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을 위한 자연과학 365 2학기 또는 R&D지원사업 200%활용하기
로즈
2025-04-15 09:12
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회 연결
본문
초등학생을 위한 자연과학 365 2학기

도서명 : 초등학생을 위한 자연과학 365 2학기
저자/출판사 : 자연사학회연합, 바이킹
쪽수 : 216쪽
출판일 : 2017-07-20
ISBN : 9788964943038
정가 : 10800
이 책을 읽는 여러분께
이 책을 활용하는 법
생물은 어떻게 분류할까요?
7월
1일 태양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요? / 2일 바닷물고기와 민물고기는 무엇이 다를까요? / 3일 나무는 어떻게 우뚝 서 있을까요? / 4일 빛으로 자기 그림자를 지우는 심해어 / 5일 몸을 빼앗아 조종하는 생물 / 6일 생물의 90% 이상이 멸종했던 시기 / 7일 보디가드를 고용하는 똑똑한 마카랑가 나무 / 8일 고릴라와 침팬지 중에 누가 더 힘이 셀까요? / 9일 모기는 왜 피를 빨아 먹을까요? / 10일 이끼라고 가만히 있지만은 않아요! / 11일 돌멩이는 왜 동글동글할까요? / 12일 따개비는 조개가 아니라고요? / 13일 작디작은 흡혈귀 등에모기는 누구? / 14일 물 위에서도 땅 위에서도 잘 자라는 은행이끼 / 15일 게가 만드는 모래 경단의 비밀 / 16일 움직이지 않고 햇빛을 피하는 동물 / 17일 콩 위에 알을 낳는 영리한 콩바구미 / 18일 벌레에서 버섯이 자라나요 / 19일 활유어는 민달팽이? 물고기? / 20일 파도는 어떻게 생겨요? / 21일 암컷 공작은 왜 화려하지 않고 수수할까요? / 22일 물고기인데 물에 빠진다고요? / 23일 사이좋게 지내는 것이 이익이에요 / 24일 독 없는 나비가 독 있는 나비를 흉내 내요 / 25일 강에 금이 있다고요? / 26일 빨리 죽는 해파리와 다시 어려지는 해파리 / 27일 모래사장과 모래 언덕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 28일 신경도 근육도 없는 판형동물 / 29일 장거리 비행을 하는 작은빨간집모기 / 30일 히치하이크하는 조개가 있다고요? / 31일 공룡만 화석으로 남는 것이 아니에요
8월
1일 덫을 만들어 곤충을 유인해 보세요 / 2일 다리로 숨을 쉬는 게가 있다고요? / 3일 밀물과 썰물은 왜 일어날까요? / 4일 꿀벌은 특별한 이유로 춤을 춰요 / 5일 복날에 먹는 보양식은? / 6일 가시 돋친 거대한 잎을 가진 가시연꽃 / 7일 누에는 자연에서 스스로 살지 못해요 / 8일 공룡의 모습이 점점 변해요? / 9일 바닷물을 소금기만 빼고 마실 수 있을까요? / 10일 식물이 벌레를 잡아먹는대요! / 11일 산은 어떻게 생길까요? / 12일 여름철 강에 나타나는 끈질긴 흡혈 곤충 / 13일 대나무는 꽃을 피우고 숲 전체가 시들어요 / 14일 몸을 쪼개 수를 늘리는 바다 동물 / 15일 구름은 왜 땅에 떨어지지 않을까요? / 16일 세계에서 가장 큰 꽃 자이언트 라플레시아 / 17일 다양하게 생긴 곤충의 몸 / 18일 모래사장에 득실거리는 눈에 보이지 않는 생물 / 19일 덩굴식물은 어느 방향으로 감아 올라갈까요? / 20일 동물도 더우면 땀을 흘릴까요? / 21일 먼 옛날의 바다는 붉은색이었다고요? / 22일 잘 떨어지지 않는 진드기의 비밀 / 23일 13년 매미와 17년 매미 / 24일 어떤 곤충이 독을 가졌을까요? / 25일 서핑을 잘하는 조개 / 26일 해변에 사는 것은 힘들어요 / 27일 유충에게 거미를 먹이는 대모벌 / 28일 수벌은 침을 쏘지 않는다고요? / 29일 모닥불의 재를 좋아하는 이끼의 비밀 / 30일 성게도 뼈가 있을까요? / 31일 늦여름에 해파리가 출몰하는 이유는?
