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분야별 전략 추진사례 및 주요 기술의 융합사례 분석 또는 루쉰, 길 없는 대지
로즈
2025-04-15 09:12
15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7회 연결
본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분야별 전략 추진사례 및 주요 기술의 융합사례 분석

도서명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분야별 전략 추진사례 및 주요 기술의 융합사례 분석
저자/출판사 : 좋은정보사, 좋은정보사
쪽수 : 413쪽
출판일 : 2017-05-26
ISBN : 9788998586287
정가 : 320000
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비즈니스 현황 및 기업 추진 사례분석 35
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비즈니스 현황 및 과제 35
1) 디지털 시대의 비즈니스 트랜스포메이션 추진 및 현황 35
(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개요 35
1.1) 개념 35
1.2) 단계별 발전 동향 36
1.3) 도입 배경 38
1.3.1) 새로운 접근방식 및 시도의 필요성 38
1.3.2) 기존 사업자 역할 축소 38
1.3.3) 기타 39
(2) 비즈니스 변화 41
2.1) 새로운 디지털 시대의 도래 41
2.2) 해결 과제 42
2.3) 기술 관리 43
2.4) 기업혁신 패러다임 변화 43
2.4.1) 톱다운(Top-down) → 보텀업(Bottom-up) 43
2.4.2) 통합 추진 44
2.4.3) Fast Follower → First Mover 45
(3) 혁신 요소 46
3.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5가지 혁신 요소 46
3.2) 새롭게 대두되는 CxO 디지털 우선순위 46
3.2.1) 비즈니스 당면 과제 46
3.2.2) 주요 전략 47
3.2.3) 주요 접근 방식 47
3.3) 새로운 가치사슬(Value chain) - TSIN 48
(4) 스토리지 확보 49
4.1) 스토리지 병목 현상 49
4.2) 올 플래시 스토리지(AFA, All Flash Array) 49
4.2.1) 개념 49
4.2.2) AFA 스토리지 도입 현황 50
4.2.3) AFA 사용 이유 51
4.2.4) AFA 기반 어플리케이션 52
4.2.5) 기술 선택 조건 52
(5) 비즈니스 성과의 가속화 53
5.1) 성능 53
5.1.1) AFA의 용도 53
5.1.2) 주요 이점 53
2) 디지털 혁신을 위한 네트워킹 55
(1) 개요 55
1.1) 비즈니스 변화를 가져오는 디지털 혁신 55
1.2) 디지털화를 수용한 기업 비즈니스 이점 56
(2) 디지털 혁신에서의 네트워크 57
2.1) 네트워크 중심의 기술 트렌드 57
2.2) 디지털 계획에서 네트워크의 역할 58
(3) 디지털 조직을 위한 새로운 네트워크 원칙 60
3.1) 기존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한계 60
3.2) IT 조직의 10가지 네트워킹 관련 우선 과제 61
3) Cisco의 아키텍처 접근 방식 64
(1)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는 Cisco의 아키텍처 접근 방식 64
1.1) Cisco의 DNA(Digital Network Architecture) 64
1.2) DNA 원칙 65
1.3) Cisco의 새로운 디지털 서비스 66
(2) Cisco 아키텍처 접근 방식(Architectural Approach) 도입 이점 68
2. 아태 지역 DX현황 및 기업 전략과 추진동향 70
1) 아시아 태평양 지역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현황 및 사례 70
(1) 아태 지역 DX 준비현황: 민첩한 광역 네트워크(WAN) 활용 70
1.1) DX로 전환하기 위한 과제 70
1.2) 시장 동향 71
1.2.1) 소프트웨어 정의 WAN 72
a) 개요 72
b) 네트워크 유연성 재고 73
1.3) 벤더 프로파일: Riverbed 어플리케이션 중심 솔루션 73
1.3.1) SD-WAN의 비전 73
a) Riverbed의 어플리케이션 중심 솔루션 73
