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의 정치
땅끝
2023-01-16 07:53
813
0
본문
건국의 정치
도서명 : 건국의 정치
저자/출판사 : 김영수, 이학사
쪽수 : 843쪽
출판일 : 2006-04-28
ISBN : 9788987350882
정가 : 30000
머리말
제1장 고려의 가을
1. 역사로의 귀환
2. 고려의 가을
1) 원의 고려 통치: 지배와 보호의 역설
2) 원 지배하의 고려 정치: 권문세족과 탐욕의 시대
3) 코스모폴리타니즘과 고려의 개명: 성리학의 유입과 혁신 운동의 대두
제2장 개혁과 전쟁: 공민왕 대 전반기의 정치
I. 개혁
1. 공민왕 원년의 개혁과 반동: 권문세족과의 전쟁
1) 공민왕의 즉위 과정: 2전 3기
2) 개혁의 목표: 태조 왕건으로의 복귀와 ‘무일’의 정치
3) 민생 개혁: 권문세족과의 투쟁
4) 정치 운영의 개혁: 인사, 사정, 소통
5) 개혁의 장애: 개혁이냐 측근이냐
2. 개혁의 위기와 반원 정책: 조종의 법을 회복하라
1) 개혁의 중단과 친원 세력의 집권: 군주를 떨게 하는 기철 일족
2) 공민왕의 반원 정책과 독립: 너의 부모는 고려 사람이다
II. 전쟁
1. 새로운 시작: 지루한 개혁
2. 전쟁: 개혁의 실패와 신뢰의 파괴
1) 전쟁의 서막: 국가가 장차 망하겠구나
2) 제1, 2차 홍건적의 침입: 개경의 함락과 정세운의 대첩
3) 전쟁 영웅들의 처형: 정치의 슬픔과 정몽주의 비탄
4) 왕과 신하의 불신: 김용의 반란―누구를 믿을 수 있겠는가
5) 원의 침입: 덕흥군의 난과 민심 이반―누가 전하를 따르겠습니까
3. 방황: 고려의 정신적 방황―하늘의 길, 인간의 길
제3장 좌절과 실정: 공민왕 대 후반기의 정치
I. 좌절
1. 신돈의 대리 정치: ‘세상을 떠나 독립한 사람’의 정치
1) 공민왕의 정치적 좌절과 신돈의 집권 배경: 노국공주의 죽음
2) 신돈의 정치 세력 재편과 권력 강화: 유자는 나라에 가득 찬 도둑이다
3) 신돈의 개혁 정치: 노예가 말하기를, 성인이 나왔다
4) 신돈 정치의 악화
2. 공민왕의 슬픔과 타락
1) 공민왕의 유희와 토목공사: 백성은 왕의 하늘이요, 먹는 것은 백성의 하늘이다
2) 공민왕의 불교 신앙: 왕도냐 불도냐
3. 신돈의 처형
II. 실정_ 316
1. 마지막 개혁 시도
2. 타락과 암살
3. 명의 건국과 요동 정벌
4. 암흑 속의 빛: 새로운 대안 성리학
제4장 우왕 대의 폭정과 절망
1. 어둠과 빛: 권문세족 정치의 부활과 성리학의 도전
1) 제1차 권력투쟁: 우왕의 정통성에 대한 의혹
2) 제2차 권력투쟁: 성리학의 정치적 등장과 신진 유신들의 저항
3) 개혁을 위한 최후의 노력
4) 제3∼5차 권력투쟁: 친왕파의 제거와 이인임의 승리
2. 폭정: 폭군과 권신의 정치
1) 우왕의 폭정: 생존을 위한 자기 파괴와 풍자
2) 권신들의 전횡: 최영의 딜레마와 이색의 침묵
3. 위기: 외교와 국방의 실패
1) 대외 정책의 위기: 대명 관계의 악화
2) 왜구와 해적의 시대: 백성들의 절망과 메시아에의 열망
4. 대안의 발아: 칼과 성리학의 만남
1) 이성계의 정치적 부상: 전쟁, 입신, 역성혁명의 꿈
2) 유배와 혁명의 성리학: 정도전의 시련과 이성계와의 만남
