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딤의 영성 또는 성경적 교회복지학 > 뉴스

본문 바로가기

뉴스

더딤의 영성 또는 성경적 교회복지학

로즈
2025-02-27 17:11 53 0

본문




더딤의 영성
9791161436326.jpg


도서명 : 더딤의 영성
저자/출판사 : 김인수 , 천인숙, 쿰란출판사
쪽수 : 248쪽
출판일 : 2021-12-10
ISBN : 9791161436326
정가 : 14000

프롤로그
김인수
천인숙

제1부 두 세계를 사는 그리스도인 / 천인숙
01 말씀은 운반하는 것이 아니라 몸에 메고 가는 것입니다_사무엘하 6장 6-11절
02 위기 시대에 살아남는 영적 관점을 아십니까?_열왕기상 17장 1-7절
03 ‘여기’와 ‘저기’의 차이를 아는 것이 여호와 이레입니다_창세기 22장 5-14절
04 아브라함의 손에 있었던 불과 칼이 우리에게도 필요합니다!_창세기 22장 6절
05 영적 보험을 해지하지 마세요_누가복음 7장 1-10절
06 문제를 분석하지 말고 주님의 의도를 파악하라_요한복음 6장 1-13절
07 말씀이 은혜인가 아니면 걸림이 되는가?_요한복음 6장 60-69절
08 더딤의 영적 함정을 뛰어넘어 미래로 들어갑시다_출애굽기 32장 1-6절

제2부 성령으로 사는 그리스도인 / 천인숙
09 불이 산을 이깁니다_사도행전 2장 1-14절
10 영적 주파수를 맞추세요_요한복음 4장 21-24절
11 마른 뼈도 하늘 군대가 됩니다_에스겔 37장 1-14절

제3부 한계를 넘어서는 그리스도인 / 김인수
12 한계 속에서 하나님을 만나는 삶_창세기 5장 28-32절
13 하나님의 기억에 의존하는 삶_창세기 8장 1-5절
14 드디어, 하나님의 뜻이 보이는 삶_창세기 8장 20-22절
15 한계를 넘어 사명으로 살아가는 삶_민수기 20장 22-29절




성경적 교회복지학
9791185637396.jpg


도서명 : 성경적 교회복지학
저자/출판사 : 조복희, 아이네오
쪽수 : 639쪽
출판일 : 2021-12-10
ISBN : 9791185637396
정가 : 25000

■ 프롤로그
성경적 교회복지를 위하여 | 4
오늘날 많은 교회와 전도자들은 “요즘 사람들은 장터 아이들처럼 피리를 불어도 춤추지 아니하고, 곡을 하여도 애통해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왜 그렇습니까?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그렇게도 많은 사람들이 주 예수를 믿으라 외치건만, 십자가 탑이 방방곡곡 하늘을 찌르건만, 왜 그들은 냉담하고 있습니까?

■ 서문
예수 그리스도의 관심과 명령 그 실천을 위하여 | 9
마태복음 22장 36절 이하에 보면 한 율법사가 예수님께 묻습니다.
“선생님이여 율법 중에 어느 계명이 크니이까?”
이 때 예수님께서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
님을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것이 크고 첫째 되는 계명이요,
둘째는 그와 같으니 네 이웃을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
하셨으니 이 두 계명이 온 율법과 선지자의 강령이니라”
이에 필자는
‘인생은 마차를 끌고 가는 수레바퀴’라 말합니다.
‘하나님 사랑’이라는 수레바퀴와
‘이웃 사랑’이라고 하는 수레바퀴를
타고 가는 마차라는 것입니다.

■ 저자소개 | 13

■ 추천사 | 교육에 대한 열정! 복지에 대한 사명란?| 14

■ 제목해설 | 성경적 교회복지학이란?| 17
신학을 전공으로 삼지 않는다 하여도 사람이라면
누구나 신학에 대해 어느 정도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신학이란 무엇인가?”, “신학은 과연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신학은 어디에서 시작된 것인가?”
결코 쉽지 않은 질문들입니다. 그러나 사람이 인생을 알기 이전에,
인생의 장에 던져져 그 의미를 찾아가듯이 사람이라면 전문가(신자)이든,
비전문가(불신자)이든 신학의 의미를 찾아가야 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교회복지 신학이란 무엇입니까?
우리는 ‘교회복지 신학’을 논하기 전 ‘학문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다시 말해 “교회복지 신학에도 학문성이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학문이 되기 위한 필수적 조건은 ‘학문의 대상’이 있어야 하고, ‘학문의 방법론’이 있어야 하며,
‘학문의 주체’가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면에서 교회복지 신학은 의심의 여지없이 대상과 방법을 소유하고 있는 학문입니다.
교회복지 신학의 주체가 하나님에 대해 알고자 하는 인간의 노력이기 때문입니다.