9월
1일 사람과 가장 비슷한 동물은? / 2일 꽃가루는 시대를 알 수 있는 타임캡슐 / 3일 제일 멋쟁이 생물은? / 4일 샘물과 연못 물은 어디에서 왔을까요? / 5일 상어와 가오리는 어떤 점이 다를까요? / 6일 개미와 함께 살거나, 개미를 잡아먹는 나비 / 7일 태풍은 왜 올까요? / 8일 세계에서 가장 작은 식물 분개구리밥 / 9일 바다의 빨간 도깨비와 파란 도깨비 / 10일 벌의 독은 왜 강할까요? / 11일 우리나라에서도 공룡 화석을 찾았어요 / 12일 이빨이 있는 나방이 있다고요? / 13일 꽁치가 가을에 맛있는 이유는? / 14일 동물과 열매의 깊은 관계 / 15일 제일 장수하는 동물이 조개라고요? / 16일 무당거미가 노란색 줄무늬를 가진 이유 / 17일 도미의 몸속에 또 도미가 있다고요? / 18일 곤충의 더듬이에는 감지기가 달려 있어요 / 19일 물이 돌과 지층을 깎을 수 있는 이유는? / 20일 이빨이 없는 새는 어떻게 먹이를 소화할까요? / 21일 공벌레는 바다에서 왔어요 / 22일 우리와 가까운 생물 중 가장 위험한 말벌 / 23일 석탄의 기원은 먼 옛날의 거대 삼림? / 24일 심해에는 거대한 단세포생물이 있어요 / 25일 나비와 나방은 잎의 맛을 다리로 느껴요 / 26일 지구 상에서 가장 큰 생물은? / 27일 알이 아니라 새끼를 낳는 물고기가 있어요 / 28일 음악은 언제부터 생겼을까요? / 29일 미국의 숲을 구한 늑대 / 30일 꽃가루는 범죄 사건 해결의 중요한 단서!
여러 가지 모양의 구름을 관찰해 볼까요?
10월
1일 밤바구미는 입이 아주 길어요 / 2일 꽃가루 예보는 어떻게 하는 것일까요? / 3일 해류에 휩쓸리는 사멸회유어 / 4일 식물이기를 포기한 식물의 수수께끼 / 5일 곤충을 먹어 본 적 있나요? / 6일 먹는 것을 잊어버린 새가 숲을 넓혀요 / 7일 우산이끼의 앞면과 뒷면 이야기 / 8일 붉은 깃털은 좋은 수컷이라는 증거 / 9일 헛수술로 곤충을 유혹하는 닭의장풀 / 10일 인류는 물고기를 언제부터 먹었을까요? / 11일 미국 대륙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누구? / 12일 동물은 맛을 어떻게 느낄까요? / 13일 나비와 나방이 숨을 쉬는 방법 / 14일 가을볕을 좋아하는 꽃무릇 / 15일 거미는 어떻게 거미줄을 칠까요? / 16일 버섯은 몇 종류가 있는지 알 수 없어요 / 17일 바다에 사는 큰턱벌레 / 18일 시체에 모여드는 구더기의 활약 / 19일 새로 생긴 섬에는 어떻게 식물이 생길까요? / 20일 지상에서 가장 강력한 미생물의 독 / 21일 철새처럼 긴 거리를 나는 왕나비 / 22일 물고기는 고통을 느낄까요? / 23일 세계에서 가장 큰 나비와 가장 작은 나비 / 24일 멀리 날기 위해 몸이 변하는 철새 / 25일 노린재는 냄새를 구분해서 사용해요 / 26일 곤충의 오줌이 다른 곤충을 키워요 / 27일 꽃을 일제히 피우는 열대 지방의 나무 / 28일 캄캄한 밤의 사냥꾼 올빼미의 놀라운 비밀 / 29일 태양이 아니라 지구를 먹는 생태계도 있어요 / 30일 버섯과 나무의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 / 31일 왜 철새는 길을 잃어버리지 않을까요?
