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경자 코드 또는 분단과 여성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천경자 코드 또는 분단과 여성

로즈
2025-04-15 09:12 1 0

본문




천경자 코드
9791155715291.jpg


도서명 : 천경자 코드
저자/출판사 : 김정희, 맥스미디어
쪽수 : 330쪽
출판일 : 2017-07-20
ISBN : 9791155715291
정가 : 17000

프롤로그 : 엄마 냄새

[1장] 혹시라도 어머니가 여성이라서 좀 짓밟아도 된다고 생각하셨습니까?
희한한 사건 / 1991년, 악연의 시작 / 조력자들 / 13가지 거짓말 / 진화하는 거짓말

[2장] 거짓의 구조
정치 논리 그리고 김영규의 증언 / 거짓의 구조 / 권력이 된 거짓, 거짓이 된 권력

[3장] 검찰, 과학을 부정하다
한 푼도 부담할 수 없다는 검찰 / 친애하는 박원순 시장님 / 그럴려면 중단합시다
미인도가 진품이라는 검찰의 기습 발표 / 적폐 중의 적폐 / 아! 억장이 무너지고

[4장] 눈이 싸늘하게 타는 여인
응축된 에너지와 밀도 있는 질감이 절정이었던 1977년 / 구도자처럼 꿇어 엎드려 /
전라도 사투리와 영광 굴비 / 누하동과 옥인동 시절 / 미도파 그리고 세피아, 산스타 /
내가 적당히 가난하고, 서울에 눈이 내리고

[5장] 어찌 찔레꽃 향기나 찾는 뱀을 그리랴
차라리 수십 마리 뱀을 화면에 넣으면 살 수 있을 것 같았다 / 바람을 향한 해외 스케치 여행 / 문학 기행
박경리, 고은, 피천득 선생님을 기억하며 / 우시는구만 / 두 번 흘린 눈물 / 장엄

천경자 코드
홍채의 비밀 / 인중의 비밀 / 입술의 비밀 / 스케치 선의 비밀 / 숟가락의 비밀

에필로그 : 황혼의 통곡은 이 사회가 부르짖는 통곡이다

[특별기고]
배금자 변호사 : 위작 미인도 사건은 국가권력에 의한 작가 인권 유린 사건이다
최광진 평론가 : 고독을 환상으로 승화시킨 혼의 작가, 천경자




분단과 여성
9791161290133.jpg


도서명 : 분단과 여성
저자/출판사 : 조진성, 새물결플러스
쪽수 : 332쪽
출판일 : 2017-05-15
ISBN : 9791161290133
정가 : 16000

서론
1. 왜 통일을 이야기해야 하는가?
2. 왜 여성 담론을 이야기해야 하는가?
3. 왜 한국교회의 현상을 이야기해야 하는가?

1부 통일 한국을 위한 신학적 기반
1장 통일에 대한 기독교적인 관점과 통일신학의 중요성
1. 반공 기독교 사상의 발생 배경
2. 1960년대 분단신학의 발전
3. 1970년대 통일신학의 등장
4. 1980년대 교회의 선교 과제로서의 통일
5. 1990년대 진보와 보수의 협력

2장 한국 통일신학자들의 반응
1. 함석헌의 통일신학
2. 노정선의 통일신학
3. 김용복의 통일신학
4. 통일신학에 대한 여성신학의 비판

2부 통일 한국을 위한 정치적 기반
1장 독일의 통일 사례 연구
1. 통일 후 독일의 가족 정책 및 동독 여성의 사회적 위치
2. 동ㆍ서독의 정치ㆍ경제ㆍ사회적 상황 속에서 여성의 위치
3. 통일이 독일 여성의 삶에 미친 영향

2장 통일 독일 여성의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와 종교
1. 여성의 일차적인 역할: 어머니
2. 정치 문화 속에서의 여성
3. 독일인의 신념과 삶의 방식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의 종교

3장 통일 한국의 여성 정책 방향 제안
1. 한반도 분단이 한국 여성의 삶에 미친 영향
2. 여성의 관점을 담은 통일 정책의 필요성

3부 통일 한국을 위한 문화적 기반
1장 유교가 한국 여성의 삶에 미친 영향
1. 유교 문화 속 한국 여성의 이해: 어머니와 아내
2. 한국 여성의 삶 속에서 드러나는 유교의 영향
3. 가족 정책 속 여성의 지위 및 사회 활동

2장 유교가 북한 여성의 삶에 미친 영향
1. 북한의 여성 정책
2. 북한 여성의 경제적 상황
3. 북한 여성의 정치적 지위
4. 출산과 육아, 집안일의 사회화
5. 가정에서 북한 여성의 역할
6. 북한 여성과 유교

3장 유교가 남한 여성의 삶에 미친 영향
1. 남한 여성의 경제적 지위
2. 남한 여성의 정치적 지위
3. 남한의 가족 정책 및 여성 지원 시스템
4. 가정에서 남한 여성의 위치

4부 여성통일신학 담론
1장 기독교가 한국 여성의 삶에 미친 영향
1. 긍정적 영향
2. 부정적 영향
3. 한국 기독교 속의 성차별주의

2장 평화와 평등 공동체를 추구하는 여성통일신학적 모델
1. 쉬슬러 피오렌자의 "하나님 나라”
2. 이사시 디아즈의 "공동체로서의 하나님 나라”
3. 민경석의 "타자들의 연대”

3장 이상적인 여성통일신학 공동체의 기초
1. 상한 마음의 치유
2. 용서의 표현
3. 타자들의 연대
4. 사랑과 섬김의 실천

4장 새로운 공동체의 "공동 설립자”로서 여성의 위치
1. 교회의 공동 지도자로서의 여성
2. 민족의 공동 지도자로서의 여성

결론
참고 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