■ 제1부| 교회 ? 敎會 ? CHURCH | 43
돌아보기와 둘러보기 | 44

제1장 교회(敎會)와 종교(宗敎) | 46
교회와 종교 | 49
종교의 본질 | 54

제2장 교회와 성경 | 66
성경과 일반 종교의 경전(經典) | 66
인적 교리성(人的 敎理性)의 경전 | 67
신적 교리성(神的 敎理性)의 경전 | 69
성경의 특징 | 71
성경의 해석 | 74

제3장 교회와 예배 | 79
예배란 무엇인가? | 81
예배의 본질 | 89
예배의 순서 | 95
예안식일과 주일 | 104

제4장 교회와 교육 | 116
인간과 교육 | 117
교육의 내용 | 117
인간의 참 행복 | 119
교육의 나아갈 길! | 122
기독교 교육 | 125
기독교 교육의 커리큘럼 | 142

제5장 교회복지 관점에서 본 신인(神人)교회론 | 145
교회의 역사적 유래와 형태에 대하여 | 147
역사적인 교회관에 대하여 | 151
성경에 나타난 교회의 어의 | 153
교회의 본질 | 167
교회의 조직 | 172

■ 제2부| 복지 ? 福祉 ? WELFARE | 195
돌아보기와 둘러보기 | 196

제1장 하나님의 창조사건에 나타난 복지사상 | 198
안식일법(제도)에 나타난 복지사상 | 205
결혼법(제도)에 나타난 복지사상 | 212
노동법(제도)에 나타난 복지사상 | 217

제2장 계약법전과 성결법전, 신명기법전에 나타난 복지사상 | 222
계약법전에 나타난 복지사상 | 223
성결법전에 나타난 복지사상 | 233
신명기법전에 나타난 복지사상|238

제3장 예언서에 나타난 복지사상 | 251

제4장 성문서에 나타난 복지사상 | 261
현자의 빈자에 대한 복지사상 | 261
지혜 문학에 나타난 복지사상 | 262

제5장 예수 그리스도의 복지사상 | 269
1. 복지의 모형으로서 하나님 나라 | 273
2. 소외계층에 대한 예수의 관심과 명령 | 294

제6장 산상수훈에 나타난 복지사상 | 322
1. 산상수훈의 배경에 나타난 복지사상 | 323
2. 산상수훈에 나타난 복지사상 | 326
3. 새 계명 | 354

총정리 | 395
1. 하나님에 대한 분명한 인식 | 364
2. 하나님의 은혜를 근거로 한 청지기 인식 | 365
3.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유일한 방법으로 인식 | 354

■ 제3부| 교회성장 ? 敎會成長 ? GROWTH OF CHURCH | 381
돌아보기와 둘러보기 | 382

제1장 교회성장에 대한 이해 | 384
교회성장이란? | 385
교회성장의 필연성과 정당성, 그리고 당위성 | 389
교회성장의 방법 | 394

제2장 성경 속의 교회성장 | 398
교회성장의 성경적 배경 | 400
초대교회에 나타난 교회성장 | 404

제3장 교회성장과 행정 | 411
일반 행정과 경영 | 412
교회성장과 행정 | 414
교회 행정의 요청 | 416
성경에 나타난 교회 행정 | 417
교회 행정의 원동력 | 421
교회 행정의 세 가지 요소 | 424
성경적 교회 행정 실무자가 되라! | 426

제4장 교회성장과 행정의 실제 | 433
교회 행정 법규 | 435
교회 행정 조직의 실제 | 438
교회 행정과 회의 진행 | 441
회의의 원칙 | 442
회의의 성격과 기능 | 443
회의에 임하는 사회자와 회원의 태도 | 444

제5장 이제 모든 인간은 하나님께 돌아오라 | 446
1.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인간 | 448
2.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지음 받은 인간 | 452
3. 청지기로 지음 받은 역사적 존재로서의 인간 | 454
4. 더불어 살아가도록 지음 받은 인간 | 459
5. 하나님께로 돌아오라 | 463

제6장 인류 구원을 위한 뉴 프로젝트 | 472
주의 이름을 부르게 하자! | 472
우리 안의 양과 우리 밖의 양(Outside Sheep and Inside Sheep) | 481
개인예배수첩(Individual Worship Booklet) | 498

■ 제4부| 박사학위논문 ? 사회봉사를 통한 교회성장에 대한 연구 | 503

제1장 서론 504
제1절 문제제기 504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505

제2장 사회봉사에 대한 성경적 근거 507
제1절 구약에서의 사회봉사 507
제2절 신약에서의 사회봉사 520

제3장 교회의 사회봉사에 대한 신학적 근거 527
제1절 지역사회의 봉사의 책임을 진 교회 527
제2절 교회의 관점에서 바라본 지역사회 548

제4장 지역사회 봉사의 역사적 근거 556
제1절 사회봉사에 대한 역사적 이해 556
제2절 초대교회 시대 562
제3절 중세 시대 564
제4절 근세 시대 564
제5절 현대교회와 사회봉사 566
제6절 한국교회와 사회봉사 567

제5장 지역사회에 대한 선교전략 방안 572
제1절 지역사회에서의 선교의 목적 572
제2절 경기도 용인시의 지역사회 이해 592
제3절 지역사회에 대한 구체적인 봉사 사역방안 611

제6장 결론 630

참고도서 633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