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나드는 사잇길에서 또는 달인의 랩통 고등한국사(전근대편)
로즈
2025-04-15 09:12
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넘나드는 사잇길에서

도서명 : 넘나드는 사잇길에서
저자/출판사 : 황봉구, 서정시학
쪽수 : 185쪽
출판일 : 2017-02-28
ISBN : 9791186667750
정가 : 12000
시인의 말 / 7
제1부 넘나드는 사잇길에서
죽음 | 15
죽는 일이 삶이다 | 16
먼저 떠난 아우에게 | 18
떠날 때 | 19
그게 잠일 꺼야 | 20
검은 손 | 22
어둠 | 23
넘나드는 사잇길에서 | 24
본디 1 | 25
본디 2 | 26
내려놓기 | 27
떠나기 위한 연습 | 28
꿈에서 예니세이강을 보고 | 30
삶에 이름을 붙일 수 있을까 | 32
낙오한 불개미 | 34
먼산바라기 | 36
명부冥府 | 38
어느 저녁에 | 40
나이가 가득 찰 때 | 41
싱그러운 오이 | 42
오래도 살았다 | 44
돌의 눈물 | 45
커피 속 키스 자렛 | 48
제2부 삶의 그림자
새싹 | 53
봄빛 | 54
봄꽃 | 56
봄을 잡아볼까 | 57
아침 태양 | 58
생명의 줄기 | 59
치과 가는 날 | 60
그늘 | 62
달 노래 | 63
손자의 웃음 | 64
삶의 물컹함 | 66
초여름 | 68
돌섬 | 70
얼굴 | 71
천지창조 | 72
안경 | 74
파도 | 76
추상의 구성 | 78
무한의 실타래 | 80
돌부처 | 81
추상의 변주 | 82
생각 | 86
자벌레 | 87
꽃이라 부르지 마라 | 88
어느 누구인가 | 90
고예古隸| 92
흐름 | 94
건드리지 마라 | 96
심재心齋| 98
평대리 가는 길에 | 100
우물 | 102
늦나이 욕심 | 104
비 내리는 날 | 106
새벽 어둠에 | 108
메아리 | 110
소리가 아프다 | 112
후기:삶과 죽음의 사이에서 | 115
부록:생명으로서의 삶과 죽음 | 137
달인의 랩통 고등한국사(전근대편)

도서명 : 달인의 랩통 고등한국사(전근대편)
저자/출판사 : 이재령, 넥서스
쪽수 : 280쪽
출판일 : 2017-07-05
ISBN : 9791161650562
정가 : 17500
이 책을 펴내며
이 책의 구성
Ⅰ.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
1-1.선사 시대의 문화와 초기 국가의 성립
1.우리 민족의 형성과 선사 시대
2.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
3.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등장
1-2. 삼국의 성립과 성장
1.고대 국가의 발전 과정
2.삼국의 성장
3.삼국의 통치 체제
1-3. 삼국의 경쟁과 가야
1.삼국의 경쟁
2.가야의 성립과 발전
1-4. 신라의 삼국 통일과 통일신라의 발전
1.고구려와 수·당의 전쟁
2.신라의 삼국 통일
3.통일신라의 발전
1-5. 발해의 발전과 통일신라의 동요
1.발해의 건국과 발전
2.통일신라의 동요
1-6. 고대 국가의 문화와 대외 교류
1.고대 국가의 문화
2.고대 국가의 국제 교류
Ⅱ.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2-1. 고려의 체제 정비와 무신 정변의 발생
1.고려의 건국
2.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와 무신 정변
2-2.고려의 대외 관계와 고려 후기 정치 변동
1.고려의 대외 관계
2.고려 후기 정치 변동
2-3.고려의 경제와 사회 모습
1.경제 정책과 경제 구조
2.사회 구조와 신분 제도
2-4.고려의 사상과 문화
1.다양한 사상의 발달
2.문화의 성장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3-1. 조선의 건국과 체제 정비
1.조선의 건국과 통치 체제의 정비
2.사림 세력의 등장과 붕당의 출현
3-2. 조선 전기 사회-경제-문화
1.양반 중심의 신분 질서의 확립
2.사회 제도
3.경제 정책과 경제생활
4.민족 문화의 융성
3-3.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와 양난의 극복
1.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
2.왜란과 호란의 극복
3-4. 조선 후기 정치 변동과 제도 개편
1.붕당 정치와 탕평책
2.세도 정치의 폐단과 농민 봉기
3.수취 체제의 개편
3-5. 조선 후기 사회-경제의 변화
1.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2.신분제의 동요와 사회 모습의 변화
3-6. 조선 후기 사회 개혁론과 새로운 사상의 유행
1.실학의 대두
2.새로운 사상의 등장
3-7.조선 후기 문화의 발달
1.국학 연구의 확대
2. 서민 문화의 발달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