제5장 혁명: 이성계의 집권과 조선 건국
I. 권신 정치의 붕괴: 최영·이성계의 연합과 무술정변
II. 요동 정벌과 위화도회군: 망국의 서막
III. 조선의 건국
1. 개혁: 특권의 전면적 해체와 재분배
1) 전제 개혁: 인정은 밭둑에서 비롯된다
2) 지방정치의 개혁: 수령이 합당하면 백성이 복을 받는다
3) 관제 개혁: 『주례』의 제도적 상상력
4) 군정 개혁: 왜구 문제 해결의 실마리
2. 폭풍의 계절: 권력투쟁과 조선의 건국
제6장 영혼의 전쟁: 유교-불교 논쟁과 ‘이단’의 발견
I. 불교의 정치사상: 법Dharma의 통치와 국가의 보호
1. 석가모니의 정치적 이상: 진실한 법의 통치와 공화주의
2. 동아시아의 불교와 정치: 왕권과 묘법의 보물
II. 이단의 탄생: 여말선초의 척불론과 이理의 에스프리―천하에는 두 도가 없다
1. 여말선초의 불교 비판: 불승은 세상의 큰 좀벌레이다
2. 불교의 정치적 지위에 관한 논쟁: 양검兩劍의 대립
3. 정치가의 불교 신앙과 정치 행위에 관한 논쟁: 불도는 왕도와 공존할 수 있는가?1
4. 기복 불교 비판: ‘기복’의 정치에서 ‘위민’의 정치로
5. 불교를 위한 변명: 오랑캐의 도도 도이다
1) 유불동도론: 유자나 불도가 다같이 조금도 다름이 없다
2) 호불론: 불교를 위한 변명
제7장 조선의 국가 원리와 조선인
1. 조선의 헌정과 제도: ‘정치적인 것’의 성찰
1) 내적 정치제도론: 정신의 제도화와 예치―백성은 가르치지 않을 수 없다
2) 외적 정치제도론: 욕망의 제도화와 정치―임금에게는 음란과 방탕이 쉽게 온다
2. 조선인: 춘추적 인간과 이理의 모험―군자는 몸을 희생하여 인을 이룬다_ 802
참고 문헌
찾아보기
도서명 : 건국의 정치
저자/출판사 : 김영수, 이학사
쪽수 : 843쪽
출판일 : 2006-04-28
ISBN : 9788987350882
정가 : 30000
머리말
제1장 고려의 가을
1. 역사로의 귀환
2. 고려의 가을
1) 원의 고려 통치: 지배와 보호의 역설
2) 원 지배하의 고려 정치: 권문세족과 탐욕의 시대
3) 코스모폴리타니즘과 고려의 개명: 성리학의 유입과 혁신 운동의 대두
제2장 개혁과 전쟁: 공민왕 대 전반기의 정치
I. 개혁
1. 공민왕 원년의 개혁과 반동: 권문세족과의 전쟁
1) 공민왕의 즉위 과정: 2전 3기
2) 개혁의 목표: 태조 왕건으로의 복귀와 ‘무일’의 정치
3) 민생 개혁: 권문세족과의 투쟁
4) 정치 운영의 개혁: 인사, 사정, 소통
5) 개혁의 장애: 개혁이냐 측근이냐
2. 개혁의 위기와 반원 정책: 조종의 법을 회복하라
1) 개혁의 중단과 친원 세력의 집권: 군주를 떨게 하는 기철 일족
2) 공민왕의 반원 정책과 독립: 너의 부모는 고려 사람이다
II. 전쟁
1. 새로운 시작: 지루한 개혁
2. 전쟁: 개혁의 실패와 신뢰의 파괴
1) 전쟁의 서막: 국가가 장차 망하겠구나
2) 제1, 2차 홍건적의 침입: 개경의 함락과 정세운의 대첩
3) 전쟁 영웅들의 처형: 정치의 슬픔과 정몽주의 비탄
4) 왕과 신하의 불신: 김용의 반란―누구를 믿을 수 있겠는가
5) 원의 침입: 덕흥군의 난과 민심 이반―누가 전하를 따르겠습니까
3. 방황: 고려의 정신적 방황―하늘의 길, 인간의 길
제3장 좌절과 실정: 공민왕 대 후반기의 정치
I. 좌절
