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라는 봄 또는 중세를 넘어 근대를 품은 조선
땅끝
2025-01-04 07:51
213
0
본문
그대라는 봄

도서명 : 그대라는 봄
저자/출판사 : 이영숙, 숨
쪽수 : 144쪽
출판일 : 2021-11-29
ISBN : 9791188511211
정가 : 12000
벚나무 가지마다 꽃을 피우고
벚꽃·12 / 봄날·13 / 행복한 봄·14 / 봄·15 / 4월·16 / 사랑 우산·17 / 꽃비·18 / 행복방정식·19 / 3월을 보내며·20 / 그대라는 봄·21 / 봄비·22 / 3월·23 / 봄밤·24 / 봄날·25 / 봄 햇살·26 / 봄 하늘·27 / 6월·28 / 텃밭·29 / 커피·30 / 웃음꽃 천사·31 / 5월·32 / 꽃눈·33 / 나무·34 / 노을·35 / 6월의 노래·36
무성한 여름 나뭇잎 같은 그리움
도라지꽃·38 / 입하·39 / 민들레·40 / 만남·41 / 비·42 / 그리운 하늘·43 / 등산·44 / 마스크·45 / 수박·46 / 포도·47 / 새벽비·48 / 비 오는 날·49 / 호박·50 / 능소화·51 / 채송화·52 / 나비·53 / 여름 밤·54 / 사랑의 가족·55 / 수국·56 / 여름 나들이·57 / 옥수수·58 / 산딸기·59 / 담쟁이덩굴·60 / 매미·61 / 해바라기·62
가을 하늘에 적는 그대 이름
사랑으로 피운 꽃·64 / 금학산·65 / 귀가·66 / 엄마 생각·67 / 나뭇잎·68 / 행복한 마음·69 / 산책길·70 / 소나기·71 / 구절초 연가·72 / 구절초 언덕·73 / 9월의 기도·74 / 달맞이꽃·75 / 산책길·76 / 바람 불어 좋은 날·77 / 가을장마·78 / 가을 준비·79 / 천생연분·80 / 가을비·81 / 메리골드·82 / 나도 꽃·83 / 귀뚜라미·84 / 알밤·85 / 강가에서·86 / 산들바람·87 / 네잎클로버·88
겨울 커피향 설레는 아침
그대 뒷모습·90 / 사랑 하나·91 / 아침·92 / 커피·93 / 그리움 커피·94 / 그대 커피·95 / 꽈리·96 / 주유소·97 / 오후 3시 커피·98 / 의자·99 / 낮달·100 / 행복·101 / 기억 커피·102 / 행복한 커피·103 / 금요일 커피·104 / 영강 소나무·105 / 가을 커피·106 / 즐거운 버릇·107 / 연·108 / 밤비·109 / 풍경·110 / 연근·111 / 흔적·112 / 그리운 커피 3·113 / 파도·114
섬이 사랑을 만나 꽃을 피웠습니다
핑계·116 / 거리두기·117 / 아침 바람·118 / 엄마의 밥상·119 / 그대는·120 / 조약돌·121 / 바다·122 / 밤 비·123 / 행복한 꽃·124 / 정수기·125 / 즐거운 일상·126 / 콤파스·127 / 행복한 상상·128 / 신호등·129 / 가족·130 / 행복한 마음·131 / 꿈꾸는 지도·132 / 이정표·133 / 추락주의·134 / 콩깍지·135 / 단추·136 / 전화·137 / 거울·138 / 책꽂이·139 / 엄마의 시간·140
중세를 넘어 근대를 품은 조선

도서명 : 중세를 넘어 근대를 품은 조선
저자/출판사 : 최이돈, 역사인
쪽수 : 321쪽
출판일 : 2021-03-26
ISBN : 9791186828250
정가 : 18000
머리말
서론 : 조선의 역사를 보는 시각
제1부 천민론 天民論: 새국가의 꿈과 건설은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제1강 고려 말의 과제와 농민전쟁
제2강 농업생산력의 향상과 인구의 증가
제3강 재야지식인의 확대와 주자학
제4강 신진사대부의 정치개혁과 조선의 건국
제2부 공공통치: 근세적 공공통치를 어떻게 실현하였는가?
제5강 공공통치 이념의 정립
제6강 중앙집권적 정치체제와 관료제
제7강 지방정치와 수령의 지위
제3부 민생론 民生論: 중세의 신분적 경제를 어떻게 극복하였나?
제8강 과전법체제의 정비
제9강 부세제도와 국가재정의 정비
제10강 부세제도의 개혁과 상업경제의 발전
제4부 열린 사회: 어떻게 열린 신분제와 사회조직을 만들어 갔나?
제11강 신분제의 구조와 발전
제12강 신분의 상승과 신분제의 특성
제13강 지방자치제의 실현, 향약
제5부 공론정치: 백성들이 어떻게 참정권에 접근할 수 있었나?
제14강 권력구조의 변화와 대신제
제15강 성종대 사림파의 개혁정치
제16강 중종대 사림파의 개혁정치
제17강 공론정치와 붕당정치의 실현
결론 : 전환시대 조선의 성격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