b) 지점/지사용 라우터 시장에 대한 공략 추진 75
1.3.2) 복잡성 75
1.3.3) 장기적인 비전 75
1.4) 고려 사항 76
(2) 아태지역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부문별 현황 및 관련 사례 77
2.1) 개요 77
2.1.1) 아시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종합 스코어 77
2.1.2) 업계별 차이 79
2.1.3) 사례 연구: 핀테크의 혁신적 기업과의 협업 80
2.2) 디지털 인프라 80
2.2.1) 디지털 인프라 항목 순위 80
2.2.2) 국가 주도 사업 82
2.2.3) 기업의 입장 82
2.3) 인적 자본 83
2.3.1) 인적 자본 항목 순위 83
2.3.2) 위기극복 방안 84
a) 온라인으로 전환 84
b) 오픈 이노베이션 커뮤니티(open innovation community) 84
2.3.3) 기술 발전을 위한 산업계 니즈 85
a) 국가별 인재 확보를 위한 노력 사례 86
2.3.4) 사례 연구: 아시아의 커넥팅 캐퍼빌리티-글로벌 관점 87
a) 인재부족 문제 87
b) 파트너십의 필요성 88
2.4) 기업간 연계성 88
2.4.1) 기업간 연계성 항목 순위 88
2.4.2) 진화하는 테크놀로지 89
a) 플랫폼 현황 89
b) 기존 기술의 개선 현황: DKSH 사례 90
c) 기업의 데이터 분석 이용 현황 90
d) 탑재 센서 활용 현황 91
2.4.3) 진화하는 테크놀로지 사례연구: Haier 사례 분석 92
a) Haier의 디지털화 전략 93
2.4.4) 디지털 파트너십 가능성 93
2.4.5) 기업 문제 95
2.4.6) 디지털화를 통한 주요 편익 96
2.5)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향후 전망 97
2.5.1) 디지털 변화 성공 요인 97
2.5.2) 향후 전망 98
2.5.3) IDC의 아태지역 DX 전망 99
a) 산업별 전통적 수익구조 붕괴 위험 예측 99
b) 부문별 DX 효과 100
2)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및 추진 방법 102
(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102
1.1) 고객경험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102
1.2) 운영·관리 프로세스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102
1.3) 비즈니스 모델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103
1.4)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방법론 104
1.4.1) AT커니 - DigitalFIT 104
1.4.2) Boston Consulting Group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여정 104
(2)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추진 방법 106
2.1) 비전 106
2.1.1) 디지털 비전 인식 현황 106
2.1.2) 디지털 비전 수립 및 사례 106
2.2) 조직 정비 및 인재 확보 107
2.2.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조직 운영 모델 107
2.2.2) 디지털 추진 전담조직 신설 108
2.2.3) CDO(Chief Digital Officer) 도입 108
2.2.4) 인재 확보 110
2.3) 거버넌스 구축 111
2.4) 비즈니스 모델 개발 113
2.4.1) 비즈니스 모델 개발의 4단계 113
2.4.2) 비즈니스 모델 접근 형태 114
a) 산업의 재창조(Reinventing Industries) 114
b) 제품 또는 서비스의 대체(Substituting Products or Services) 115
c) 새로운 디지털 비즈니스의 창출(Creating New Digital Business) 115
d) 가치전달 모델의 재구성(Reconfiguring Value) 115
e) 가치제안의 재정의(Rethinking Value Proposition) 116
2.5) 혁신 및 R&D 추진 116
2.5.1) 이노베이션 센터 설립 116
2.5.2) 디지털 기술 도입 및 구축 118
2.5.3) 실행중심의 방법론을 도입한 혁신전략 118