11월
1일 긴팔원숭이는 소프라노 가수? / 2일 버섯을 키워서 먹이로 삼는 흰개미가 있어요 / 3일 포유동물이 공룡을 잡아먹기도 했어요 / 4일 수꽃에서 암꽃으로 성을 바꾸는 식물 / 5일 석유는 어디에서 나요? / 6일 땅속으로 숨어드는 버섯의 작전 / 7일 고양이의 기분을 몸짓으로 알 수 있어요 / 8일 양봉꿀벌이 사라지고 있어요 / 9일 살아 있는 화석이란 무엇일까요? / 10일 뼈를 가장 좋아하는 수염수리 / 11일 섬은 어떻게 생길까요? / 12일 뱀은 왜 다리가 없을까요? / 13일 거미줄은 왜 끈적끈적해요? / 14일 사람이 볼 수 있는 색과 볼 수 없는 색 / 15일 날지 못하게 변한 딱정벌레 / 16일 물고기의 귀에 돌이 있어요 / 17일 하늘을 나는 거미 / 18일 인구가 너무 많아지면 산소가 부족할까요? / 19일 발광 지렁이는 왜 빛이 날까요? / 20일 개의 말랑말랑한 발바닥은 어디에 도움이 될까요? / 21일 괴물 네시는 정말로 있을까요? / 22일 먹으면 맛있는 나방 애벌레 / 23일 작은 규조류로 범인을 잡아요 / 24일 도구를 사용하는 새가 있어요 / 25일 금색으로 보이는데 금이 아닌 것 / 26일 청새치는 왜 ‘뿔’이 있을까요? / 27일 먼 옛날에 살았던 생물 암모나이트 / 28일 사람의 머리에 살면서 점점 수를 늘리는 이 / 29일 화성에서 살 수 있는 생물 / 30일 일본원숭이는 엉덩이랑 얼굴이 왜 빨개요?
생물들이 어떻게 월동 준비를 하는지 알아보세요
12월
1일 이름은 달라도 같은 물고기 명태·동태·황태 / 2일 김 양식은 왜 추운 계절에 하나요? / 3일 흙 색깔도 다양해요 / 4일 멸종한 동경가리비는 맛있었을까요? / 5일 바닷속에서 자라는 해조류는 식물일까요? / 6일 비둘기는 왜 목을 흔들면서 걸을까요? / 7일 나비와 나방이 약으로 쓰인대요 / 8일 흰 쌀밥의 역사 / 9일 물고기도 곤충처럼 크면서 모습을 바꿔요 / 10일 겨울에 털 색깔을 바꾸는 산토끼 / 11일 털모자를 쓴 아기들솔이끼 / 12일 거머리말은 해조류와는 다른 해초예요! / 13일 판다 똥은 냄새가 향긋하다고요? / 14일 같은 종이라도 장소에 따라 모습이 달라요 / 15일 연근에는 왜 구멍이 뚫려 있을까요? / 16일 공룡의 색깔을 알았어요! / 17일 말린 멸치로 알 수 있는 물고기의 일생 / 18일 타란툴라는 맹독을 가진 거미일까요? / 19일 황제펭귄은 힘을 합쳐 추위를 피해요 / 20일 고래 사체에 다양한 생물이 모여들어요 / 21일 한국에서도 다이아몬드가 발견되었어요! / 22일 누구나 몸속에 시계가 있어요 / 23일 집을 빌려주는 대신 먹이를 받는 녹색짚신벌레 / 24일 돌고래는 한쪽 눈만 감고 자요 / 25일 과자를 유독 맛있게 느끼는 이유는? / 26일 적조는 왜 붉은색일까요? / 27일 코알라는 왜 유칼립투스를 먹을까요? / 28일 곰팡이로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요 / 29일 물고기에게 육감이 있다고요? / 30일 암에 걸리지 않는 벌거숭이두더지쥐 / 31일 먼 옛날에는 1년이 365일이 아니었어요
찾아보기
9월
