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케이션 사상가들 또는 한국 기독교청년회 운동사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커뮤니케이션 사상가들 또는 한국 기독교청년회 운동사

로즈
2025-04-15 09:12 3 0

본문




커뮤니케이션 사상가들
9788959064328.jpg


도서명 : 커뮤니케이션 사상가들
저자/출판사 :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쪽수 : 492쪽
출판일 : 2017-03-06
ISBN : 9788959064328
정가 : 20000

머리말 : “커뮤니케이션은 노력할 때 가능해진다” ㆍ 5

제1장 월터 리프먼 : 왜 저널리즘이 민주주의를 결정하는가?
“찰나적인 것을 통해 영원을 보도록 했다” 17 | “정치란 인간의 삶처럼 본질적으로 비합리적 현상” 19 | ‘노동 숭배’와 ‘민주주의 숭배’에 대한 비판 21 | ‘신문은 민주주의의 성경’ 25 | 민주주의의 기본 전제를 뒤흔든 『여론』 27 | 저널리즘과 미디어 연구의 초석을 놓은 『여론』 30 | 철학자 존 듀이의 진보적 반론 32 | “공중은 유령이다” 34 | “오늘은 리프먼이 나를 두렵게 만들었다” 36 | 리프먼은 과연 돈 때문에 타락한 걸까? 39 | 왜 드골은 리프먼의 『공중 철학』에 감격했는가? 41 | 텔레비전은 ‘물건을 팔아먹기 위한 매춘부’인가? 44 | 12명의 미국 대통령들과의 교제 45 | “언론인의 가장 중요한 형태의 타락은 권력자들과의 친분” 47 | ‘저널리즘의 위기’는 ‘민주주의의 위기’ 50

제2장 조지프 매카시 : 왜 언론은 매카시즘의 공범이 되었는가?
매카시즘을 탄생시킨 조지프 매카시 57 | 반공의 ‘정치적 상품화’ 59 | 6·25전쟁으로 날개를 단 매카시 62 | 매카시의 든든한 ‘빽’은 여론이었다 64 | CBS-TV 에드워드 머로와 매카시의 대결 68 | 매카시의 몰락을 부른 ‘육군-매카시 청문회’ 70 | FBI 국장 존 에드거 후버의 기회주의적 배신 72 | 매카시는 과연 반공 광신도였나? 75 | 매카시와 케네디 가문의 밀월 관계 78 | 매카시즘은 ‘우파 포퓰리즘’이었는가? 80 | 매카시를 두려워한 미국 언론 82 | ‘20세기 미국 역사상 가장 탁월한, 최악의 선동꾼’ 85 | 매카시의 “이 손안에 있소이다” 수법 87 | 매카시의 정치적 자산이 된 반(反)지성주의 89 | 매카시의 탁월한 언론 조종술 91 | 무분별한 객관주의 보도의 함정 94 | 매카시즘은 좌파의 ‘마지막 피난처’인가? 98

제3장 마셜 매클루언 : 왜 미디어가 메시지인가?
‘디지털 혁명의 시조’로 추앙 받는 매클루언 103 | 매클루언은 ‘지배계급의 앞잡이’였나? 106 | 미디어는 ‘인간의 연장(延長)’이다 108 | 미디어는 단순한 전달 도구가 아니다 111 | 왜 미디어는 마사지인가? 114 | ‘핫 미디어’와 ‘쿨 미디어’ 117 | 왜 리처드 닉슨은 존 케네디에게 패배했는가? 120 | 매클루언은 ‘우스꽝스러운 기술결정론자’인가? 124 | 기술결정론 논쟁은 수사학적 논쟁 126 | “인과적 관계를 말하면 무조건 결정론인가?” 128 | 매클루언에게 열광한 광고인과 방송인 131 | 종교적 열광과 혹독한 악평의 공존 134 | 매클루언의 오만한 태도 137 | 디지털 시대에 화려하게 부활한 매클루언 139 | 매클루언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선구자’ 141 | ‘지식인은 활자매체의 포로’ 144

