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학원 운영의 비밀 또는 우리 시대 대표시 50선 평설
로즈
2025-04-15 09:12
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회 연결
본문
음악학원 운영의 비밀

도서명 : 음악학원 운영의 비밀
저자/출판사 : 백주희, 삼호뮤직
쪽수 : 64쪽
출판일 : 2017-02-25
ISBN : 9788932636368
정가 : 10000
저자의 학원 이야기 / 원장의 고민/ 음악 학원의 입지 조건/ 원장의 마음가짐 / 학원 홍보 / 성공적인 학부모 상담 / 원생 수에 따라 다른 운영법 / 체계적인 원생 관리법 / 특별한 특강 프로그램 / 정기 연주회
우리 시대 대표시 50선 평설

도서명 : 우리 시대 대표시 50선 평설
저자/출판사 : 이유식, 한누리미디어
쪽수 : 244쪽
출판일 : 2017-02-01
ISBN : 9788979697377
정가 : 15000
머리말/ 늦둥이 첫 평설집을 안아보며 … 8
첫째 마당 _ 살며 느껴 보며 016
이동주의 〈婚夜혼야〉 _ 전통적 순수 리리시즘의 명편 020
고 은의 〈머슴 대길이〉 _ 미천한 한 머슴의 모범적 삶이 주는 감동 027
박이도의 〈소시장에서〉 _ 팔려가는 소 그리고 가난한 농촌현실의 비가 031
신중신의 〈내 이렇게 살다가〉 _ 자기 삶의 흔적에 대한 상상, 여운과 겸손 돋보여 036
유안진의 〈서리꽃〉 _ 전통적 여성심리의 애절한 연정의 형상화 039
문효치의 〈무령왕비의 은팔찌〉 _ 한 장인의 애끊는 사모의 정의 시적 승화 045
강인한의 〈귓밥 파기〉 _ 경쾌미와 흥미성의 역설적 자위 048
서정춘의 〈蘭난〉 _ 페미니즘 시대를 보는 감칠맛 나는 복합심상 051
오세영의 〈님은 가시고·I〉 _ 사별한 ‘님’을 그리워하는 불망의 절창 055
감태준의 〈철새〉 _ 탈향의 시련과 인생살이의 운명성 060
김광규의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_ 4.19세대의 삶의 현실순응과 그 부끄러움 065
이문걸의 〈하나의 나뭇잎이〉 _ 생멸의 철리에 대한 예민한 감수성의 표출 070
공광규의 〈별국〉 _ 가난의 시적 리얼리즘과 어머니의 사랑 074
최영미의 〈선운사에서〉 _ 사랑 그리고 이별의 잊음, 그 보편적 진실 방정식
둘째 마당 _ 풍진 세상, 풍진 세월 속에 080
함동선의 〈여행기〉 _ 분단 비극과 고향 그리움의 한 084
이병훈의 〈下浦하포길〉생태시의 시적 데포르마숑 087
문병란의 〈織女직녀에게〉 _ 이별과 그리움, 세 가지 층위 해석의 복합 092
신세훈의 〈잠실 밤개구리〉 _ 환경생태시의 그 선구적 시도 096
홍신선의 〈연탄불을 갈며〉 _ 연탄불의 교훈, 정치권에 던져보는 쓴소리 100
천양희의 〈어떤 하루〉 _ 불가적 생명존귀사상의 노래 104
이향아의 〈사과꽃〉 _ 소련 노래 ‘사과꽃’을 통해 본 민족 비극의 여운 107
강은교의 〈우리가 물이 되어〉 _ 만남 그리고 평화의 간절한 소망 111
정희성의 〈저문 강에 삽을 씻고〉 _ 농촌현실의 절망, 슬픔으로 승화시켜 115
서영수의 〈낮달〉 _ 일제 강점기 하의 민족 서러움의 한 슬픈 초상 119
송수권의 〈지리산 뻐꾹새〉 _ 민족의 원형적 심상을 노래한 절창 123
황지우의 〈출가하는 새〉 _ 새의 생태와 생리를 통해 본 인생의 어느 환유 126
허수경의 〈단칸방〉 _ 페이소스로 감싼 가난의 리얼리즘 129
송랑해의 〈風竹풍죽〉 _ 역사적 상상력과 구성의 완결미
셋째 마당 _ 인생론적 思惟사유를 펴보이며 132
신경림의 〈갈대〉 _ 삶의 본질 파악의 서정적 터치가 아주 좋아 136
문덕수의 〈조금씩 줄이면서〉 _ 인생론적 사유의 시로서의 가치성 140
김후란의 〈나무〉 _ 시의 대상과 자기 동일시의 시학 144
이근배의 〈평원〉 _ 격조 높은 서정적 인생론류의 시 148
이수익의 〈集中집중〉 _ 회화성을 겸한 절묘한 유사성의 발견 151
김종해의 〈그대 앞에 봄이 있다〉 _ 인생론적 사유와 달관의 메시지가 큰 위안 주어 154
박제천의 〈비천飛天〉 _ 변화와 생성으로 본 ‘비천’의 삶의 역동성 160
정호승의 〈내가 사랑하는 사람〉 _ 따뜻한 인간애 정신의 압권 164
박상천의 〈줄다리기〉 _ 위트정신의 발상과 그 역설적 인생 교훈 167
곽재구의 〈沙平驛사평역에서〉 _ 서민들의 삶을 연민의 정으로 본 따뜻한 동류의식 172
김현숙의 〈풀꽃으로 우리 흔들릴지라도〉 _ 삶의 보편적 진실을 노래한 인생론의 비유시 175
이희선의 〈노딛돌〉 _ 대승적 삶을 일깨워주는 돌의 의미
넷째 마당 _ 풍경의 시학 178
홍윤기의 〈단풍〉 _ 역동적 생명력의 표출과 그 암시성 181
정득복의 〈시간이 가네, 시간이 오네〉 _ 시간과 자연순리의 희망성 돋보여 185
진을주의 〈바다의 생명〉 _ 시적 수사력이 출중한 환경생태시 189
이수화의 〈조각달〉 _ 품격 높은 깔끔한 은유시로서 한 보기 192
강희근의 〈산에 가서〉 _ 자연 속에서 펼쳐 보이는 천진한 동심의 세계 197
정민호의 〈달밤〉 _ 달밤에 본 풍경화 시의 또 다른 맛 201
양왕용의 〈갈라지는 바다〉 _ 젊은 날 고뇌와 욕망, 추상화적 수법의 형상화 206
이건청의 〈망초꽃 하나〉 _ 범 생명주의적 따뜻한 관심 돋보여 211
유자효의 〈은하계 통신〉 _ 우주시대 맞이한 현대판 엑조티시즘의 세계 215
김년균의 〈갈매기〉 _ 불안정한 현재와 앞날에 걸어보는 기대
다섯째 마당 _ 부록을 달며 220
윤동주 시 〈十字架십자가〉 해석을 논박함 230
오류 해석 많은 정지용 시의 현주소 _ 정지용의 시 〈향수鄕愁〉의 경우 236
명시의 조건은 과연 무엇인가?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