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신앙고백 해설 또는 서울이 품은 우리 역사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프랑스 신앙고백 해설 또는 서울이 품은 우리 역사

로즈
2025-04-15 09:12 0 0

본문




프랑스 신앙고백 해설
9791187025160.jpg


도서명 : 프랑스 신앙고백 해설
저자/출판사 : 장대선, 세움북스
쪽수 : 432쪽
출판일 : 2017-05-01
ISBN : 9791187025160
정가 : 19000

서문ㆍ7

제1부ㆍ하나님과 그분의 계시

제1조 하나님ㆍ15
제2조 계시ㆍ28
제3조 성경ㆍ39
제4조 믿음의 규칙ㆍ49
제5조 성경의 권위ㆍ58
제6조 삼위일체ㆍ68
제7조 창조, 하나님의 사역ㆍ77
제8조 하나님의 통치ㆍ86

제2부ㆍ사람과 그의 죄

제9조 인간의 타락ㆍ97
제10조 원죄ㆍ106
제11조 원죄의 영향ㆍ115

제3부ㆍ예수 그리스도

제12조ㆍ125
제13조ㆍ134
제14조 그리스도의 신성ㆍ140
제15조 그리스도의 본성의 연합과 구별ㆍ150

제4부ㆍ구원 사역

제16조 그리스도의 죽으심ㆍ163
제17조 그리스도의 죽으심의 효과들ㆍ170
제18조 우리의 의, 그리스도ㆍ181
제19조 우리의 중보자, 그리스도ㆍ189
제20조 우리 구원의 진리ㆍ198
제21조 변치 않는 은혜인 믿음ㆍ207
제22조 믿음의 효과ㆍ215
제23조 율법의 기원ㆍ223
제24조 우리의 유일한 변호자, 그리스도ㆍ232

제5부ㆍ교회의 본질

제25조 교회에 필요한 목사ㆍ247
제26조 공적 예배의 유지ㆍ258
제27조 교회의 정의ㆍ268
제28조 교황주의에 대한 반대ㆍ278

제6부ㆍ교회의 기구(조직)

제29조 교회의 직원ㆍ291
제30조ㆍ299
제31조 교회 직원의 선출ㆍ309
제32조 교회의 법(규정)ㆍ317
제33조 파문ㆍ325

제7부ㆍ성례

제34조 성례의 시행ㆍ335
제35조 세례ㆍ345
제36조ㆍ355
제37조 주의 만찬(성찬)ㆍ363
제38조ㆍ369

제8부ㆍ세속의 권세(공권력)

제39조 관원의 권한ㆍ379
제40조 관원에 대한 복종ㆍ392


부록 : 프랑스 신앙고백 전문ㆍ404
미주ㆍ418
?




서울이 품은 우리 역사
9788993467314.jpg


도서명 : 서울이 품은 우리 역사
저자/출판사 : 문동석, 상상박물관
쪽수 : 472쪽
출판일 : 2017-03-10
ISBN : 9788993467314
정가 : 25000

저자의 말

제1부 조선시대 이전의 한성

1장 백제시대의 한성
1. 백제 700년 역사
2. 백제 위례성과 한성
3. 백제 한성시대의 역사 유적
1) 풍납토성 2) 몽촌토성 3) 석촌동 고분군
▶더 알아보기: 백제, 한반도 차 문화, 발효 식품의 원조

2장 고구려, 신라 지배하의 한성
1. 고구려 지배하의 한성
2. 신라 지배하의 한성
3. 신라 통일기 한성 지역
4. 고구려, 신라 지배하의 한성의 역사 유적

3장 고려시대의 남경
1. 남경의 건설 과정과 국왕의 순행
2. 남경의 도시시설

제2부 조선시대의 한성

4장 조선시대의 한성부
1. 한성의 범위
2. 한성의 도로와 개천
3. 한성의 주민과 생활

5장 조선 왕조의 정궁, 경복궁
1. 조선의 개국과 경복궁
1) 태조의 한양 천도
2) 조선 왕조와 경복궁
2. 경복궁의 공간 구조
1) 삼문 구역 2) 치조 구역 3) 내조 구역
4) 외조 구역 5) 동궁동조 구역 6) 후원 구역
▶더 알아보기: 일제 강점기의 경복궁

6장 조선 왕실이 사랑한 궁궐, 창덕궁
1. 창덕궁의 창건
2. 창덕궁의 공간 구조
1) 삼문 구역 2) 치조 구역 3) 내조 구역
4) 외조 구역 5) 동궁 구역 6) 낙선재 구역
7) 후원 구역

7장 조선 왕실 여인들을 위한 궁궐, 창경궁
1. 조선 전기 창경궁의 창건
2. 조선 후기 창경궁의 중건과 일제 강점기의 격하
3. 창경궁의 공간 구조
1) 삼문 구역 2) 치조 구역 3) 내조 구역
4) 후원 구역

8장 조선의 국가 제사 공간, 종묘와 사직단
1. 조선의 개국과 종묘
2. 종묘의 공간 구성과 제례
3.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4. 사직의 유래와 역사
5. 사직단의 공간 구성
▶더 알아보기: 종묘와 사직의 수난

9장 조선의 인재 양성 기관, 성균관
1. 성균관과 문묘의 유래
2. 문묘의 공간 구조
3. 성균관의 연혁과 제도
1) 성균관의 연혁
2) 성균관 유생들의 생활과 문화
4. 성균관의 공간 구조
▶더 알아보기: 성균관 주변의 유적

10장 조선 왕조의 정통성을 드러내는 왕릉
1. 왕의 죽음부터 매장까지
2. 왕릉의 형식과 시설물
1) 진입 공간 2) 제향 공간 3) 능침 공간

제3부 근대 및 일제 강점기의 경성, 그리고 서울

11장 대한제국 황제의 궁궐, 경운궁
1. 정동과 경운궁의 역사
2. 경운궁의 공간 구조
1) 외조 구역 2) 치조 구역 3) 내조 구역
3. 외국 공사관과 외세의 활동무대
4. 황제의 길, 원구단

12장 근대 민족·건국운동의 산실, 북촌
1. 1884년 갑신정변과 북촌
2. 1919년 삼일운동과 북촌
3. 1920~1930년대 민족운동과 북촌
4. 해방 후 건국운동과 북촌

13장 일제 황민화 정책과 남산 일대
1. 일제 식민지 침략의 심장부
2. 일본 신사와 사원, 공원의 설립
3. 일제 침략에 대한 저항의 자취

14장 독립운동가의 한이 서린 서대문형무소
1. 서대문형무소의 통제 시스템
2. 서대문형무소의 역사 유적
3. 주변 역사 유적

15장 우대(상촌)의 권력과 경관의 변화
1. 조선시대의 우대(상촌)
2. 일제강점기의 우대 지역
3. 해방 이후의 우대 지역
4. 우대(상촌)의 역사 유적

16장 서울의 출발과 그 범위의 확대
1. 서울의 행정구역
2. 서울의 강남 개발

참고문헌
도판 및 사진 출처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