 지나치지 마라
20. 전문가가 되지 마라: 전문가가 되라
21. 금기시되는 주제를 회피하지 마라
22. 기록하기, 기록하기, 기록하기. 제발 일기를 쓰라
23. 당신은 기자가 아니다
24. 책으로 출간되기를 기대하지 마라: 책으로 출간되기를 기대하라
25. 치마, 셔츠, 재킷에는 주머니를 항상 양쪽에 달라
26. 고독
27. 관점
28. 애도
29. 당신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라
30. 흐르는 피를 종이에 옮기라
31. 타이밍과 아슬아슬한 경계
32. 한 문장
33. 이야기가 숙성될 시간을 주자
34. 남의 말을 엿듣는 사람이 되자
35. 대화문 활용하기
36. 다른 무엇보다 나의 치부를 드러내는 것이 우선이다
37. 독자를 상대로 속임수를 쓰지 마라
38. 기타 등등 그리고 그 외 다수
39. 실패의 가능성을 받아들이라
40. 자, 이제 성공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41. 시각화
42. 그냥 일기를 전부 모아서 책으로 내면 안 되나요?
43. 글쓰기 워크숍에 참가하라
44. 분노
45. 이야기는 시멘트 바닥을 뚫고 뻗어나간다
46. 지금의 당신을 만든 무언가에 대해 쓰라
47. 읽고, 읽고, 또 읽으라
48. 편지: 쓰라
49. 에세이
50. 하나도 빠뜨리지 말고 전부 쓰라
51. 인용하기
52. 내 기억이 흐릿하다면?
53. 고통스러운 부분을 건너뛸 수는 없다
54. 때로는 의식의 전환을 위해 외부의 이야기가 필요할 때도 있다
55. 치유를 위한 글쓰기
56. 자신이 쓴 글을 소리 내 읽으라
57. 자전적 에세이를 쓰는 데 작업실은 필요 없다
58. 이렇게 써도 된다고? 이런 것에 대해?
59. 이야기에서 위기가 끊임없이 이어지면 버거워진다
60. 유머
61. 이야기가 앞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 아름다운 글
62. 다시 쓰기가 당신 글의 진짜 출발점이다
63. 말하지 말고 보여주라는 글쓰기 조언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64. 우리가 자기 자신에 대해 스스로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들
65. 블로그에 자전적 에세이를 연재하면 안 될까?
66. 상층부를 공략하라
67. 자신이 원하는 것을 쟁취하기 위해 싸우라
68. 끝을 향해 나아가는 결말
69. 끝
감사의 말
추천사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