(3)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업의 인사·조직 운영 전략 120
3.1) 개요 120
3.1.1) 디지털 기업의 의미 120
a) GE/ 지멘스(Siemens) 120
b) 몬산토(Monsanto) 120
c) 기타 기업 121
3.1.2) 디지털 혁신(Digital Disruption) 121
a) 디지털 혁신의 흐름 121
b) Google과 AT&T 사례 121
3.1.3) 디지털 혁신에 대한 인식 122
a) Wait and See 122
b) 조직의 실행역량에 대한 견해 122
3.2) 디지털 전략 실행을 위한 조직 역량 요소 123
3.2.1) 조직 설계의 기본 요소 123
3.2.2) 사람: 산업 전문성 + 소프트웨어 전문성 124
a) 인력의 핵심 역량 요건 124
b)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 방법 124
3.2.3) 조직 구조: 실험(Experimentation)하는 팀 조직 125
a) DevOps(Development and Operations) 사례분석 125
3.2.4) 조직 시스템: 절대 평가·보상을 강화한 성과 관리 시스템 126
a) 어도비의 새로운 성과 관리 시스템 사례 127
3.2.5) 조직 문화: 디지털 문화(Digital Culture) 127
a) 기업들의 디지털화 수준별 조직 문화 양상 127
b) 몬산토 디지털 혁신을 위한 프로젝트 사례 128
3.3) GE의 Going Digital 사례 분석 129
3.3.1) GE의 디지털화 전략 개요 129
3.3.2) 디지털 기술 인력 확보 및 융합 130
3.3.3) Speed to Market을 위한 패스트웍스 팀 도입 131
3.3.4) 파일럿 테스트 중인 평가·보상 시스템 132
3.3.5) 조직 문화 변혁을 위한 리더십 교육 132
3.3.6) 브릴리언트 팩토리(Brilliant Factory) 133
(4) 성공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추진의 고려사항 134
4.1) 선도기업과 후발기업 간의 성과분석 134
4.2) 고려 사항 135
3.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추진기업 사례분석 136
1) 금융 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추진 사례분석 136
(1) 스페인 BBVA(Banco Bilbao Vizcaya Argentaria) 136
1.1) 추진 배경 136
1.2) 목표 및 비전 136
1.2.1) BBVA의 흐름 136
1.2.2) 비전 및 전략 137
1.3) 조직 및 인력 138
1.3.1) 조직도 138
1.3.2)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단계별 조직의 진화 138
1.4) 추진전략 139
1.4.1) 오픈 이노베이션 139
1.4.2) 프로젝트 기반의 혁신 전략 140
1.5) 주요 기술 141
1.6) 성과 143
1.6.1) BBVA의 디지털 서비스 성과 143
1.6.2) 시사점 144
(2) 독일 피도르 은행(Fidor Bank) 145
2.1) 추진 배경 145
2.2) 조직 구성 146
2.3) 사업모델 147
2.4) 추진 전략 148
2.4.1) 커뮤니티 및 SNS를 활용한 양방향 소통 채널 148
2.4.2) 고객 리워드 실시 등의 네트워크 활동 148
2.4.3) 파트너십 및 아웃소싱 149
2.4.4) Banking as a Service 실현 149
2.5) 주요 기술 150
2.5.1) 피도르은행 인프라의 핵심 강점 150
2.5.2) Multi Banking 151
2.6) 피도르은행과 국내 은행산업 151
2) 제조 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추진 사례분석 154
(1) 제조업 혁신 유형 154
(2)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 155
2.1) 추진 배경 155
2.1.1) The 124 Year Old Startup 155
a) 스타트업의 정의 155
b) 특성 156
2.1.2) GE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추진 배경 156
2.2) 목표 및 비전 157
2.2.1) 세계 10대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성장 157
