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야욕 아베신조를 말하다 또는 명작으로 읽는 통섭의 한국사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일본의 야욕 아베신조를 말하다 또는 명작으로 읽는 통섭의 한국사

로즈
2025-04-15 09:12 0 0

본문




일본의 야욕 아베신조를 말하다
9791185889375.jpg


도서명 : 일본의 야욕 아베신조를 말하다
저자/출판사 : 이춘규, 서교출판사
쪽수 : 348쪽
출판일 : 2017-04-25
ISBN : 9791185889375
정가 : 15000

_추천사 ㆍ 5
_들어가기 전에 ㆍ 8

제1장 아베 신조 가(家)의 역사적 배경
01 일본사에서 특별한 야마구치 현(縣) ㆍ 18
02 조슈의 기나긴 한(恨) ㆍ 22
03 아베의 정신적 지주, 요시다 쇼인(吉田松陰) ㆍ 26
04 일본 재계와 조슈 인맥 ㆍ 31
05 일본에도 지역감정이 있다 ㆍ 35
06 운명의 세이난 전쟁 ㆍ 41
07 한국과 특별한 인연 야마구치 ㆍ 44

제2장 아베의 출생
01 아베의 출생 ㆍ 48
02 일본의 세습정치 ㆍ 50
03 왜 흙수저 다나까 가쿠에이 전 총리 열풍인가 ㆍ 56
04 일본 최고의 가족 배경 아베 신조 ㆍ 61
05 일본 정계의 대모, 모친 아베 요코 ㆍ 65
06 이름에 대한 사연과 일본의 양자제도 ㆍ 72
07 아베의 작은 아버지, 니시무라 마사오 ㆍ 77
08 왜 외할아버지를 할아버지라고 하는가 ㆍ 83

제3장 아베의 학력 및 이력
01 도쿄대 법학부 출신만 4명, 수재 집안 아베의 스트레스 ㆍ 90
02 일본인들의 일류대 병(病) ㆍ 96
03 미국 유학 ㆍ 99
04 회사원 시절 ㆍ 104
05 비서 시절 ㆍ 109
06 아베의 종교와 일본의 종교 ㆍ 114
07 아베 가(家)와 통일교 ㆍ 119

제4장 아베 정신의 원류
01 영화 나라야마 부시코와 일본의 집단주의 ㆍ 124
02 모모타로(桃太郞)에서 강경파 아베의 원형을 본다 ㆍ 129
03 일본인의 분위기 탐지 ㆍ 133
04 시마구니 곤조(島國根性), 섬나라 근성 ㆍ 136
05 일본의 천황(天皇)제 ㆍ 141
06 고쿄(황거:皇居)는 단단한 요새 ㆍ 148

제5장 정계 입문 그리고 성장
01 우연히 젊은 매파의 기수가 되다 ㆍ 156
02 매파의 기수, 납북자 문제에 올라타다 ㆍ 160
03 아베의 강력한 지지기반 ‘우익단체’ ㆍ 164
04 자민당 간사장 ㆍ 171
05 내각 관방장관 ㆍ 174

제6장 아베의 1차 집권
01 물과 기름 사이 후쿠다 제치고 첫 내각총리대신 취임 ㆍ 180
02 젊은 총리 취임과 구(舊)체제 대표들의 조롱 ㆍ 182
03 참의원 의원선거 패배와 돌연한 사임 ㆍ 187
04 아베 신조와 아키에 부인의 약속 ㆍ 191
05 좌절한 전후 세대의 첫 총리 ㆍ 195
06 다카오 산에 올라 건강에 자신감을 찾고 재기 시동 ㆍ 198

제7장 아베의 2차 집권
01 좌선(坐禪)과 2차 집권 ㆍ 204
02 두 번째의 총재 취임 ㆍ 207
03 투명하게 공개되는 총리 아베의 일정 ㆍ 210
04 기자 직접 접촉 대신 SNS 활용하는 아베 ㆍ 213
05 경제 ㆍ 종교 ㆍ 정치 인맥 ㆍ 218
06 측근 집단 ㆍ 222
07 도쿄 신주쿠 살롱 인맥 ㆍ 226
08 아베의 한국 인맥 ㆍ 229

제8장 아베의 정책
01 아베노믹스 ㆍ 234
02 아베노믹스, 추진기구는 ㆍ 240
03 아베노믹스 창안자, 하마다 고이치 교수 ㆍ 244
04 아베노믹스는 미국의 중국 견제 산물인가 ㆍ 250
05 아베 필생의 과제 헌법 개정과 한국 ㆍ 254
06 한 ㆍ 중 ㆍ 일 분란의 씨앗 야스쿠니신사 ㆍ 262

제9장 2차 집권 후 아베의 대외 정책
01 끈질긴 아베 외교 ㆍ 268
02 미국, 중국, 북한과 아베 ㆍ 272
03 트럼프 시대의 미일 관계 ㆍ 276
04 껄끄러운 일본-중국과 동아시아 패권 ㆍ 283
05 북한은 아베 최대의 원군인가 ㆍ 292
06 아베 시대의 한일 관계 ㆍ 301