제4장 자크 엘륄 : 왜 프로파간다는 일상적 삶의 조건이 되었는가?
엘륄의 다중 정체성과 다작 149 | 마르크스가 20세기에 살았다면 어떤 책을 썼을까? 151 | 미국에서 더 인정받은 프랑스 지식인 153 | 테크놀로지와 민주주의의 위기 156 | 정보와 프로파간다의 합일화 현상 159 | “프로파간다는 일상적 삶의 조건이다” 161 | “알파벳은 자유민주주의의 기초가 아니다” 163 | “대중은 자유로운 개인이라는 환상을 원한다” 167 | ‘좌파 자유주의’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 169 | “스펙터클과 찰나적인 것들이 시민을 지배한다” 171 | ‘시사적 인간’과 ‘역사의 가속화’ 175 | 엘륄은 ‘미래에 대한 증오자’이며 ‘기술공포증 환자’인가? 177 | ‘긍정적 비관주의’ 또는 ‘능동적 비관주의’가 필요하다 180 | “전 지구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라!” 182

제5장 머리 에덜먼 : 왜 정치는 ‘상징 조작의 예술’인가?
현대의 주술(呪術)정치 187 | ‘정치의 상징적 이용’ 190 | “현대 정치학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 192 | 정부의 기만성에 대한 절감이 낳은 ‘상징정치론’ 194 | “정치 언어는 정치 현실이다” 196 | 상징 조작에 불과한 리더십 198 | ‘정치적 스펙터클’과 ‘적의 창출’ 201 | 왜 극우와 극좌는 서로 돕고 사는 관계일까? 205 | ‘적대적 공생’을 위한 ‘증오 마케팅’ 207 | 정치학에서 실종된 ‘대중’의 복원을 위하여 209 | 에덜먼의 한국적 사용법 211

제6장 조지 거브너 : 왜 폭력의 공포에 떠는 사람들은 정치적으로 보수화되는가?
우리는 옛날 로마인처럼 피를 뿜는 싸움을 원하는가? 217 | 폭력으로 인해 가족을 잃은 거브너의 청년 시절 219 | ‘TV에서 묘사되는 폭력’에 대한 관심 222 | TV가 시청자의 ‘세상을 보는 눈’을 배양한다 224 | 폭력에 대한 공포가 만들어내는 ‘사악한 세계 신드롬’ 226 | 배양효과 이론에 대한 반론과 비판 229 | “미국에서는 총이 영광의 상징이었다” 231 | ‘TV 폭력 규제법’의 제정 233 | 프로그램 경고문과 ‘브이 칩(V-chip)’ 236 | 끝이 없는 ‘TV 폭력 묘사’ 논쟁 238 | “기업이 아이들에게 문화의 스토리텔러가 되고 있다” 241 | 마르크스가 오늘날 살아 있다면 어떤 책을 썼을까? 244 | 강력한 ‘사회 통제 메커니즘’으로 부상한 ‘도덕적 공황’ 246 | 만성적 현상이 된 한국의 ‘도덕적 공황’ 247 | 이젠 ‘친근한 세상 신드롬’이 문제인가? 250

제7장 레이먼드 윌리엄스 : 왜 미디어의 해방적 가능성을 포기하면 안 되는가?
한 영국 좌파의 죽음에 대한 두 가지 시선 255 | 속세를 무시하고 독선과 신비주의에 빠져 드는 문학에 대한 비판 257 | 700년간 저항과 투쟁으로 점철된 웨일스의 역사 260 | 귀족주의적 교육 시스템에 편입된 노동계급 출신의 젊은이들 263 | 윌리엄스와 홉스봄이 케임브리지에서 느낀 위화감 265 | “대중은 없다. 대중으로 보는 방법만이 있을 뿐이다” 268 | “문화는 전체적인 삶의 방식이다” 270 | ‘공통 문화’와 ‘감정의 구조’ 273 | 문화적 변화를 통한 ‘장구한 혁명’ 275 | 테리 이글턴의 윌리엄스 비판 278 | ‘참여 민주주의’는 가능한가? 281 | 윌리엄스의 문화유물론과 문화사회학 283 | 스탠퍼드 시절의 미국 텔레비전 연구 286 | 윌리엄스와 매클루언의 ‘아비투스’ 차이 288 | ‘지구촌’ 시대의 대중문화에 대한 저항 291 | “자본주의 체제하에서도 문화적 진전은 가능하다” 294 | ‘매스 커뮤니케이션 연구’를 넘어서 ‘문화연구’로 298 | 미디어를 너무 쉽게 포기하고 기존 질서에 안주하지 않았는가? 301

