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암사의 큰 웃음 또는 천안함 7년, 의문의 기록
로즈
2025-04-15 09:12
0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봉암사의 큰 웃음

도서명 : 봉암사의 큰 웃음
저자/출판사 : 법념, 답게
쪽수 : 284쪽
출판일 : 2017-06-24
ISBN : 9788975742927
정가 : 15000
제1장 봄을 알면 공부 다 한 기다
사리(舍利)/ 포단(蒲團)/ 신상(神象)/ 짝사랑/ 가스통과 유리약탕관/ 대도무문/ 비학산(飛鶴山)/
보경사 겹벚꽃/ 범어사에서 만난 처녀들/ 이차돈찬
제2장 밥 안묵는 기 무슨 공부가?
묘혜 스님/ 다락 정리/ 삼일장/ 유부초밥/ 일중식(日中食)/ 뾰두라지/ 아욱국/ 큰스님 옷/
워커힐 쇼 / 門 열고 닫는 법
제3장 내 모른칙 하지
차비 160원/ 통일전 참배/ 요강뚜껑/ 금강당세계/ 독서삼매/ 선문염송과 장설봉선사/
울산 목도 춘해사/ 선암사 시절/ 큰스님이 좋아한 가수들/ 치문(緇門)에 얽힌 이야기
제4장 신라의 멋
유엽 큰스님과 멋/ 하이면과 하이자장/ 납월팔일/ 어느 수좌와의 법거량/ 전진한(錢鎭漢) 씨와의 인연/
‘타향살이’/ 숨바꼭질/ 우리스님, 조성월(趙性月) 스님/ 선문답/ 알파벳을 외우시다
제5장 죽었다 깨어나는 화두
죽어버린 엄나무/ 큰스님 제자 현기(玄機) 스님/ 등 뒤로 감춘 홍시/ 그릇 정리정돈/ 한밤중의 각목싸움/
왕대나무와 죽순/ 주장자/ 육환장/ 성철 큰스님과의 탁마/ 보고 싶어라! 가고 싶어라!
제6장 성철 스님과 나란히 누워
불사란/ 묘관음사 불자/ 운봉선사 기일/ 도토리묵/ 노신도님들과의 대화 / 안티프라민의 효과/
임랑 바닷가/ 열쇠 감추기/ 회초리/ 벽암록
제7장 길을 나서는 큰스님
떡국/운봉선사 영정/ 봉암사시절/자운 스님이 드린 백팔염주/ 수안(殊眼) 스님의 국수공양/ 감김치/
스님이 사랑한 꽃과 나무/ 내원사에서의 마지막 시자(侍者)/ 다비(茶毘)장을 밤새 지킨 인각(仁覺)스님/
법제자와의 마지막 문답/ ‘향곡(香谷) 큰스님 일화’를 끝내며
부록
‘전법(傳法)의 원류(源流)’
‘불조정전법맥(佛祖正傳法脈)’
천안함 7년, 의문의 기록

도서명 : 천안함 7년, 의문의 기록
저자/출판사 : 조현호, 생각비행
쪽수 : 800쪽
출판일 : 2017-03-26
ISBN : 9791187708261
정가 : 25000
머리말 | 천안함 참사 7년 된 지금 그 의문을 기록하는 이유
천안함 사건 후 우리는 어디까지 왔는가
1. 천안함 사건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합리적 의문의 기록
2. 정부의 발표와 결론
-정부, 성급하게 결론을 내다
-‘북한 잠수정의 어뢰공격’, 1번 어뢰의 등장
-대법원, 언론의 천안함 의혹 제기를 “합리적 의문”으로 판단
3. 천안함 사건의 합리적 의문들
1. 기초적인 의문―폭발은 있었는가?
정부의 발표 | 천안함 선체의 절단면, 폭발의 증거인가? | 호주 토렌스함 어뢰폭발 실험 | 폭발과 수중폭발, 충격파―크고 작은 모순들 | 시뮬레이션을 통해 폭발효과와 천안함 절단 상태를 구현했나
2. 선체 나머지의 폭발흔적과 그 반론들
멀쩡한 시신과 부상자가 수중폭발의 근거? | 멀쩡한 형광등은 뭔가 | 가스터빈 외판 손상, 폭발인가 좌초인가 | 이상한 점―가스터빈실이 폭발했다, 아니다? | 가스터빈실 외판 파공은 뭔가?
3 . 지진파·공중음파, 버블주기는 어뢰폭발 데이터인가?
