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작품상(2017) 또는 영화감독과 심리적 구도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유심작품상(2017) 또는 영화감독과 심리적 구도

로즈
2025-04-15 09:12 1 0

본문




유심작품상(2017)
9788989449607.jpg


도서명 : 유심작품상(2017)
저자/출판사 : 만해사상실천선양회 엮음, 인북스
쪽수 : 216쪽
출판일 : 2017-08-01
ISBN : 9788989449607
정가 : 12000

●시부문 나태주
수상작 · 어린아이_18
심사평_20
수상소감_22
근작_22
팁_28 모른다 하랴_22 그러므로_22 노래로_22 그냥 거기_22 해거름 녘_22 서성서성_22 봄날의 끝자락_22
자선대표작_26
막동리 소묘_22 시_22 사는 일_22 멀리서 빈다_22 황홀극치_101 우체통 곁에_22 시인_22 틀렸다_22 잘람잘람_22 명예_22 한산세모시_22 친구_22 의자_22 시인 무덤_22 겨울 장미_22 벚꽃 이별_22 그냥 낭만_22 어린 봄_22
등단작 · 대숲 아래서_45
자술연보_76
연구서지_81
수상자론 · 자연과 인생, 그리고 시인의 행복 / 김유중_48

●시조부문 김제현
수상작 · 한세상 사는 법을 어디 가서 배우랴 | 88
심사평 | 89
수상소감 | 91
근작 | 100
헬스장에서 | 91 새가 되어 날다 | 91 나의 몫 | 91 무상 | 91 보이지 않아라 | 91 봄비 | 91 여름밤에 | 91 가을 일기 | 191 겨울 산책길 | 191
자선대표작
풍경(風磬) | 191 지는 꽃 | 191 돌 · 1 | 191 우물 안 개구리 | 191 몸에게 | 191 산사행 | 191 바람 | 191 그물 | 191 메주 | 191 보행 | 191 달팽이 | 191 가을 전언 | 191 정년기 달인의 말 | 191 무위 | 191
등단작 · 도라지꽃 | 103
자술연보 | 133
연구서지 | 139
수상자론 · 충담 · 법담, 선지식의 노래 / 홍성란 | 104

●특별상 권영민
심사평 | 187
수상소감 | 190
대표 평론 · 한국 현대문학사의 논리와 형태 | 193
자술연보 | 234
연구서지 | 240
수상자론 · 현존과 부재의 시학/ 방민호 | 210




영화감독과 심리적 구도
9791185848068.jpg


도서명 : 영화감독과 심리적 구도
저자/출판사 : 동중우, 컬처플러스
쪽수 : 192쪽
출판일 : 2017-09-01
ISBN : 9791185848068
정가 : 17000

ㆍ프롤로그
ㆍ요약

Ⅰ. 유동회화론과 회화적 영상 미학
1. 오즈 야스지로, 미조구치 겐지, 나루세 미키오 작품에 나타난 샷(Shot) 특성
2. 삼원법(三遠法)과 삼경법(三境法)

Ⅱ. 일본 전통적인 회화의 공간 미학
1. 세 감독의 영상기법과 전통회화, 원근법
2. 두루마리 그림(繪卷)의 미학

Ⅲ. 작품분석
1. 오즈 야스지로(小津安二郞) 감독의 부초(浮草)와 동경이야기(東京物語)
1) 작품의 전반적 특성과 샷 스타일(Shot style) 분석
2) 오즈와 ‘정(靜)의 공간(空間) 미학’

2. 미조구치 겐지(溝口健二) 감독의 우게쯔 이야기(雨月物語)
1) 작품의 전반적 특성과 샷 스타일(Shot style) 분석
2) 겐지와 두루마리 그림의 공간(空間) 미학

3. 나루세 미키오(成?巳喜男) 감독의 부운(浮雲)
1) 작품의 전반적 특성과 샷 스타일(Shot style) 분석
2) 통합(이동) 시점의 공간(空間) 미학

4. 빅토르 에리세(Victor Erice) 영상의 상징성-[벌집의 정령]을 중심으로
1) 에리세 영상의 특징, 인접 예술과의 상관관계
2) 스페인의 사회적 현상과 영화의 외부 형식, 내적인 영상의 상징 기호
(1) 1940년 스페인의 역사적 배경
(2) 에리세 영화의 프레임
(3) 회화적(정태적) 장면과 롱 테이크 샷(Long take shot) 심리적 기법
(4) 사각의 틀, 에리세 감독의 심상

3) 영화의 내적 요인
(1) 등장인물 이중성의 아이러니
(2) 에리세 감독의 상징 이미지
(3) 시적 사실주의(El Realismo Po?tico)

4) 작품분석
(1) 에리세 영상의 구도와 형상
(2) 벌집 영상 이미지와 길의 미학적 기호

Ⅳ. 현대 감독으로 이어진 유동회화론
1. 유동회화론과 현대영상
2. 감독별 영상 이미지 특징과 헤이안 시대 두루마리 그림

ㆍ에필로그
ㆍ저자 연보
ㆍ참고 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