1일 사람과 가장 비슷한 동물은? / 2일 꽃가루는 시대를 알 수 있는 타임캡슐 / 3일 제일 멋쟁이 생물은? / 4일 샘물과 연못 물은 어디에서 왔을까요? / 5일 상어와 가오리는 어떤 점이 다를까요? / 6일 개미와 함께 살거나, 개미를 잡아먹는 나비 / 7일 태풍은 왜 올까요? / 8일 세계에서 가장 작은 식물 분개구리밥 / 9일 바다의 빨간 도깨비와 파란 도깨비 / 10일 벌의 독은 왜 강할까요? / 11일 우리나라에서도 공룡 화석을 찾았어요 / 12일 이빨이 있는 나방이 있다고요? / 13일 꽁치가 가을에 맛있는 이유는? / 14일 동물과 열매의 깊은 관계 / 15일 제일 장수하는 동물이 조개라고요? / 16일 무당거미가 노란색 줄무늬를 가진 이유 / 17일 도미의 몸속에 또 도미가 있다고요? / 18일 곤충의 더듬이에는 감지기가 달려 있어요 / 19일 물이 돌과 지층을 깎을 수 있는 이유는? / 20일 이빨이 없는 새는 어떻게 먹이를 소화할까요? / 21일 공벌레는 바다에서 왔어요 / 22일 우리와 가까운 생물 중 가장 위험한 말벌 / 23일 석탄의 기원은 먼 옛날의 거대 삼림? / 24일 심해에는 거대한 단세포생물이 있어요 / 25일 나비와 나방은 잎의 맛을 다리로 느껴요 / 26일 지구 상에서 가장 큰 생물은? / 27일 알이 아니라 새끼를 낳는 물고기가 있어요 / 28일 음악은 언제부터 생겼을까요? / 29일 미국의 숲을 구한 늑대 / 30일 꽃가루는 범죄 사건 해결의 중요한 단서!
여러 가지 모양의 구름을 관찰해 볼까요?
10월
1일 밤바구미는 입이 아주 길어요 / 2일 꽃가루 예보는 어떻게 하는 것일까요? / 3일 해류에 휩쓸리는 사멸회유어 / 4일 식물이기를 포기한 식물의 수수께끼 / 5일 곤충을 먹어 본 적 있나요? / 6일 먹는 것을 잊어버린 새가 숲을 넓혀요 / 7일 우산이끼의 앞면과 뒷면 이야기 / 8일 붉은 깃털은 좋은 수컷이라는 증거 / 9일 헛수술로 곤충을 유혹하는 닭의장풀 / 10일 인류는 물고기를 언제부터 먹었을까요? / 11일 미국 대륙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누구? / 12일 동물은 맛을 어떻게 느낄까요? / 13일 나비와 나방이 숨을 쉬는 방법 / 14일 가을볕을 좋아하는 꽃무릇 / 15일 거미는 어떻게 거미줄을 칠까요? / 16일 버섯은 몇 종류가 있는지 알 수 없어요 / 17일 바다에 사는 큰턱벌레 / 18일 시체에 모여드는 구더기의 활약 / 19일 새로 생긴 섬에는 어떻게 식물이 생길까요? / 20일 지상에서 가장 강력한 미생물의 독 / 21일 철새처럼 긴 거리를 나는 왕나비 / 22일 물고기는 고통을 느낄까요? / 23일 세계에서 가장 큰 나비와 가장 작은 나비 / 24일 멀리 날기 위해 몸이 변하는 철새 / 25일 노린재는 냄새를 구분해서 사용해요 / 26일 곤충의 오줌이 다른 곤충을 키워요 / 27일 꽃을 일제히 피우는 열대 지방의 나무 / 28일 캄캄한 밤의 사냥꾼 올빼미의 놀라운 비밀 / 29일 태양이 아니라 지구를 먹는 생태계도 있어요 / 30일 버섯과 나무의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 / 31일 왜 철새는 길을 잃어버리지 않을까요?