지질자원연구원, 지진 위치 데이터 사흘 만에 수정 | 천안함 사건 이전 열흘간 백령도관측소 한반도 지진 10건 감지―지진 규모도 엇비슷 | 홍태경, 수중폭발 주장 ‘P파 진폭비율 높고, 음파 관측, 주파수 형태’ | 김소구, 아군기뢰 폭발 가능성 | 배명진, 지진파 주파수는 천안함과 다른 철판(어뢰)이 직접 부딪혀 나온 고유진동수 | 정부 발표 공중음파, 천안함에서 나온 것이 맞나 | 지진파의 주파수, 잠수함과 충돌 시 발생하는 고유진동수
4. 사건의 재구성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인가?
-천안함 사건의 육하원칙
1. 천안함 사고 발생 시각의 문제
‘언제’ 무슨 일이 있었나 | 사고 시각, 대체 왜 이리 자주 바꿨나 | 21시 15분의 미스터리, 정부 발표 시각 이전 천안함 아무 일 없었나 | 해작사 작전처장 ‘여러 정황 고려 21시 15분으로 추정, 합참에 보고’ | 천안함 CCTV 종료시각 21시 17분, TOD 영상에 없는 사고 순간 천안함 | CCTV에 나타난 순찰자의 녹색 복장과 발견 당시 검은색 복장 | 러시아보고서 “폭발시각 CCTV 시각과 불일치”, 미군 조사단장 “시간이 안 맞춰져서 그런 것” | 사고 직후 TOD 동영상 없다…TOD 시계 2분 40초 늦다 → 1분 40초 늦다 | 청와대 행정관만 반파되는 순간 영상 봤다? | 최원일 “21시 25분”, 박연수 “21시 24분”, 백령도 초병 “21시 23분”―계속되는 시간 오차 | “한미연합훈련 천안함 사태로 종료” 그런데 종료 시각이 21시? | 에클스 발표 자료, 사고 날짜가 3월 24일?
2. 천안함 사고 장소의 의문
‘어디서’ 사고가 일어났나 | 수차례 번복된 사고 발생 지점 | 사고 발생 지점 발표 기관마다 다 달라 | KNTDS 좌표조차 합조단 좌표와 다르다? | KNTDS에서 신호가 사라진 순간부터 6분간 무엇을 했나 | 천안함, 왜 백령도 해안까지 근접 항해했나 | “3월 26일 천안함 주변엔 아군 함정 15척 활동, 레이더 작동 중, 어떻게 적이 공격을…” | 천안함 어초지대서 고속 유턴 확인…왜 내륙 쪽으로 변침했나 | 함미 침몰 지점 부근서 발견된 미상 2000톤급 침몰선은 뭔가…현장 취재기 | 백령도 초병의 진술을 토대로 한 “합리적 의문” | 기타, 언론보도 검증위원회가 제기한 의문
3. 천안함 사고의 범인, 어뢰의 의문
‘누가(무엇이)’ ‘어떻게’ 천안함을 침몰시켰나 | 1번 어뢰가 천안함을 파괴한 주범인가 | 상끌이어선 특수그물 투입 전엔 못 찾았다? | 어뢰 못 찾아도 발표하려 했다? | 합조단이 (어뢰 위치) 포인트(좌표)를 줬다? | 원스타 탑승하자 어뢰 수거, “성과 없어 압박받았다 생각” | 합조단, 쌍끌이어선에 ‘어뢰 찾으라’ 지시했나 안 했나… | 최초 발견 시 어뢰추진체를 둘둘 감고 있는 철사뭉치는 뭔가 | 1번 글씨 연소논쟁 | 5년 만에 사라진 문제의 잉크 성분 | 어뢰 부식 상태와 관련된 의문 | 민간에서 진행된 50일 부식실험 | 수거 직후 어뢰추진체 부식 상태에 대한 재판부의 일방적인 결론 | 국과수 연구원이 분석한 어뢰부식 연구내용 왜 감추나 | 이종인 “수거 직후 어뢰 동영상 봐도, 3년 이상 돼 보여” | 흡착물질은 폭발물질인가, 부식물질인가 | 과학자들의 거센 반론―폭발재 아닌 “자연, 바닷물에서 생성된 물질” | 합조단의 해명―“세상에 없는 물질이 선체와 어뢰에 붙어 있어 폭발재로 결론” | 법원 “합조단, 흡착물질 분석 못한 채 폭발재로 결론” | 미군 조사단장 “흡착물질, 바닷속 부식환경에서도 존재 가능…빼거나 부록으로” | 어뢰폭발력은 어느 정도? 화약성분은 왜 없나? 폭약량은 일치하는가? | 1번 어뢰 북한산 입증할 어뢰 설계도 원본이 있는가 | 어뢰추진체의 크기, 실측치와 보고서 수록 측정치가 왜 다른가
