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례 (전통예절의 법전)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의례 (전통예절의 법전)

땅끝
2023-01-16 07:50 1,510 0

본문

의례 (전통예절의 법전)
9788970300719.jpg


도서명 : 의례 (전통예절의 법전)
저자/출판사 : 주공, 자유문고
쪽수 : 668쪽
출판일 : 2004-12-27
ISBN : 9788970300719
정가 : 25000

《의례(儀禮)》란 어떤 책인가?/3

의례 서(儀禮序)/6

제1편 사관례(士冠禮第一)/22
1. 사관례(士冠禮)를 시작할 때는/22
2. 주인(主人)이 빈(賓)들에게 알리다/25
3. 의복과 관(冠)의 차림새/27
4. 관을 쓰는 사람은 남면한다/30
5. 관 씌우는 일을 마치면/33
6. 관을 쓰고 친척을 방문한다/36
7. 술로써 관례를 치를 때/37
8. 고아(孤兒)가 관을 쓰게 되면/40
9. 관례의 초청과 축사(祝辭)/41
10. 관례 때 신는 신발/44

▨ 사관례(士冠禮)의 의의(意義)/45
가. 관을 쓸 때마다 더욱 높아진다/45

제2편 사혼례(士昏禮第二)/49
1. 혼인(昏姻)하는 예절의 시작/49
2. 주인이 빈(賓)을 단술로 대접한다/51
3. 납길(納吉)과 납징(納徵)과 청기(請期)/53
4. 신랑이 장가드는 예/55
5. 신부가 신랑집에 도착하면/57
6. 혼인한 다음 날에는/62
7. 신부가 첫날을 맞이하면/63
8. 시아버지와 시어머니를 모시는 방법/64
9. 시부모가 이미 돌아가셨을 때의 혼인/67

▨ 사혼례(士昏禮)의 의의/68
가. 사혼례(士昏禮) 행사의 의의/68
나. 신랑이 친영(親迎)으로 신부를 맞이할 때/70
다. 혼인을 청하는 말/72
라. 친영(親迎)하지 못했다면/78

제3편 사상견례(士相見禮第三)/81
1. 사(士)가 서로 만나 보는 예절/81
2. 주인이 다시 만나기를 청할 때/84
3. 사(士)가 대부(大夫)를 만나는 예절/85
4. 하대부(下大夫)가 서로 만나는 예/87
5. 임금을 만나 보는 예절/88
6. 임금과 대화를 나눌 때는/90
7. 임금이 음식을 내려 주면/92
8. 관직을 그만 둔 사람이 찾아와 청하면/93

제4편 향음주례(鄕飮酒禮第四)/95
1. 향음주(鄕飮酒)의 예법/95
2. 빈(賓)과 중빈(衆賓)이 모두 따른다/97
3. 주인이 빈에게 술잔을 올리는 예/98
4. 빈이 주인에게 술을 올리는 예/101
5. 치(치)를 사용하는 법/102
6. 개(介)에게 술을 권하는 예/104
7. 개(介)가 주인에게 술을 올리는 예/105
8. 중빈(衆賓)에게 술을 올리는 예/106
9. 모두가 좌석으로 오르는 예/107
10. 악공(樂工)은 4명이다/108
11. 사정(司正)으로 임명하여 일을 맡기다/113
12. 수작(酬酢)하는 예/114
13. 빈과 개(介)에게 치를 주는 예/115
14. 편안하게 잔치를 즐기는 예/116
15. 빈(賓)이 떠날 때의 예/118

▨ 향음주례(鄕飮酒禮)의 의의/121
가. 향음주례의 해설/121
나. 중빈(衆賓)의 장(長)이란/122

제5편 향사례(鄕射禮第五)/125
1. 향사례(鄕射禮)를 알리다/125
2. 개고기국을 끓인다/127
3. 주인과 빈에게 작(爵)을 권하는 예/128
4. 빈이 주인에게 권하는 예/131
5. 주인이 빈에게 술을 권하는 예/133
6. 치(?)를 사용하는 예/135
7. 준자(遵者)를 맞이하는 예/136
8. 음악을 연주하고 악공에게 술을 주는 예/138
9. 사정(司正)을 세우는 절차/141
10. 사사(司射)가 활쏘기를 청하다/142
11. 삼우(三?)가 대기하고 사사(司射)가 시범하다/145
12. 과녁의 중앙에 적중시킬 것을 환기시키다/147
13. 화살을 살그릇에 놓아두는 일/150
14. 사사(司射)가 성적을 비교하다/152
15. 삼우(三?)가 화살을 취하는 법/153
16. 활을 쏘고 점수를 헤아리다/155
17. 대부(大夫)와 사우(射?)가 활을 쏘는 예/158
18. 사마(司馬)가 화살을 가져오라고 명령한다/159
19. 패자(敗者)가 벌주를 마시는 예/162
20. 사마(司馬)가 획자(獲者)에게 술을 주는 예/164
21. 다시 활쏘기를 청하다/167
22. 음악으로 절주를 마치다/169
23. 점수의 계산을 지켜본다/171
24. 사기(射器)를 철수하는 예/172
25. 사례에서 연회를 즐기는 일/176
26. 술과 음악을 마음껏 즐기다/177
27. 주인이 사정(司正)의 노고를 위로하다/179