제8장 앨빈 토플러 : 왜 미래학자는 대중을 열광시키는 선지자가 되는가?
“우리 모두는 시간적으로 변화한다” 307 | ‘위장취업’을 통해 터득한 새로운 글쓰기 철학 310 | 『미래의 충격』을 통해 탄생한 ‘하이테크 시대의 선지자’ 312 | 토플러의 신조어 생산과 대중화 능력 307 | 토플러는 ‘영리한 미래학자’ 317 | “나는 기술결정론자가 아니다” 321 | “좌우는 산업화 시대의 유물이다” 324 | 토플러의 글쓰기 방법 326 | “좌절은 죄악이다”는 선지자적 낙관주의 329 | 미디어의 ‘탈표준화’와 ‘탈대중화’ 331 | 왜 CNN의 테드 터너를 ‘제3의 물결’이라고 했나? 333 | 왜 토플러는 뉴트 깅리치의 영웅이 되었나? 336

제9장 백남준 : 왜 조지 오웰과 러디어드 키플링을 넘어서야 하는가?
백남준의 ‘비디오아트’란 무엇인가? 343 | 백남준은 세계를 떠돌아다니며 산 세계인 345 | 우상 타파주의 작곡가 존 케이지와의 만남 348 | “팝아트를 죽여라!”고 외친 ‘문화적 테러리스트’ 351 | “브라운관이 캔버스를 대체할 것이다” 354 | “‘음악의 D. H. 로런스’가 필요하다” 357 | ‘비디오아트의 조지 워싱턴’ 359 | ‘즉각적인 지구 대학’과 ‘전자 초고속도로’ 구상 362 | 조지 오웰의 『1984』를 반박한 <굿모닝 미스터 오웰> 365 | 키플링의 인종차별주의를 반박한 <바이 바이 키플링> 367 | 35년 만의 귀국 일성, “예술은 사기다” 369 | ‘예술가는 소비문화의 전위대’ 372 | 백남준의 포스트모더니즘 375 | “예술엔 ‘건전한 하극상’이 필요하다” 379 | 백남준의 파벌주의·민족주의에 대한 거부감 381 | 백남준의 기술·언어·경제 결정론적 성향 384 | 백남준은 ‘행동하는 매클루언’ 389

제10장 테드 터너 : 왜 CNN은 ‘프런티어 자본주의’의 첨병이었는가?
‘CNN 효과’라는 신조어를 낳은 걸프전쟁 395 | 1976년 샛컴 위성 발사와 ‘슈퍼스테이션’의 탄생 398 | 1980년 6월 1일 CNN의 탄생 401 | CNN은 ‘위기 뉴스 네트워크(Crisis News Network)?’ 403 | 테드 터너의 CBS 인수 공략 407 | 미국 대통령이 되려는 꿈을 망친 우울증 410 | ‘시너지 효과’에 충실한 ‘소프트웨어’ 전략 413 | 터너는 ‘남부의 민속 영웅’ 415 | CNN 아시아 본부가 서울 대신 홍콩으로 간 이유 418 | “크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느껴보고 싶다” 421 | MSNBC와 폭스뉴스의 도전 423 | 재앙이 된 타임워너-AOL 합병 427 | ‘폭스 효과’에 압도당한 ‘CNN 효과’ 430 | 당파성이 장사가 되는 다매체·다채널 시대의 뉴스 시장 432 | 왜 CNN은 보도국을 애틀랜타에서 뉴욕시로 옮겨야 했나? 435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처럼 시작을 했다” 437 | 미국 기업가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겨준 ‘프런티어 자본주의’ 440

