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티아고에 서다 또는 사르트르의 미학
로즈
2025-04-15 09:12
1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회 연결
본문
산티아고에 서다

도서명 : 산티아고에 서다
저자/출판사 : 정희선, SUN
쪽수 : 256쪽
출판일 : 2017-08-25
ISBN : 9791188270033
정가 : 13000
프롤로그
추천사
황안나 (도보여행가)
제1부 산티아고 가는 방법
제2부 산티아고 순례 여행
제3부 순례길 완주 후 파리 구경하기
에필로그
사르트르의 미학

도서명 : 사르트르의 미학
저자/출판사 : 강충권 , 박정자 , 변광배 , 오은하 , 윤정임 ,, 기파랑
쪽수 : 440쪽
출판일 : 2017-05-25
ISBN : 9788965236917
정가 : 30000
책을 펴내며
제 1 부 이 론
사르트르의 비실재 미학 박정자
1. 사르트르와 플로베르
2. 상상 입문과 비실재 미학
3. 비실재화의 실재적 중심
4. 아날로공
5. 플라톤에 대한 오마주
6. 무(無)의 미학
7. 불가능한 미
8. 상상에 대하여
9. 사르트르의 현대성
사르트르의 무(無)의 미학 강충권
1. 머리말
2. 부재의 미학
3. 부정의 미학
4. 변증법의 미학
5. 맺음말
사르트르의 이미지론에서 아날로공(analogon) 개념 이솔
1. 서론
2. 아날로공의 출현 배경
(1) 고전이론의 문제 / (2) 후설 현상학을 수용해야 할 필요성 / (3) 질료와 대상의 구분 문제 / (4) 고전적인 이미지 이론들의 공통적 오류: 질료와 대상의 혼동 / (5) 지각과 상상의 구별 문제
3. 아날로공이란 무엇인가
(1) 이미지란 무엇인가 / (2) 이미지에 관한 새로운 규정: 외연의 확장 / (3) 이미지와 아날로공의 관계
4. 결론: 비실재성과의 충돌로부터 아날로공의 창조로
사르트르 미학의 이론적 토대: 헤겔 미학의 수용과 비판 변광배
1. 머리말
2. 몇몇 전제들
3. 사르트르의 헤겔 미학 수용과 비판
(1) 자연미 배제의 테제 / (2) 예술의 종언 테제 / (3) 수용자의 지위 테제
4. 맺음말
사르트르 비실재 미학의 이론적 토대: 사르트르의 이미지론, 후설의 수용과 비판 윤정임
1. 들어가는 말
2. 현상학과 사르트르: 후설을 파헤치기
3. 사르트르의 이미지론에 나타난 후설의 수용과 비판
(1) 후설의 수용: 이미지론의 토대 / (2) 아날로공(analogon)으로서의 이미지론 / (3) 이미지의 기능: 충족에서 부정으로
4. 글을 마치며
사르트르 비실재 미학과 참여문학의 교차 오은하
서 론
1. ‘아날로공’이 되는 예술작품
2. 미적 대상의 후퇴와 수용의 문제
3. 상상계로의 도피
4. 매개와 전체
결 론
‘앙가주망’에서 ‘소수문학’으로: 사르트르와 들뢰즈ㆍ과타리의 문학 사용법 변광배
1. 들어가는 말
2. ‘총체적 혁명’과 문학: 사르트르
3. ‘분자적 혁명’과 문학: 들뢰즈ㆍ과타리
4. 맺는 말
제 2 부 실 제
사르트르의 상상력 이론을 통해 본 소설 읽기와 의식의 구조 지영래
서 론
1. 산문과 시, 기호와 이미지
2. 지향성과 상상의식
3. 상상하는 의식의 구조
4. 독서 의식의 특수성
결 론
사르트르의 연극미학: 디드로, 브레히트와 나눈 가상의 대화 장근상
서 론
1. 연극과 이미지
2. 부르주아극과 무위(無爲)
3. 막(acte)과 경(tableau)
4. 행위와 정념
5. 서사극과 드라마극
결 론
사르트르와 회화: 틴토레토를 중심으로 윤정임
1. 글을 시작하며
2. ‘의미하지 않는’ 예술의 ‘의의’
3. 사르트르의 틴토레토
(1) 베네치아의 유폐자: 도시와 화가 / (2) 성자 마르코와 그의 분신: 인간조건과 중력 / (3) 성자 조르주와 용: ‘평민’ 틴토레토와 시간성
4. 글을 마치며
구토의 재즈음악: 음악이라는 미학적 해결책 오은하
들어가며
1. 필연성
2. 강철 띠
3. 창조
나가며
시간의 관점에서 본 사르트르 구토의 미학 지영래
서 론
1. 서술의 시간과 사건의 시간
2. 삶의 시간과 이야기의 시간
3. 문학적 시간과 철학적 시간
결 론
사르트르의 서사-드라마극: 알토나의 유폐자들을 중심으로 장근상
서 론
1. 사르트르의 드라마극과 브레히트의 서사극: 갈등 대신 모순으로
2. 알토나의 유폐자들의 서사적 특징(1959년)
3. 사르트르의 서사-드라마극(1960년)
4. 사라자크의 서사-드라마극 미학(1981~2015년)
결 론
사르트르의 전쟁의 글쓰기와 주변부 인물: 유예와 알토나의 유폐자를 중심으로 조영훈
1. 서론: 전쟁의 글쓰기와 주변부 인물
2. 샤를과 유예
3. 불구 여인과 알토나의 유폐자
4. 결론: 서술, 담론과 인물의 상대주의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