▨ 향사례(鄕射禮)의 의의/181
가. 대부(大夫)는 공사(公士)로 빈을 삼는다/181
나. 향사례(鄕射禮)의 진행/183
다. 향사례에서 사용하는 것들의 의미/186
라. 예사(禮射)에서의 예/188
마. 향사례에 임금이 참여하면/191

제6편 연례(燕禮第六)/193
1. 연례(燕禮)의 준비물/193
2. 임금의 명으로 빈을 정하다/196
3. 빈에게 술을 바치는 예/197
4. 주인에게 술을 올리는 예/199
5. 임금이 주인에게 술을 내리는 예/201
6. 임금에게 술을 올리는 예/203
7. 임금이 대부에게 술을 내리는 예/205
8. 경(卿)에게 술잔을 올리는 까닭/206
9. 이대부(二大夫)에게 작을 권하는 예/208
10. 연례에서의 음악 연주/210
11. 이때부터 사정(司正)을 세운다/213
12. 사(士)에게 술을 내리는 예/214
13. 모두에게 술잔을 올리는 예/215
14. 마음껏 마시고 마음껏 즐긴다/217
15. 외국의 사신과 연음(燕飮)의 예/220

▨ 연례(燕禮)의 의의/222
가. 연례의 희생은 개고기이다/222
나. 연례(燕禮)에서의 깊은 뜻/224

제7편 대사의(大射儀第七)/227
1. 활쏘기 대회를 알리는 일/227
2. 음악 연주를 미리 준비하다/229
3. 행사에 먹을 음식을 준비하다/230
4. 개장국이 다 끓여지다/232
5. 주인이 빈에게 술을 올리는 예/234
6. 빈이 주인에게 술을 올리는 예/236
7. 방호주(方壺酒)를 수작(酬酌)하는 예/238
8. 대부(大夫)에게 술을 올리는 예/241
9. 경에게 술을 올리는 예/242
10. 주인이 대부에게 술을 드리는 예/245
11. 사정(司正)을 임명하는 절차/247
12. 활쏘기 준비가 완료됨을 보고한다/248
13. 활을 쏘아서 시범을 보이는 예/251
14. 활을 쏘게 하기 위한 절차/252
15. 활을 쏘고 끝마치는 예/255
16. 다시 활을 쏘는 예/257
17. 본격적인 활쏘기 준비/258
18. 석획자(釋獲者)가 대수를 헤아리는 것/260
19. 임금이 활을 쏘는 예/263
20. 산가지를 계산하여 보고하는 예/267
21. 패자(敗者)가 벌주를 마시는 예/269
22. 획자(獲者)에게 술을 주는 예/273
23. 석획자(釋獲者)에게 술을 주는 예/275
24. 다시 청하여 활을 쏠 때/277
25. 두 번째의 활쏘기를 마치는 예/278
26. 사기(射器)들을 정리하는 절차/281
27. 편안하게 연회를 즐기다/283
28. 공(公)이 술을 내려주는 예/285
29. 기타의 사람들에게 술을 권하는 예/287
30. 음악과 술을 마음껏 즐기다/288

제8편 빙례(聘禮第八)/291
1. 임금과 경(卿)이 합심(合心)하다/291
2. 사신으로 가기 전 사당에 고한다/294
3. 다른 나라를 지나갈 경우/297
4. 관문(關門)을 통과하게 되면/299
5. 근교(近郊)에 이르렀을 때의 예/301
6. 외조(外朝)에 이르렀을 때의 예/302
7. 빙문(聘問)의 임금에게 조빙(朝聘)하는 예/305
8. 사적(私的)인 예로 만나서 예물을 올리는 예/309
9. 빈이 찾아뵙는데 속금(束錦)을 받든다/313
10. 주국(主國)의 임금이 빈(賓)을 전송하는 예/317
11. 빙문국(聘問國)에서 예물을 하사하는 예/320
12. 빙문국(聘問國)의 임금에게 감사하는 예/327
13. 사사로이 만나는 예/329
14. 임금의 부인이 궤증(饋贈)하는 예/332
15. 임금이 행하는 사례(食禮)와 향례(饗禮)/334
16. 빈이 국경에 이르기까지의 예/338
17. 빙문(聘問)의 일을 보고하는 예/339
18. 빙국의 임금이나 부인이 죽었을 때/345
19. 빙례 도중 사자(使者) 일행이 사망했을 때/348

