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우리의 안부를 묻지 않아도 또는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20: 헌법
땅끝
2025-01-04 07:46
160
0
본문
누가 우리의 안부를 묻지 않아도

도서명 : 누가 우리의 안부를 묻지 않아도
저자/출판사 : 윤석정, 걷는사람
쪽수 : 136쪽
출판일 : 2021-01-31
ISBN : 9791191262186
정가 : 10000
1부 어둠이 어둔 살을 다 게워내도록
스물
마흔
커서의 하루
미지의 나날
어깨들
살자, 돼지
잃어버린 도장
오늘의 정류장
거미집
코끼리들
지금의 근원
절필
물고기가 헤엄친다
엉덩이
2부 시간을 뭉치면서 자라는
시적인 실업
등
아스라한 국경
얼굴의 노래
봄 편지
곡우
고백의 형식
최초의 말
봄봄
박꽃
뭉치는 시간
3부 비의 심장을 두드리는 새
말 못 할 말
밤의 병원
빨래
누가 낙타를 죽였을까
자라는 돌
우리의 음악
비의 발성법
우거진 봄
아픈 말
강의 간섭
복어는 복어다
종이 인형
로봇 0호
달 스위치
4부 아무도 모르게 찬연하다가
앉은잠
꽃의 시말서
불쌍한 인간
말 못 할 말 2
21그램
노래 아닌 노래
불춤
당연한 일
집 나간 옆집 개
항하사
당신은 누구인가
제가 지금 그렇습니다
우는 냉장고
아빠 생각
해설
야생의 음표
-노지영(문학평론가)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20: 헌법

도서명 : 코젤렉의 개념사 사전. 20: 헌법
저자/출판사 : 하인츠 몬하우프트 , 디터 그림, 푸른역사
쪽수 : 228쪽
출판일 : 2021-01-27
ISBN : 9791156121893
정가 : 15000
번역서를 내면서
Ⅰ. 헌법 I
헌법/상태/기본법
I. 서론: 근대 헌법Verfassung 개념 정의의 폭
II. 고대
1. 그리스의 Politeia : 도시국가의 질서와 국가 형태
2. 로마: ‘constitutio’와 ‘status rei publicae’
III. 중세, 그리고 근세의 단어와 개념의 사용
1. ‘Status’ 와 ‘constitutio’
2. ‘constitutio’와 ‘institutio’
3. ‘Verfassung’: “협약Vereinbarung”, “작성Abfassen”, “체계화Ordnen”
IV. 의학 영역과 “Politica”저작에서 나타나는 ‘Constitutio’와 ‘Verfassung’
1. 신체 비유와 ‘constitutio’
2. 의학에서의 ‘constitutio’
V. ‘기본법Lex fundamentalis’과 ‘헌법constitution’
1. 프랑스
a ─ 16세기의 ‘국가estat’와 군주의 기속
b ─ 사전 분야
c ─ 국법학 문헌에서의 ‘constitution’
2. 영국
VI. 문서화: ‘Verfassung’과 ‘Verfaßtes’
1. 사전 영역
2. 라이프니츠Leibniz: 국가 법전Staatstafeln의 Verfassung
VII. 소규모의 조직체와 국가적 전체 연합
1. 연합
2. 제국 관구管區Reichskreise
3. ‘왕가’와 ‘Verfassung’
VIII. ‘기본법Lex fundamentalis’과 ‘기본법Grundgesetze’
IX. ‘Status’와 제국의 국가 형태
X. 법적, 법 외적 상태로서의 이중적 Verfassung 개념: ‘국가’와 ‘Statistik’
XI. 영방국가와 란트헌법
XII. 제국의 Verfassung과 기본법들
XIII. 사전 분야와 학술적 정의定義의 추구: 조어造語의 다양성과 내용적 세분화
XIV. 바텔의 ‘Constitution’과 ‘Nation’
XV. Verfassung과 입법
XVI. 민사법과 헌법의 편찬
헌법 II
헌법/기본법
XVII. 전개 방향
XVIII. 입헌주의의 시작
1. 혁명 전의 용어
2. 영국에서 ‘constitution’의 의미
3. 북아메리카에서 근대 입헌주의의 관철
4. 프랑스에서 미국 헌법 개념의 수용
5. 독일에서 ‘Konstitution’의 의미 변화
6. ‘Konstitution’의 방어적 사용
7. 자유의 조건으로서의 형식을 갖춘 헌법
8. 헌법 개념의 실질적 풍부화
9. 헌법 개정에 대한 권리
10. 계약 이론에 대한 반작용
XIX. 헌법 투쟁의 시대
1. 기본 입장들
2. 진보의 원리로서의 헌법
3. 행정의 헌법
4. 자유 보장 수단으로서의 헌법
5. 헌법 문서의 불가피성
6. 역사적 전개의 산물로서의 헌법
7. 흠정 헌법과 협약 헌법
8. 계약론적 헌법 논증으로부터 제정법적인 헌법 논증으로의 자유주의의 전환
9. 보수주의의 헌법 국가Verfassungsstaat에로의 접근
10. 실질적, 형식적 의미의 헌법
XX. 법적 헌법의 공고화와 위기
1. 자연법과의 결별
2. 헌법의 실정화
3. 권력 관계의 표현으로서의 헌법
4. 근본 질서 또는 부분 질서
5. 헌법에 대한 국가의 우위
6. 헌법Verfassung과 실정 헌법Verfassungsgesetz의 동일성
7. 실정 헌법의 (통합) 과정론적prozedural 해체
8. 실정 헌법의 결단주의적 해체
9. 규범적 헌법과 존재 합치적 헌법
10. 규범적 헌법의 종말
XXI. 전망
옮긴이의 글
읽어두기: 주석에 사용된 독어 약어 설명
참고문헌
주석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