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의 물리학 또는 세계는 넓고 아픈 사람은 많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하루하루의 물리학 또는 세계는 넓고 아픈 사람은 많다

로즈
2025-04-15 09:12 0 0

본문




하루하루의 물리학
9788952778819.jpg


도서명 : 하루하루의 물리학
저자/출판사 : 이기진, 시공사
쪽수 : 292쪽
출판일 : 2017-06-21
ISBN : 9788952778819
정가 : 15000

서문

1장 물리학, 일단 시작하자!
1 물리를 잘하는 법
2 어떤 사람이 물리학에 흥미를 느낄까?
3 잘할 수 있다는 생각이 중요하다
4 노래를 부르듯이 물리학을
5 물리학은 벡터와 스칼라로 이야기한다

2장 개념을 알면 물리가 보인다
6 관성에 대한 물리학자의 생각
7 관성의 변화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8 비행기 속에서 느끼는 관성
9 코페르니쿠스는 이렇게 말했다
10 질량과 무게, 같은 게 아니야?
11 물리학으로 본 100미터 달리기
12 밀도에 대한 무서운 이야기
13 돌멩이는 왜 물에 가라앉고, 얼음은 왜 뜰까?
14 물이 가득 찬 컵에 돌멩이를 넣으면 어떻게 될까?
15 물속에서 바위를 들어 올리면?
16 잠수함은 어떻게 물속을 오르내릴까?
17 중력을 무시하는 힘
18 비행기는 어떻게 하늘을 날까?
19 풍선은 어떻게 하늘을 자유롭게 날아다닐까?
20 하늘에서 떨어지는 물체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21 공중부양은 아무나 하나
22 무중력 상태에 대한 트라우마
23 롤러코스터의 물리학
24 하이힐과 슬리퍼가 만드는 압력
25 누구든 압력에서 벗어날 수 없다
26 바닷물 속의 잠수부가 받는 압력
27 물리학의 타이밍, 인생의 타이밍
28 모든 물질은 그 자체로 응축된 에너지다
29 다이어트에 대한 물리적 생각
30 소주 한 잔의 물리학

3장 우리 주변의 물리 이야기
31 비 오는 날에는 뛰지 마세요
32 온돌방 아랫목 위에서 느낀 물리학
33 양은 냄비가 라면 끓이는 데 제격인 이유
34 추위를 막아주는 오리털 파카의 비밀
35 중국집 주방장도 물리학자다
36 팬티에도 물리학이 존재한다
37 잠수함 안에서 숟가락을 떨어뜨린 군인
38 콘서트홀의 물리학
39 모차르트의 클라리넷 협주곡
40 지구가 자꾸 더워지고 있다
41 오존층과 지구 온난화
42 가솔린 엔진과 디젤 엔진
43 배기가스, 왜 심각한 문제일까?
44 천연가스를 이용하는 버스
45 방귀에 물리학적으로 접근하기
46 방귀 뀔 때도 세금을 내라!
47 배터리의 진화, 과학의 발전을 대변하다
48 우주 발전소도 꿈이 아니다
49 거짓말 탐지기를 믿을 수 있을까?

4장 나와 물리학
50 나의 물리학 이야기 1
51 나의 물리학 이야기 2
52 나의 물리학 이야기 3
53 나의 물리학 이야기 4
54 나의 물리학 이야기 5

부록: 쉬운 용어 사전




세계는 넓고 아픈 사람은 많다
9788991232679.jpg


도서명 : 세계는 넓고 아픈 사람은 많다
저자/출판사 : 서원석, 청년의사
쪽수 : 228쪽
출판일 : 2017-03-15
ISBN : 9788991232679
정가 : 15000

감사의 말

제1장 한국 보건의료 분야의 미래, 한국에 없다
-도쿄 보편적건강보장 정상회의
-본질에서 벗어나면 탈선한다?
-한국의 수준은 정말 세계적인가?
-선수는 다른 선수를 알아본다?

제2장 세브란스, 한국을 넘어 몽골을 깨우다
-이어지는 세브란스의 역사
-연세친선병원의 의의
-한국 최초의 醫師들? 義士들?
-몽골비사

제3장 한국의 핵심 경쟁력, 사람
-바가모요의 땅, 탄자니아에서 한국으로 온 사람들
-훈련을 넘어 자기계발로
-두뇌유출 대국, 한국
-세계보건기구 특별상, 이종욱 기념상

제4장 중국은 왜 아프리카를 전폭적으로 돕고 있을까?
-시바 여왕
-21세기 랜드러시, 아프리카
-공적개발원조의 동기
-질병과 빈곤의 악순환
-짐마대학교 의과대학 통합모자보건사업팀

제5장 필리핀이 선물한 통일벼, 한국의 빈곤문제를 해결하다
-기적의 쌀, 통일벼
-원조효과성
-가치관의 변화가 개발의 시발
-필리핀 결핵관리 역량강화 사업

제6장 개발에 이르는 머나먼 길
-세상의 끝 반다아체
-구호와 개발
-주인의식과 지속가능성
-콩고 지역사회보건개발 사업

제7장 역마살의 디아스포라, 의지의 한국인
-이태준 기념공원
-의지의 한국인
-아픔을 통해 깨어나다
-고려인들의 활동 무대, 중앙아시아

제8장 뿌리 깊은 미래, 주민운동
-르완다 학살의 아픈 기억
-한국 보건의료 분야 발전의 단계들
-가족계획협회의 참담한 성공
-킬링필드에서

제9장 한국형 공적개발원조는 헛된 꿈일까?
-우즈베키스탄 소아과학회
-스마트보건의료체제와 삼중지연
-참여적 지식공유
-호라즘공화국의 수학자

제10장 단지 한국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첫 번째 국제개발협력
-나는 한국인이다
-돌봄과 치료
-시각의 변화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