1. 신돈의 대리 정치: ‘세상을 떠나 독립한 사람’의 정치
1) 공민왕의 정치적 좌절과 신돈의 집권 배경: 노국공주의 죽음
2) 신돈의 정치 세력 재편과 권력 강화: 유자는 나라에 가득 찬 도둑이다
3) 신돈의 개혁 정치: 노예가 말하기를, 성인이 나왔다
4) 신돈 정치의 악화
2. 공민왕의 슬픔과 타락
1) 공민왕의 유희와 토목공사: 백성은 왕의 하늘이요, 먹는 것은 백성의 하늘이다
2) 공민왕의 불교 신앙: 왕도냐 불도냐
3. 신돈의 처형
II. 실정_ 316
1. 마지막 개혁 시도
2. 타락과 암살
3. 명의 건국과 요동 정벌
4. 암흑 속의 빛: 새로운 대안 성리학
제4장 우왕 대의 폭정과 절망
1. 어둠과 빛: 권문세족 정치의 부활과 성리학의 도전
1) 제1차 권력투쟁: 우왕의 정통성에 대한 의혹
2) 제2차 권력투쟁: 성리학의 정치적 등장과 신진 유신들의 저항
3) 개혁을 위한 최후의 노력
4) 제3∼5차 권력투쟁: 친왕파의 제거와 이인임의 승리
2. 폭정: 폭군과 권신의 정치
1) 우왕의 폭정: 생존을 위한 자기 파괴와 풍자
2) 권신들의 전횡: 최영의 딜레마와 이색의 침묵
3. 위기: 외교와 국방의 실패
1) 대외 정책의 위기: 대명 관계의 악화
2) 왜구와 해적의 시대: 백성들의 절망과 메시아에의 열망
4. 대안의 발아: 칼과 성리학의 만남
1) 이성계의 정치적 부상: 전쟁, 입신, 역성혁명의 꿈
2) 유배와 혁명의 성리학: 정도전의 시련과 이성계와의 만남
제5장 혁명: 이성계의 집권과 조선 건국
I. 권신 정치의 붕괴: 최영·이성계의 연합과 무술정변
II. 요동 정벌과 위화도회군: 망국의 서막
III. 조선의 건국
1. 개혁: 특권의 전면적 해체와 재분배
1) 전제 개혁: 인정은 밭둑에서 비롯된다
2) 지방정치의 개혁: 수령이 합당하면 백성이 복을 받는다
3) 관제 개혁: 『주례』의 제도적 상상력
4) 군정 개혁: 왜구 문제 해결의 실마리
2. 폭풍의 계절: 권력투쟁과 조선의 건국
제6장 영혼의 전쟁: 유교-불교 논쟁과 ‘이단’의 발견
I. 불교의 정치사상: 법Dharma의 통치와 국가의 보호
1. 석가모니의 정치적 이상: 진실한 법의 통치와 공화주의
2. 동아시아의 불교와 정치: 왕권과 묘법의 보물
II. 이단의 탄생: 여말선초의 척불론과 이理의 에스프리―천하에는 두 도가 없다
1. 여말선초의 불교 비판: 불승은 세상의 큰 좀벌레이다
2. 불교의 정치적 지위에 관한 논쟁: 양검兩劍의 대립
3. 정치가의 불교 신앙과 정치 행위에 관한 논쟁: 불도는 왕도와 공존할 수 있는가?1
4. 기복 불교 비판: ‘기복’의 정치에서 ‘위민’의 정치로
5. 불교를 위한 변명: 오랑캐의 도도 도이다
1) 유불동도론: 유자나 불도가 다같이 조금도 다름이 없다
2) 호불론: 불교를 위한 변명
제7장 조선의 국가 원리와 조선인
1. 조선의 헌정과 제도: ‘정치적인 것’의 성찰
1) 내적 정치제도론: 정신의 제도화와 예치―백성은 가르치지 않을 수 없다
2) 외적 정치제도론: 욕망의 제도화와 정치―임금에게는 음란과 방탕이 쉽게 온다
2. 조선인: 춘추적 인간과 이理의 모험―군자는 몸을 희생하여 인을 이룬다_ 802
참고 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