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식물 또는 동아시아에서 세계를 보면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다가오는 식물 또는 동아시아에서 세계를 보면

로즈
2025-04-15 09:12 1 0

본문




다가오는 식물
9791186561430.jpg


도서명 : 다가오는 식물
저자/출판사 : 백은영, 북노마드
쪽수 : 112쪽
출판일 : 2017-07-14
ISBN : 9791186561430
정가 : 11000

Part 1 나의 정원 - 바라보는 식물
틸란드시아 이오난사
녹색 잎
아라우카리아
이름 모를 풀
에키놉스
유칼립투스 시네리아
뱀무 렙탄스
프로테아 롱기폴리아
드라큘라 베네딕트
하얀 꽃
드라이플라워
하얀 꽃다발
바구니 나무
알로에 베라

Part 2 마음의 정원 - 이야기 식물
숨기지 못하는 눈빛
틸란드시아 세로그라피카
선인장
이름 모를 꽃
퍼플 선인장
소라껍질 속 다육식물
틸란시아 바일레이
아치쿨라타 선인장
잔설봉
에린지움 플라눔
푸크시아
박쥐란
데이토나 튤립
몬스테라
방크시아

Part 3 산책의 정원 - 길 위의 식물
올리브 가지
마란타 레우코네우라
가을 낙엽
망원동 은행나무
들꽃으로 만든 꽃다발
거리의 야생식물
북촌 백송나무
창과 그림자
식물이 있는 미술관
할슈타트의 벽에는
할슈타트의 나무들
목화솜을 그리며
푸른 돌과 모래
길에서 주운 것들
산, 낮과 밤, 바다, 그리고 나무




동아시아에서 세계를 보면
9788994606453.jpg


도서명 : 동아시아에서 세계를 보면
저자/출판사 : 미야지마 히로시 , 배항섭 엮음, 너머북스
쪽수 : 496쪽
출판일 : 2017-06-15
ISBN : 9788994606453
정가 : 27000

머리말

1부_ 근대 전환기 동아시아 지식인의 사유

1장 유학경제학이 가능한가?- 근대 이행기의 유학과 경제 _ 미야지마 히로시
1. 경제라는 말을 둘러싼 전통과 근대
2. 심대윤과 『복리전서』
3. 천후안장의 『공자와 그 학파의 이재학理財學원리』
4. 시부사와 에이이치의 『논어와 주판』론
5. 앞으로 과제
2장 국가(도의관)를 둘러싼 근대 한일 사상 비교 - 이기와 나카에 조민 _ 조경달
1. 약육강식 시대의 조선, 국가주의의 발생
2. 국가주의의 성립: 박은식과 신채호
3. 도의에 대한 확신: 이기의 사상 ①
4. 도의와 결별: 이기의 사상 ②
5. 나카에 조민과 비교
6. 정치와 도덕, 이기의 국가주의
3장 19세기 중반 이후 한·중·일 3국의 실학 개념 _ 이경구
1. ‘실학’ 개념 변화의 생명력
2. 19세기 후반 한국의 실학 개념과 새로운 계보
3. 19세기 후반 중국의 실학 개념
4. 19세기 후반 일본의 실학 개념
5. 실학 이후의 ‘실학’

2부_ 전통적 사유의 변화와 지속

4장 동학교도의 동학에 대한 이해와 유교 _ 배항섭
1. 동학과 동학농민전쟁의 관계
2. ‘개벽’ 사상으로서의 측면
3. 구제 수단으로서의 측면
4. 생활 윤리 및 변혁의 무기로서의 측면
5. ‘반란’의 무기가 된 지배이념
5장 근대 전환기 지식인들의 ‘문명’ 인식 - 유인석과 이기 _ 김선희
1. 문명, 중화의 문명
2. ‘문명개화’의 도전
3. 중화와 문명의 분리
4. 최후의 유학자들과 「우주문답」의 질문들
5. 문명‘들’의 중첩
6. 신견문, 신사상, 신학의 도전
7. 봉인된 미래와의 절연
6장 분기인가 수렴인가? -첸무와 푸스녠을 통해 본 민국시대 중국 학술사회의 풍경 _ 문명기
1. 민국시대 ‘학술사회’를 이해하는 방식
2. 첸무의 경?사 연구: 학술사적 맥락
3. 통通?전專과 경세經世?구진求眞: 첸무와 푸스녠의 분기
4. 게임의 규칙: 학술적 표준의 숙성과 학술사회의 수렴
5. 민국시대 학술사회의 수렴과 그 의미
7장 19세기 전반 일본 지식인의 국체와 도 관념 -요코이 쇼난과 요시다 쇼인 비교 _ 스다 쓰토무
1. 깊이를 더해가는 요코이 쇼난 연구와 방향을 잃은 요시다 쇼인 상像
2. 1856년 이전 요코이의 ‘유도?무도’론
3. 1856년 이후 요코이, ‘강병론’으로 전환
4. 1855년 이전 요시다, ‘군신상하일체君臣上下一體’론 제기
5. 1855년 이후 요시다, 지켜야만 할 ‘국체’ 발견
6. 요코이와 요시다의 ‘무위武威’ 심성에서 나온 부국강병
8장 유학적 관점에서 본 나카무라 마사나오의 문명론 _ 이새봄
1. ‘메이지 계몽사상’이라는 틀
2. 문명 이해의 바탕
3. 문명의 내용: ‘인민’의 ‘품행’ 향상
4. 품행의 기원: 천과 교법의 관계
5. 일본 유학과 문명

3부_ 새로운 사유의 형성과 전유되는 전통

9장 대한제국 말기 동아시아 전통 한문의 근대적 전유 轉有 _ 노관범
1. 근대 한문의 발견
2. 『고등한문독본』이라는 한문 교과서
3. 『고등한문독본』의 당대적 사유
4. 근대 한문의 의미
10장 과도기의 형식과 근대성 - 근대계몽기 신문연재소설 『신단공안』과 형식의 계보학 _ 박소현
1. 근대성의 형식과 『신단공안』
2. 『신단공안』과 공안 그리고 근대 신문
3. 『신단공안』과 탐정소설
4. 억압된 근대성의 서사로서 『신단공안』
11장_ 19세기 전ㆍ중반 사무라이의 정치화와 ‘학당’ -미토번과 사쓰마번을 중심으로 _ 박훈
1. ‘학당學黨’의 대두
2. 미토번 번교 고도칸과 신분제
3. 고도칸과 ‘학적 네트워크’
4. ‘학적 네트워크’와 ‘학당學黨’의 출현: 사쓰마번의 ‘근사록당’을 중심으로
5. ‘학당’의 확산
12장 신해혁명 시기의 민족문제와 중국 민족주의 - 캉유웨이의 『대동서』를 중심으로 _ 무라타 유지로
1. 제2대민족정책의 대두
2. 캉유웨이와 『대동서』
3. 종교와 대동
4. 디스토피아dystopia로서 대동
5. 자유와 통제
6. 동화와 배제를 넘어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