2.2.2) 패스트웍스(Fastworks) 158
2.3) 조직 및 인력 159
2.3.1) GE Digital 159
2.3.2) GE 글로벌 리서치센터 160
2.4) 추진전략 및 주요 기술 161
2.4.1) 산업인터넷 161
2.4.2) 프레딕스(Predix) 161
a) 개요 161
b) 프레딕스 플랫폼 의미 162
c) 프레딕스를 통한 전달 메시지 163
2.5) 성과 164
2.5.1) GE 사례를 통한 국내 제조기반 기업의 준비사항 164
(3) STILL 165
(4) Harley Davidson 166
(5) KAESER Kompressoren 167
3) 리테일 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추진 사례분석 168
(1) 스타벅스(Starbucks) 168
1.1) 추진 배경 168
1.2) 목표 및 비전 168
1.3) 조직 및 인력 169
1.4) 추진 전략 170
1.4.1) 디지털 플라이휠(Digital Flywheel) 전략 170
1.4.2) 고객 주문(Ordering) - Siren Order / Mobile Order & Pay 171
1.4.3) 결제(Payment) 171
1.4.4) 리워드(Reward) 프로그램 172
1.4.5) 개인화(Personalization) 서비스 172
1.4.6) 매장 경험 강화 173
1.5) 주요 기술 173
1.5.1) 디지털 기술 활용 현황 173
1.5.2) 마이스타벅스 바리스타(My Starbucks Barista) 175
1.6) 성과 176
(2) 버버리(Burberry) 177
2.1) 추진 배경 177
2.2) 목표 및 비전 177
2.2.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목표 177
2.2.2) Fully Digital BURBERRY 178
2.3) 조직 및 인력 178
2.4) 추진 전략 179
2.4.1)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179
a) 비스포크(Bespoke) 서비스 179
b) 소셜 미디어 활용 - 아트 오브 트렌치(Art of the Trench) 180
2.4.2) 온오프라인 채널 통합 연계 추진 180
a) 버버리 플래그쉽 스토어 180
2.4.3) 새로운 방식의 패션쇼 및 제품 출시 181
a) 런웨이 리얼리티(Runway Reallity) 프로젝트 181
2.4.4) 위챗(WeChat) 활용 전략 182
2.5) 주요 기술 183
2.6) 성과 184
(3) 맥도날드(McDonald) 185
3.1) Fast Food에서 Fast Casual로의 변화 185
3.1.1) McDonald’s of the Future 185
3.1.2) Experience of the Future 186
3.2) Just For You 모델 도입 186
3.3) 커브사이드 딜리버리(Curbside Delivery) 186
(4) 서브웨이(Subway) 187
4.1) 옴니채널(Omni-Channel) 전략 187
(5) 월마트(Walmart) 188
5.1) 모바일 가상도우미 서비스 ‘Simple Text’ 188
5.2) 옴니채널 전략 강화 추진 189
5.2.1) 모바일 체크인(Mobile Check-in) 189
5.2.2) 식료품 배송 서비스 강화 - Uber, Lyft와 제휴 190
5.3) 물류센터 드론 활용 선반관리 191
5.4) 아마존(Amazon)과의 경쟁을 위한 서비스 강화 192
5.4.1) Scan and Go 192
(6) 아마존(Amazon) 193
6.1) Launchpad 193
6.2) Amazon Payments 194
6.3) 대시버튼(Dash Button) 웹과 모바일로 확장 195
6.4) 자동 주문서비스 Amazon Dash Replenishment 196
6.5) Amazon Go 196
6.5.1) 프로세스 196
6.5.2) 특허 출원 기술 197
6.6) Amazon Supermarket 198
6.7) Airborne Fulfillment Center 특허 출원 199
6.8) 트럭판 우버 서비스 200
6.9) AmazonFresh Pickup 서비스 202
(7) 하이네켄(Heineken) 202
7.1) 하이네켄 CMO가 생각하는 Digital Transformation 전략 202
(8) 콜스(Kohl’s) 203
(9) 타겟(Target) 백화점 205
9.1) 사물인터넷(IoT) 쇼룸 ‘Target Open House’ 오픈 205