▨ 빙례(聘禮)의 의의/351
가. 오랫동안 일이 없으면 빙문(聘問)한다/351
나. 천자(天子)에게 조회 때 쓰는 옥(玉)/352
다. 경은 대부가 맞이하고 대부는 사가 맞이한다/354
라. 규옥(圭玉)을 받드는 자세/356
마. 단술을 접대하는 이유/358
바. 삶은 고기로만 제사한다/360
사. 연례에는 상개가 빈(賓)이 된다/364

제9편 공사대부례(公食大夫禮第九)/367
1. 임금이 열어 주는 사례(食禮)/367
2. 임금이 빈(賓)을 맞는 예/369
3. 사례(食禮)를 차리는 절차/372
4. 두 번째로 음식을 차리는 예/374
5. 재부(宰夫)가 각종 음식을 올린다/378
6. 음식을 올리고 권하는 예/380
7. 속백(束帛)과 정실(庭實)을 다시 주다/382
8. 빈이 하사받은 것에 감사하는 예/386
9. 대부가 대신 사례(食禮)를 행하다/388

▨ 공사대부례(公食大夫禮)의 의의/390
가. 사례(食禮)를 행할 때에는/390

제10편 근례(覲禮第十)/393
1. 천자(天子)를 알현하는 예/393
2. 천자가 제후에게 관사를 주다/395
3. 천자(天子)를 알현하는 초례(初禮)/396
4. 3번의 향례(享禮)를 하다/399
5. 거복(車服)과 조서(詔書)를 내리다/401
6. 흙담의 궁에서 행하는 예/403

▨ 근례(覲禮)의 의의/406
가. 규(圭)는 옥받침 위에 올려놓아야 한다/406

제11편 상복경전(喪服經傳第十一)/407
1. 상복(喪服)의 종류와 명칭/407
2. 각각에 따른 상례의 의의/410
3. 3년상(三年喪)의 도구들/413
4. 기년상(期年喪)의 도구들/415
5. 기년상(期年喪)의 범위/416
6. 그 밖의 1년 상복을 입는 범위/418
7. 여자들의 기년(期年) 상복/420
8. 여자가 기년복을 입는 경우/422
9. 대부의 기년복은/424
10. 3개월의 재최복(齊衰服)/425
11. 3개월의 재최복(齊衰服)을 입는 예/427
12. 대공(大功)의 9개월 복/429
13. 대공(大功)의 상복/430
14. 대부의 대공(大功)은/432
15. 대부가(大夫家)의 대공복(大功服)/434
16. 가늘고 성긴 베로 만든 세최상(?衰裳)/435
17. 소공(小功)의 상복은 5개월이다/436
18. 소공(小功) 5개월 복의 분류/437
19. 시마복(?麻服)은 3개월이다/440

▨ 상복(喪服)의 의의/444
가. 공자(公子)는 연관(練冠)을 한다/444
나. 임금이 형제의 복을 입을 때는/445
다. 여자가 복머리를 하는 것/447

제12편 사상례(士喪禮第十二)/449
1. 사(士)의 상례(喪禮) 절차/449
2. 임금은 사람을 보내 조문한다/451
3. 수의를 다 입히면/452
4. 의복을 진열하는 방법/454
5. 관인(管人)이 물을 긷는다/457
6. 상축(商祝)이 얼굴을 가리고 귀막이를 하다/459
7. 동당(東堂) 아래에 차려 놓다/461
8. 씻기고 염하는 예/463
9. 이때부터 제수를 올린다/464
10. 임금이 수의를 보내오면/466
11. 세숫대야를 문 밖으로 치운다/469
12. 시체를 받들고 관에 염(斂)한다/470
13. 임금이 하사한 것이 있으면/472
14. 3일 만에 성복(成服)하다/475
15. 대렴(大斂)의 전(奠)을 거두다/476
16. 초하룻날에는 수퇘지를 쓴다/478
17. 점치는 일은 총인(총人)이 관리한다/480
18. 길일을 점칠 때의 의식/482

제13편 기석례(旣夕禮第十三)/485
1. 조묘(祖廟)의 문 밖에 세숫대야를 설치한다/485
2. 관을 수레에 올린다/488
3. 승거(乘車)의 서쪽에 명기(明器)를 놓다/489
4. 건석(巾席)이 서쪽에서 기다린다/491
5. 임금이 부의로 물건을 보내다/492
6. 세발솥 다섯 개를 문 밖에 진열한다/495
7. 전인(甸人)이 중(重)을 든다/496
8. 상축(商祝)이 공포(功布)를 가지다/498
9. 조묘(祖廟)로 돌아와 곡하고 들어온다/500