주 ㆍ 444 바이> 굿모닝>




한국 기독교청년회 운동사
9788936511678.jpg


도서명 : 한국 기독교청년회 운동사
저자/출판사 : 전택부, 홍성사
쪽수 : 487쪽
출판일 : 2017-03-25
ISBN : 9788936511678
정가 : 26000

머리말
발간에 부쳐/ 백낙준, 김용우

제1부 태동기(1899~1903)_청년회 창설 전의 사회 상황과 청년 동향
1. 국내의 사회 환경과 청년들의 요구 2. 창설을 위한 전문가의 조사 작업
3. 전문가의 내한과 창설의 기초 작업 4. 미국 안의 청년운동과 한국에 끼친 영향

제2부 창설기(1903~1906)_황성기독교청년회의 창설과 민족사적 의의
5. 기독학생회의 창설과 그 주변 6. 황성기독교청년회의 창설과 그 구성 및 정신
7. 일본의 침략과 민족의 항거 8. 독립협회 운동의 계승자 9. 회관 마련과 사업의 착수
10. 미신화된 YMCA의 신흥 세력

제3부 회세 확장기(1906~1909)_조직의 증대와 사업의 확장
11. 회원의 급증과 연합 세력 형성 12. 신교육으로 사회 혁신 기도
13. 사업 확장과 새 회관의 건립 14. 새 지도 이념의 설정·조직·예산 및 사업 계획
15. 일본유학생 사업과 민족 자립의 열망

제4부 항일 투쟁기(1909~1913)_침략과 불의에 대한 민족적 항거
16. YMCA 안에까지 파고든 침략의 마수 17. 더 강화되는 YMCA의 힘과 슬기와 용기
18. 침략에 대한 학생운동의 조직화 19. 105인 사건 때의 항거
20. 유신회 사건 때의 항거 21. 명칭과 헌장 개정에 대한 항거

제5부 전국 조직기(1913~1916)_전국 연합회의 조직과 학생운동
22. 이상재 총무 취임과 공업교육 23. 자립 운영과 청소년 사업
24. 학생운동과 전국 연합회의 조직

제6부 독립운동과 민중계몽기(1916~1920)_무단정치하의 독립운동과 민중계몽
25. 윤치호 총무 취임과 체육관 준공 26. 총독부의 교육 탄압과 일부 교육사업의 정비
27. 실업교육과 체육사업을 통한 실력 배양 28. 민중계몽에 의한 3·1운동 기반 확립
29. 재일 한국 YMCA와 2·8선언 30. 3·1운동과 YMCA 정신

제7부 국제 활동기(1920~1925)_민족자결주의와 세계 조류 속의 한국
31. 미국 위원단의 방문과 제2차 독립운동 전개 32. 신홍우 총무의 취임과 그 주변
33. 지방청년회의 조직과 학생운동의 확장 34. 한국 YMCA의 독립을 위한 해외 활동
35. 범태평양 민족 대표 파송과 국제 활동 36. 각종 사업의 개척과 민족운동의 구축

제8부 민족 교회 육성과 사회 운동기(1925~1931)_외래 사조 속의 민족주의 운동
37. 이질적인 외래 사조의 등장 38. 제1차 농촌 조사와 3대 강령 발표
39. 농촌운동의 기본 계획과 국제 제휴 40. 농촌사업 개시와 교계 대표자 협의회 소집
41. 제2차 농촌 조사와 사업 확장 42. 공산당의 파괴 공작과 신간회
43. 민족적 각성과 독립운동 44. 민족 교회의 육성운동

제9부 수난과 암흑기(1931~1945)_민족 생존을 위한 결사 투쟁
45. 정치적 탄압과 농촌사업의 수난 46. 적극신앙단 운동을 통한 항거
47. 홍업구락부 등 지하운동을 통한 항거 48. 세계로 향한 유일한 창문이 닫히는 고통
49. 태평양전쟁에 휩쓸려

참고문헌/ 찾아보기/ 발간사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