제10장 승승장구 아베시대 언제까지
01 동북아시아 지역의 격랑 ㆍ 310
02 승승장구 아베 약점도 많다 ㆍ 315
03 아베가 풀어야 할 숙제도 산처럼 쌓였다 ㆍ 321
04 아베 후계를 생각할 때는 아니지만 ㆍ 325
05 아키에 부인, 남편 약점 보완자에서 스캔들 메이커로 ㆍ 329
06 군국주의와 평화주의 피가 섞인 아베 ㆍ 334

_글을 마치며 ㆍ 340




명작으로 읽는 통섭의 한국사
9788967993368.jpg


도서명 : 명작으로 읽는 통섭의 한국사
저자/출판사 : 이동연, 북오션
쪽수 : 356쪽
출판일 : 2017-09-06
ISBN : 9788967993368
정가 : 16000

역사의 새벽
01 별에서 온 어린 왕자, 별로 가려는 인간들 _14
02 한반도의 이브, 역포인 -동이족의 원시사회는 유토피아인가? _22
03 치우의 한족(韓族), 황제의 한족(漢族)과 싸워 120전 전승하다-아테네와 아레스의 싸움 _30
04 산신령 단군왕검, 그 신화를 닮은 일본 신화 _36
05 고조선은 동방의 천자국이다 _42
06 삼한의 오리 사랑- 구스타프 클림트의 [생명의 나무] 그리고 프로메테우스 _50

삼국시대
01 님프의 아들 주몽, 소서노와 결혼하여 기반을 닦다 _58
02 소서노, 장미에 찔린 릴케처럼 _65
03 아프로디테와 부여 공주 파소-혼전 임신으로 가출해 신라를 만들다 _71
04 유리왕, 외로운 로빈슨 크루소 _78
05 고구려인들은 결혼식 때 수의를 준비한다-앙드레 지드의 《좁은 문》 _84
06 낙랑공주와 줄리엣, 사랑이냐 충효냐 _90
07 사람 깔고 앉는 모본왕, 백성 울린 을파소- 톨스토이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_96
08 산상왕, 형수와 결탁해 왕이 된 고구려의 햄릿 _103
09 멧돼지를 잡고 왕비가 된 처녀-달의 신 아르테미스의 멧돼지 _108
10 ‘루(婁)’자 시대를 끝낸 백제 초고왕, 마한을 누르고 대륙에 진출한 고이왕 _112
11 근초고왕, 백제의 황색 깃발로 고구려의 적색 깃발을 덮다 _117
12 광개토대왕은 왕관 대신 투구를 쓰고, 훈족 아틸라는 베르디의 오페라가 되다 _124
13 형제국 고구려와 백제는 왜 그토록 싸웠을까?- 펄 벅의 《대지》 _131
14 신라 진흥왕, “음악이 무슨 죄가 있겠느냐”-전장에 울려퍼진 쇼팽의 야상곡 _137
15 스파이들이 난무한 삼국 -《007》 시리즈 _144
16 을지문덕에게 진 수양제는 동양의 돈키호테였나? _150
17 신라 진평왕에게 백제 사위 서동은 브루투스였다 _155
18 고구려와 백제 vs 신라와 당나라 -삼한중국판 오월동주 _160
19 《모비 딕》과 당태종의 유언, “다시는 고구려를 치지 마라” _166
20 신라와 손을 잡은 당나라, 자만에 빠진 의자왕 -이들을 통해 본 《인간의 조건》 _171
21 신라의 마타하리, 금화 _178
22 보물섬 고구려가 무너지니 신라와 당나라가 다투다 _185
23 통일신라시대냐 남북국시대냐, 고도를 기다리며 _191
24 왕건에게 밀린 궁예는 셰익스피어의 맥베스였다 _200
25 왕건과 견훤의 마지막 승부처, 대구와 안동 -삼한인의 《백년의 고독》 _206

고려 시대
01 태조는 거란의 낙타를 거부하고, 서희는 세 치 혀로 거란을 물리치다 _214
02 파혼 후 씨받이가 된 공예태후 임씨 -지리산 피아골 종녀촌과 아마조네스 _221
03 요정 클리티에의 변신으로 비춰본 묘청과 김부식 _226
04 무신의 난은 ‘중용’의 상실이다 _232
05 민란 시대, 분노의 포도주잔을 던지다 _237
06 안마당에서 일어난 프랑켄슈타인의 괴물 최충헌의 반란 _243
07 비만증으로 막을 내린 최씨 무신 정권 - 이규보와 궁정화가 벨라스케스 _248
08 삼별초의 숭엄한 최후 - 찰스 디킨스의 《위대한 유산》 _256
09 원나라의 신데렐라 기황후와 [제위보가] _261

조선 시대
01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자, 킹스맨 허조 _272
02 동방의 카르멘, 황진이 _277
03 조선의 로빈 후드 임꺽정, 정쟁을 중지시키다 _284
04 이황과 조식, ‘주홍 글씨’에 얽혀 영남을 분열시키다 _291
05 조선의 당쟁은 《오만과 편견》인가? _296
06 주막과 인조반정 -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사천의 선인》 _305
07 장희빈과 퐁파두르 후작 부인 _313
08 홍경래의 분노, “여기가 동물농장이냐? 평안도 놈들이라고 부르게?” _320
09 《조선책략》과 클로드 모네의 [해돋이] _329
10 근대의 서막, 우정국에 비친 불기둥-알퐁스 도데의 《마지막 수업》 _337
11 김홍집 그리고 이육사의 [초인] _344
12 아하 무사히 건넛슬가 _352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