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원 또는 남성 성건강
땅끝
2025-02-25 12:32
44
0
본문
이방원

도서명 : 이방원
저자/출판사 : 박충훈, 도화
쪽수 : 342쪽
출판일 : 2021-03-10
ISBN : 9791190526623
정가 : 15000
책 머리에|생성(生成)과 소멸(消滅)
이방원
반격
음모
최영
풍전등화
비운의 임금
생성과 소멸
선지교의 꽃
군신동맹
새로운 나라 조선
왕자 이방원
역신과 충신
제1차 왕자의 난
골육상쟁
징검돌 임금
임금 이방원
조사의 난(亂)
동방에 뜨는 별
왕비 된 죄
서설(瑞雪) 내리다
대마도 정벌
대출정(大出征)
맹장 이종무
가고 오는 순리
태상왕 이방원
아름다운 최후
남성 성건강

도서명 : 남성 성건강
저자/출판사 : 방산옥, 한국학술정보
쪽수 : 299쪽
출판일 : 2021-04-22
ISBN : 9791168014664
정가 : 19000
제1부 생식기초지식
제1장 남성생식 _ 20
제1절 남성과학(男性科)이란 _ 20
제2절 남성 생식의학이란 _ 20
제3절 남성 성의학이란 _ 23
제4절 남성 생식기관의 구조 _ 30
제5절 남성 호르몬의 합성과 조절 _ 38
제6절 남성 호르몬의 기능 _ 39
제7절 전립선이란? _ 42
제2장 골반구조 _ 45
제1절 골반관절과 인대 _ 45
제2절 골반의분 계선 _ 46
제3절 골반강의주요장기 _ 48
제2부 전립선질병
제1장 전립선염과 분비물의 변화 _ 52
제1절 전립선염이란 _ 52
제2절 전립선염진단, 치료유형 _ 55
제3절 전립선염치료중에서 흔히 보게되는 분비물 _ 58
제4절 전립선분비물 중 레시틴(卵?脂)과 염증관계 _ 59
제5절 전립선분비물 중 과립세포와 그의의 _ 63
제6절 과립세포의정체는? _ 67
제7절 전립선결석과 전립선염의 관계 _ 73
제8절 전립선분비물에서 본 정액과 성기능 관계 _ 76
제2장 전립선염과 병원체 _ 79
제1절 전립선분비액의 검사와 주의점 _ 79
제2절 만성전립선염과 병원체 _ 85
제3절 마이코플라즈마(支原?) _ 89
제4절 만성전립선염 치료과정 중
마이코플라즈마변화 _ 98
제5절 전립선염에서 본 마이코플라즈마와
항생제의 내약성 _ 103
제6절 전립선염치료 중 질병체 변화의 의미는? _ 109
제3장 질병체가 없는 전립선염 _ 111
제1절 비세균성 전립선염 _ 113
제2절 전립선통(만성골반통증후군) _ 116
제3절 육아종전립선염 _ 125
제4장 질병체가 있는 전립선염 _ 127
제1절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 _ 127
제2절 마이코플라즈마성 전립선염 _ 129
제3절 클라미디아성 _ 129
제4절 급성 세균성 전립선염과 전립선농종 _ 130
제5절 임질 쌍구균성 전립선염 _ 133
제6절 결핵성 전립선염 _ 134
제7절 진균성 전립선염 _ 135
제8절 요충성 전립선염 _ 135
제9절 촌백충성 전립선염 _ 138
제5장 전립선의 기타 질병 _ 139
제1절 전립선비대가 아닌 만성전립선염 _ 139
제2절 전립선 낭종 _ 148
제3절 전립선 경화증 _ 151
제4절 전립선 결석 _ 153
제5절 전립선 암 _ 155
제6절 전림선 특이성항원 (PSA)이란? _ 160
제7절 전립선암의 발생빈도와 생존률 _ 162
제5장 전립선의 기타 질병 _ 139
제1절 전립선비대가 아닌 만성전립선염 _ 139
제2절 전립선 낭종 _ 148
제3절 전립선 경화증 _ 151
제4절 전립선 결석 _ 153
제5절 전립선 암 _ 155
제6절 전림선 특이성항원 (PSA)이란? _ 160
제7절 전립선암의 발생빈도와 생존률 _ 162
제3부 남성불임
제1절 정자산생과 불임원인 _ 166
제2절 수정관폐쇄성 무정자 _ 174
제3절 고환성 무정자 _ 176
제4절 역사정 _ 179
제5절 부고환염과 임신관계 _ 183
제6절 정액 액화와 불임 _ 187
제7절 정낭염과 전립선염 _ 191
제8절 전립선염과 고환미세결석증 _ 193
제9절 환경오염은 정자를 위협합니다 _ 198
제4부 생식종물
제1절 고환종물 _ 204
제2절 음경종물 _ 207
제3절 요도융기조직 _ 208
제4절 부고낭종 혹은 정액낭종 _ 209
제5부 남성보건
제1절 성에대한 지식 알아야 합니다. _ 212
제2절 요도구 분비물로 전립선염 관찰 _ 213
제3절 정자가 불임에 주는 영향 _ 214
제4절 성욕과 성기능 _ 215
제5절 소변변화 _ 217
제6절 기타변화 _ 218
제7절 전립선질병 예방 _ 220
제8절 갱년기 예방 _ 229
제9절 《크다고 뽐낸》남자아이-청춘기로부터 건강하게 _ 232
제10절 콜라는 정자양을 감소시킵니다. _ 239
제6부 성과 전신건강
제1절 방광이 젊음을 찾았습니다 _ 242
제2절 만성신염4년 _ 244
제3절 반신불수 전립선염 치료로 _ 245
제4절 고혈압 20여년 _ 250
제5절 《항문이 풀렸습니다》 _ 253
제6절 음낭수종과 음낭피부질환 _ 257
제7절 회음부 피부변화로부터 본 음낭질병 _ 262
제8절 남성갱년기인가 아니면 갱년기양 종합증인가? _ 271
제9절 전립선염 치료로 본 《남성갱년기》 _ 275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