9.2) 리워드 프로그램 Cartwheel Perks 테스트 206
9.3) 고객 구매 데이터에 기반한 DMP 비즈니스 추진 207
(10) 시어스(Sears) 209
10.1) 모바일앱 개편 209
10.2) IoT 체험형 전시장‘Connected Solution’오픈 210
(11) 도미노피자(Domino Pizza) 211
11.1) 챗봇(Chatbot)을 활용한 피자주문 211
11.2) Zero Click 212
11.3) 피자배달 로봇 ‘드루(DRU)’ 213
(12) Lowe’s 214
12.1) 주택 리모델링에 Microsoft HoloLens 활용 214
12.2) 고객서비스 로봇 ‘LowBot’ 매장 배치 214
(13) 인텔(Intel) 216
13.1) IoT 리테일 플랫폼 공개 및 투자 확대 216
(14) 랄프로렌(Ralph Lauren) 217
14.1) 인터렉티브 피팅룸(Interactive fitting room) 217
(15) 유니클로(UNIQLO) 217
15.1) 고객 뇌파를 분석한 맞춤형 상품 제안서비스 UMood 217
15.2) 옴니채널 전략 추진 218
(16) Wheelys 219
16.1) Just Walk Out Shopping 경험 제공 219
4) 리테일 기업 기술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사례 220
(1) 인공지능(AI) 활용사례 220
1.1) 노스페이스(The North Face) 220
1.1.1) 왓슨(Watson)을 활용한 모바일앱 출시 220
1.2) 패션 모바일앱 ‘iQON’ 221
1.3) 메이시스(Macy’s) 221
1.3.1) 고객대응에 IBM 왓슨 도입 AI 활용 테스트 221
1.4) 롯데그룹 222
1.4.1) IBM 왓슨(Watson) 활용 222
a) 지능형 쇼핑 어드바이저 223
b) 지능형 의사결정 지원 플랫폼 223
1.5) 힐튼호텔(Hilton) 223
1.5.1) 왓슨(Watson)을 활용한 컨시어지 로봇 코니(Connie) 223
(2)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활용사례 225
2.1) 어린이 대상 VR 마케팅 사례 225
2.2) 이케아(IKEA) 226
2.2.1) 가상현실(VR) 서비스 226
2.3) 타미힐피거(Tommy Hilfiger) 227
2.3.1) 매장내 가상현실(VR) 체험공간 제공 227
2.4) CoolHobo(胡羅舶) 228
2.4.1) 가상현실(VR) 푸드커머스 플랫폼 출시 228
2.5) 세포라(Sephora) / 로레알(L’Oreal) 228
2.5.1) 증강현실(AR)을 활용한 제품 체험 및 경험 증대 228
2.6) Coop 230
2.6.1) 증강현실 기반 ‘미래형 슈퍼마켓’ 오픈 230
(3) 3D 프린터 활용사례 231
3.1) 뉴발란스(New Balance) 231
3.1.1) 3D프린팅 제작 운동화 출시 231
3.2) 아디다스(Adidas) 232
3.2.1) 3D프린팅 제작 운동화 ‘퓨처크래프트 3D’ 232
3.3) 포드(Ford) 233
3.3.1) 자동차 3D프린터를 통한 신차 디자인 제공 233
3.4) 로우(Lowe’s) 233
3.4.1) 3D프린터를 활용한 부품 출력서비스 제공 233
Ⅱ.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서의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 237
1. 2017년 기관별 트렌드 예측 및 전망 237
1) IDC 237
(1) 2017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망 237
(2)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7가지 키워드 240
2) 가트너(Gartner) - 2017년 10대 ICT 전략 기술 트렌드 전망 241
(1) 개요 241
(2) 보편화된 정보(Intelligence Everywhere) 243
2.1)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243
2.2) 지능형 앱(Intelligent App) 244
2.3) 지능형 사물(Intelligent Things) 244
(3) 물리적인 세계와 디지털 세계의 연결 245
3.1)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245