▨ 기석례(旣夕禮)의 의의/502
가. 사(士)가 병이 있으면 침실로 간다/502
나. 초혼(招魂)하는 자는 조복(朝服)으로 한다/503
다. 하축(夏祝)이 쌀을 일다/504
라. 화톳불을 중정(中庭)에 밝힌다/506
마. 이미 빈소(殯所)를 차리다/507
바. 안과 밖에서 곡을 중지한다/510
사. 승거(乘車)를 대기시키다/511
아. 임금이 염(斂)을 살피다/513

제14편 사우례(士虞禮第十四)/515
1. 묘문(廟門) 밖 오른쪽에서 삶는다/515
2. 주인과 형제가 장례의 복장과 같이 한다/517
3. 좌식(佐食)에게 제사를 지내도록 한다/519
4. 시동(尸童)이 차려진 것을 취하다/520
5. 주인이 폐작(廢爵)을 씻는다/522
6. 주부가 족작(足爵)을 씻는다/524

▨ 사우례(士虞禮)의 의의/526
가. 우제(虞祭)에는 목욕하고 빗질은 하지 않는다/526
나. 씀바귀국을 사용한다/527
다. 우제(虞祭)에는 유일(柔日)을 사용한다/529
라. 삼헌(三獻)을 마치고 철거하지 않는 이유/531
마. 죽은 지 3일 만에 빈소(殯所)를 차린다/533

제15편 특생궤식례(特牲饋食禮第十五)/537
1. 특생궤식(特牲饋食)의 예/537
2. 시동을 점치고 빈을 초청하다/539
3. 다음 날 저녁에 솥을 문 밖에 진열한다/540
4. 주인이 옷을 처음과 똑같이 입는다/542
5. 축이 문 밖에서 시동을 영접한다/545
6. 주인이 각(角)을 씻는다/548
7. 주부(主婦)가 아헌(亞獻)을 한다/550
8. 빈(賓)이 삼헌(三獻)을 한다/551
9. 주인은 동쪽 계단으로 오른다/553
10. 장형제(長兄弟)가 고(?)를 씻는다/555
11. 빈이 앉아서 치(치)를 취한다/557
12. 좌식(佐食)이 산작(散爵)을 씻는다/558
13. 축이 변두(?豆)를 철거하라 명하다/560

▨ 특생궤식례(特牲饋食禮)의 의의/561
가. 그 의복은 모두 조복(朝服)으로 한다/561
나. 한 사람이 시동에게 물을 따라 준다/563
다. 시동의 도마에 올려지는 것들/565

제16편 소뢰궤식례(少牢饋食禮第十六)/567
1. 소뢰궤식(少牢饋食)의 예/567
2. 엄숙하게 진행하는 것이다/569
3. 옹인(雍人)이 솥을 닦는다/571
4. 국을 만들고 솥을 걸다/572
5. 사궁(司宮)이 아랫목에 자리를 깔다/574
6. 축(祝)이 세(洗)에서 씻는다/577
7. 축(祝)이 시동(尸童)을 맞아들인다/579
8. 시동(尸童)이 연석(筵席)에 오르다/580
9. 시동에게 다시 술을 올린다/583
10. 주인이 축(祝)에게 술을 올리다/585
11. 유사(有司)의 찬자(贊者)가 당으로 오르다/586
12. 주인이 동쪽 계단 위에 서다/588

제17편 유사(有司第十七)/591
1. 유사(有司)가 철거하다/591
2. 사마(司馬)가 양정(羊鼎)을 든다/593
3. 시동과 유(侑)가 내려간다/594
4. 희생이 도마에 오른다/596
5. 마침내 양(羊)이 도마에 오르다/598
6. 주인이 유(侑)에게 술을 따른다/600
7. 시동(尸童)이 유(侑)의 작을 받다/601
8. 사궁(司宮)이 작(爵)을 취하다/603
9. 주인이 연회석상에서 절을 한다/606
10. 상빈(上賓)이 작(爵)을 씻는다/608
11. 중빈(衆賓)에게는 문의 동쪽에서 절한다/609
12. 장빈(長賓)이 당으로 오르다/611
13. 시동이 삼헌(三獻)의 작(爵)을 올린다/613
14. 시동(尸童)이 치(?)를 가지고 일어나다/615
15. 시동(尸童)을 인도하지 않을 경우/617
16. 축(祝)이 작(爵)을 바꾸다/619
17. 주부(主婦)에게 작(爵)을 바친다/622
18. 주인이 동쪽 계단 위에 선다/624

원문 자구색인(原文字句索引)/626




image.jpg





image1.jpg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적용하기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