11월
1일 긴팔원숭이는 소프라노 가수? / 2일 버섯을 키워서 먹이로 삼는 흰개미가 있어요 / 3일 포유동물이 공룡을 잡아먹기도 했어요 / 4일 수꽃에서 암꽃으로 성을 바꾸는 식물 / 5일 석유는 어디에서 나요? / 6일 땅속으로 숨어드는 버섯의 작전 / 7일 고양이의 기분을 몸짓으로 알 수 있어요 / 8일 양봉꿀벌이 사라지고 있어요 / 9일 살아 있는 화석이란 무엇일까요? / 10일 뼈를 가장 좋아하는 수염수리 / 11일 섬은 어떻게 생길까요? / 12일 뱀은 왜 다리가 없을까요? / 13일 거미줄은 왜 끈적끈적해요? / 14일 사람이 볼 수 있는 색과 볼 수 없는 색 / 15일 날지 못하게 변한 딱정벌레 / 16일 물고기의 귀에 돌이 있어요 / 17일 하늘을 나는 거미 / 18일 인구가 너무 많아지면 산소가 부족할까요? / 19일 발광 지렁이는 왜 빛이 날까요? / 20일 개의 말랑말랑한 발바닥은 어디에 도움이 될까요? / 21일 괴물 네시는 정말로 있을까요? / 22일 먹으면 맛있는 나방 애벌레 / 23일 작은 규조류로 범인을 잡아요 / 24일 도구를 사용하는 새가 있어요 / 25일 금색으로 보이는데 금이 아닌 것 / 26일 청새치는 왜 ‘뿔’이 있을까요? / 27일 먼 옛날에 살았던 생물 암모나이트 / 28일 사람의 머리에 살면서 점점 수를 늘리는 이 / 29일 화성에서 살 수 있는 생물 / 30일 일본원숭이는 엉덩이랑 얼굴이 왜 빨개요?
생물들이 어떻게 월동 준비를 하는지 알아보세요
12월
1일 이름은 달라도 같은 물고기 명태·동태·황태 / 2일 김 양식은 왜 추운 계절에 하나요? / 3일 흙 색깔도 다양해요 / 4일 멸종한 동경가리비는 맛있었을까요? / 5일 바닷속에서 자라는 해조류는 식물일까요? / 6일 비둘기는 왜 목을 흔들면서 걸을까요? / 7일 나비와 나방이 약으로 쓰인대요 / 8일 흰 쌀밥의 역사 / 9일 물고기도 곤충처럼 크면서 모습을 바꿔요 / 10일 겨울에 털 색깔을 바꾸는 산토끼 / 11일 털모자를 쓴 아기들솔이끼 / 12일 거머리말은 해조류와는 다른 해초예요! / 13일 판다 똥은 냄새가 향긋하다고요? / 14일 같은 종이라도 장소에 따라 모습이 달라요 / 15일 연근에는 왜 구멍이 뚫려 있을까요? / 16일 공룡의 색깔을 알았어요! / 17일 말린 멸치로 알 수 있는 물고기의 일생 / 18일 타란툴라는 맹독을 가진 거미일까요? / 19일 황제펭귄은 힘을 합쳐 추위를 피해요 / 20일 고래 사체에 다양한 생물이 모여들어요 / 21일 한국에서도 다이아몬드가 발견되었어요! / 22일 누구나 몸속에 시계가 있어요 / 23일 집을 빌려주는 대신 먹이를 받는 녹색짚신벌레 / 24일 돌고래는 한쪽 눈만 감고 자요 / 25일 과자를 유독 맛있게 느끼는 이유는? / 26일 적조는 왜 붉은색일까요? / 27일 코알라는 왜 유칼립투스를 먹을까요? / 28일 곰팡이로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요 / 29일 물고기에게 육감이 있다고요? / 30일 암에 걸리지 않는 벌거숭이두더지쥐 / 31일 먼 옛날에는 1년이 365일이 아니었어요
찾아보기
R&D지원사업 200%활용하기

도서명 : R&D지원사업 200%활용하기
저자/출판사 : 비피기술거래, 비피기술거래
쪽수 : 148쪽
출판일 : 2017-02-01
ISBN : 9791187327721
정가 : 120000
◈ 머리말 1
제1장. 연구소기업 설립 4
Ⅰ. 연구소기업에 대해서 4
1. 연구소기업의 정의 4