4. 천안함 사건 ‘범행동기’의 의문
천안함을 공격한 이유는 있었나 | 북한 잠투함정 침투 후 도주 과정을 확인했나 | “잠수정 못 잡아도 어뢰는 잡는다” vs “음탐기로 잠수정 못 잡을 수 없다” | 사라진 잠수정의 침투 가능성은? 김태영 “연관성을 좀 낮게 보고 있다” | 북한의 범행 동기 “대청해전에 대한 보복이었다” | “잠수함 보복 공격은 검토한 사항 중 가장 가능성 낮았다” “북한의 특이동향 없었다” | 어뢰폭발이 아니라면…아군 기뢰, 육상조종기뢰를 터뜨렸을 가능성은 | 러시아 조사단 보고서 | ‘물이 줄줄 샌다’ 선체 노후로 인한 피로파괴 가능성은… | 북한공격, 어뢰 기뢰 등 폭발 아니면…좌초 가능성은? | 최초 보고는 좌초, 20여분 뒤 어뢰 보고? | 해작사 “9시 15분 좌초” 해경 “좌초 전문 받았다” | 반듯하게 잘린 선저 중앙, 메탈 스크래치, 프로펠러 손상, 기름이 흐른 것 | “선저 중앙·좌현 스크래치는 광물질 등에 긁힌 흔적” 그런데 합조단은 “선체 길이방향 긁힘 찢김 없었다”? | 함미 우현 프로펠러가 왜 앞으로 휘어졌을까 | 기타, 사고 당일 MB도 좌초 가능성 보고? | 기타, 암초에 붙은 굴 껍데기 긁힌 흔적 천안함과 관련 있나,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에서 집중 조명 | “좌초로 군함을 절단할 수 있나” “작전구역에 암초 없다, 어디서 좌초됐다는 거냐” | 폭발도 좌초도 아니면 남은 건 충돌 뿐…뭐에 부딪혔다는 건가 | 제3의 부표 논쟁 | 제3의 부표와 잠수함 충돌설의 상관성? | 잠수함 충돌설, 발견된 잠수함이 없다는 게 가설의 한계 | ‘육하원칙의 의문’ 마무리
5. 천안함 끝나지 않은 재판
실패로 끝난 천안함 북풍 선거 | 신상철 명예훼손 사건 5년 6개월 수십 명의 법정 증언 기록 | 1차 공판~45차 공판의 기록과 증언 (하위 목차 생략) | 공판 기록 편 정리 | 5년 6개월의 천안함 진실 찾기
6. 언론은 천안함 사건을 어떻게 다뤄왔나?
처음엔 모든 의혹 언론이 제기했다 | 조중동 KBS 중심의 북한 어뢰설 보도 | 언론보도가 왜 이랬을까 | 현직 언론인들의 추적-천안함 과학논쟁 오철우 기자 | 정보공개의 한계…천안함과 세월호의 차이점은
7. 천안함 의문을 제기했던 사람들
이정희 전 민주노동당 의원 “TOD 천안함 분리 순간 목격” 무혐의 | 박선원 “미군이 정보 제공을 하지 않는다” 김태영 장관이 고소 | 김용옥 “천안함 조사결과 0.0001%도 못 믿겠다” 무혐의 | 이태호 참여연대 처장 천안함 서한 | 조용환 변호사 헌법재판관서 낙마 | 신상철 7년째 재판 1심 패소, 암투병에도 분투 | 이종인 “천안함은 좌초 가능성도 아니고 그냥 좌초” | 강윤기, 천안함 의혹 방송 징계 맞서 4년째 법정투쟁 승리 | 백령도 초소 취재 심인보, 이젠 《뉴스타파》 기자로 천안함 추적 | 안수명, 4년간 미 해군과 정보공개 소송…2000쪽 자료 얻어내 | 이승헌, 합조단 흡착물질 데이터 첫 문제제기…《조선일보》와 격돌 | 서재정, 수중폭발 충격파는 없었다고 과학으로 입증 | 양판석, “합조단은 과학이란 말, 상대에 윽박지르는 데 사용” | 김황수, 잠수함 충돌설을 유언비어에서 학설로 끌어올려
김원식 “미군 백령도 북핵개발 감시장치 데이터 공개 안 돼” | 백승우 감독, 〈천안함 프로젝트〉 메가박스 상영 중단 수난 | 블로*·네티즌들의 끈질긴 추적 |
맺음말 | 이제부터 시작하는 천안함 진실 찾기
주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