2. 연구소기업 법안 설립의 배경 4
3. 연구소기업의 의의 5
4. 연구소기업의 설립 유형 7
5. 연구소기업 현황 8
6. 연구소기업의 특징 11
7. 유사 지원제도 13
Ⅱ. 연구소기업의 이점 17
1. 연구소기업 설립에 대한 기대효과 17
2. 연구소기업 설립에 대한 공공연구기관의 기대효과 19
Ⅲ. 연구소기업 지원정책 22
1. 특별법 개정으로 인한 규제 완화 22
2. 전주기에 걸친 정부의 지원 23
3. 연구소기업에 대한 제도적 지원 25
Ⅳ. 연구소기업 설립 및 운영관련 규정 27
1. 연구소기업 설립 관련 규정 27
2. 연구소기업 운영 관련 규정 29
Ⅴ. 연구소기업 설립 절차 33
1. 연구소기업 출자 기술 발굴 및 선정 34
2. 연구소기업 설립 주체 선정 37
3. 연구소기업 설립 기본 합의서 체결 38
4. 출자대상 기술에 대한 가치평가 39
5. 사업계획서 작성 및 연구소기업 설립 계획 심의 42
6. 출자 완료 및 법인 등기 45
7. 연구소기업 등록 신청 46
Ⅵ. 연구소기업의 성공 사례 49
1. 콜마비앤에이치(합작투자형) 49
2. 수젠텍(신규창업형) 51
3. 이인텔리전스(기존 기업출자형) 53
제2장.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59
Ⅰ. 기업부설연구소에 대해서 59
1.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제도란? 59
2. 신고주체 60
3. 인정요건(1) : 인적요건 62
4. 인정요건(2) : 물적요건 64
5. 연구활동범위 65
6. 기업연구소 통계현황 69
Ⅱ. 기업부설연구소 혜택 75
1. 기업부설연구소 인증 혜택 75
2. 기술개발지원(1) : 연구인력 82
3. 기술개발지원(2) : 기술협력 85
4. Koita 홈페이지 R&D 사업 공고 90
Ⅲ.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94
1. 신규 설립 처리 절차 94
2. 신규설립 신고서류 96
3. 사후관리(1) : 연구개발 활동조사 97
4. 사후관리(2) : 현지확인 98
Ⅳ. 기업부설연구소 최근 사례 101
1. 산학협력단과 기업부설연구소 101
2. 기술개발 역량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방법 101
3. 정부의 많은 혜택은 결국 최종 소비자에게 102
◈ 요약정리 & 결론 106
◈ Q&A 110
1. 연구소기업 110
2. 기업부설연구소(기업연구소) 112
부록(1) - 기업부설연구소 신규설립 제도안내 117
부록(2) - 기업부설연구소 혜택 안내 126
부록(3) - 기업부설연구소 지정서식 139
◈ 참고자료 144
부록(4) - 특허목록 146
<표 차례>
표 1 연구소기업의 설립 유형 8
표 2 연구소기업 현황 9
표 3 연구소기업 연도별 설립 건수 9
표 4 연구소기업 기술분야별/설립유형별 10
표 5 기술분야별 연구소기업 현황 10
표 6 설립유형별 연구소기업 현황 10
표 7 연구소기업 매출액 및 종업원 현황 11
표 8 연구소기업과 일반벤처기업 생존율 비교 11
표 9 기술출자방식과 기술라이센스방식의 비교 12
표 10 연구소기업 지원제도와 국내 유사 지원제도 14
표 11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인정 요건 62
표 12 기업부설연구소 인증혜택 75
표 13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시 혜택 78
표 14 이공계 인력중개사이트 사업내용 82
표 15 고경력 과학기술인 지원센터 사업내용 83
표 16 학연 공동 기업R&D 지원사업 지원조건 87
표 17 투자연계형 기업성장R&D 지원 사업내용 88
표 18 중국 기술협력 지원사업 2016 프로그램 일정 90
표 19 산업기술 연구개발물품 관세감면 품목고시절차 134
<그림 차례>
그림 1 연구소기업의 유형 7
그림 2 연구소기업의 유용한 협력 파트너 17
그림 3 연구소기업의 개념도 19
그림 4 연구소기업 지원사업 23
그림 5 연구소기업 설립주체 28
그림 6 연구소기업 설립 절차 33
그림 7 연구소기업 설립 절차 33
그림 8 연구소기업 출자 기술 발굴 절차와 타당성 검토 내용 35
그림 9 연구소기업 설립유형 37
그림 10 기술평가기관 40
그림 11 기술가치평가비용 지원요청서 41
그림 12 연구소기업 설립 추진계획서 42
그림 13 연구소기업 전략육성사업 사업계획서 43
그림 14 사업계획서의 일반적 구성과 실제 연구소기업의 사업계획서 작성 사례 비교 44
그림 15 콜마비앤에이치 기업 소개 49
그림 16 수젠텍 기업소개 51
그림 17 이케이덱이 개발 중인 차량과 보행자를 감지하고 거리를 판단하는 시스템 54
그림 18 그린모빌리티 기업소개 55
그림 19 세이프텍리서치 기업소개 56
그림 20 기업부설연구소 대상기업 60
그림 21 연구개발활동과 비연구개발활동의 비교 61
그림 22 지식기반서비스 분야의 범위 (제2조제5호와 관련, 별표1) 62
그림 23 기업부설연구소 물적요건 65
그림 24 소프트웨어 개발분야에서의 연구개발활동과 비연구개발활동 비교 67
그림 25 연구개발 범위에서 제외되는 활동 68
그림 26 기업 유형별 연구소 통계 현황 69
그림 27 기업 업종별 연구소 통계 현황 70
그림 28 연구 분야별(제품개발) 연구소 통계 현황 71
그림 29 연구 분야별(지식서비스) 연구소 통계 현황 71
그림 30 연구원 학위별 연구소 통계 현황 72
그림 31 연구원 규모별 연구소 통계 현황 73
그림 32 연구전담부서 세제혜택 75
그림 33 이공계 인력중개사이트 사업추진, 협력체계 82
그림 34 고경력 과학기술인 지원센터 사업추진, 협력체계 83
그림 35 고경력연구인원 채용지원 선정절차 84
그림 36 기업공감 원스톱지원서비스 기업 애로사항 해결 추진절차 85
그림 37 학연 공동 기업R&D 지원사업 선정절차 87
그림 38 투자연계형 기업성장R&D 지원 선정절차 89
그림 39 정부R&D사업공고 게시판 91
그림 40 Koita R&D 사업 공고 92
그림 41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신청 방법 94
그림 42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및 인가 프로세스 95
그림 43 신규설립 필요 서류 목록 96
그림 44 연구개발활동조사 내용 ‘ 97
그림 45 현지확인시 점검서류 98
그림 46 반석종합건설 기술개발연구소 설립인증 102
그림 47 노매드코리아 기업부설연구소 설립인증 103
그림 48 기업부설연구소 신청서 139
그림 49 연구개발 인력현황 140
그림 50 연구개발 활동 개요서 141
그림 51 연구기자재 현황 142 그림> 표>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