3.2)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245
3.3) 블록체인(Blockchain) 246
(4) 디지털 메시를 구현하기 위한 플랫폼과 시스템 247
4.1) 대화형 시스템 247
4.2) 메시 앱 및 서비스 아키텍처(MASA) 247
4.3) 디지털 기술 플랫폼(Digital Technology Platform) 248
4.4) 능동형 보안 아키텍처(Adaptive Security Architecture) 248
3)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2017 산업 대전망 컨퍼런스 249
2.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의 전방위적 확산 및 융합사례 250
1) 인공지능 기반 주요 기술별 사례 및 시장현황 250
(1) 챗봇(Chatbots) 250
1.1) 개요 250
1.1.1) 개념 250
1.1.2) 특성 251
1.1.3) 이용자 251
1.1.4) 도입 배경 252
a) ICT 패러다임의 진화 및 챗봇의 부상 252
b) 테크노스트레스 253
1.2) 유형 및 핵심기술 254
1.2.1) 봇(bot)의 유형 254
1.2.2) 주요 핵심기술 255
1.3) 시장동향 및 전망 256
1.3.1) 모바일 메신저 시장동향 256
1.3.2) 주요 핵심기술 시장전망 257
1.3.3) 산업 분야별 시장전망 258
1.4) 국내 주요사례 259
1.4.1) 카카오(Kakao) - 카카오 톡(Kakao Talk) 259
1.4.2) 네이버(Naver) - 라인(Line) 259
1.4.3) LG전자 - 홈챗(Home Chat) 261
1.4.4) 텍스트 팩토리 - 문비서 262
1.4.5) 머니브레인 - NH농협은행 금융봇(bot) 서비스 264
a) 국내외 주요은행 챗봇 서비스 현황 265
1.4.6) 국내 정부의 챗봇 활용사례 265
1.5) 국외 주요사례 266
1.5.1) 페이스북(Facebook) - FB Messenger 266
1.5.2) 슬랙(Slack) - Slack Bot 268
1.5.3) 킥(Kik) - Botshop 269
1.5.4) 텐센트(Tencent) - 위챗(Wechat) & QQ 270
1.5.5) 해외 정부의 챗봇 활용사례 272
a) 미국농무부(USDA) - Ask Karen 272
1.6) 시장경쟁 상황 및 파급효과 273
1.6.1) 시장경쟁 상황 273
a) 국내외 챗봇 응용 및 플랫폼 서비스 산업의 구성 273
b) 시장에서의 국내 현황 274
c) 시장 경쟁 상황 275
1.6.2) 챗봇의 파급효과 276
a) 유관산업의 新부가가치 창출 및 혁신 주도 276
b) E2E(Everything to Everything) 및 공유경제 활성화 277
1.7) 시장전망 278
(2) 가상 개인비서 서비스(Virtual Personal Assistants) 280
2.1) 개요 280
2.2) 부문별 시장현황 281
2.2.1) 전체 시장현황 281
2.2.2) 지능형 가상비서 시장규모 284
2.2.3) 가상개인비서 내장형 스피커 시장규모 285
2.2.4) 미국 시장의 스마트폰 가상개인비서 서비스 이용 현황 285
2.2.5) 향후 가상개인비서 서비스 발전에 대한 기대 287
2.3) 국내외 기업의 가상 개인비서 및 융합사례 288
2.3.1) 애플(Apple) - 시리(Siri) 289
2.3.2) 구글(Google) - 구글 나우(Google Now) 290
2.3.3)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 코타나(Cortana) 291
2.3.4) 아마존(Amazon) - 알렉사(Alexa), 에코(Echo) 291
2.3.5) 바이두(Baidu) - 두미(Duer) 294
2.3.6) 페이스북(Facebook) - 페이스북 M 295
2.3.7) 엑스닷아이에이(X.ai) - Amy 296
2.3.8) 퍼스널 헬스 360(Personal Health 360) - 셰어(Shea) 296
2.3.9) 삼성 - 오토(Otto) 297
2.3.10) 비브랩스(VIV Labs) - 비브(VIV) 298
2.4) 기타 적용사례 299
2.4.1) 금융업 적용사례 299
a) Ally Bank - Ally Assist 299
b) CapitalOne - Amazon Echo와의 연계 서비스 299
c) Santander - Voice Banking 300
2.4.2) 해외 핀테크 기업 적용사례 300
a) Kasisto 300
2.5) 가상개인비서 상용화 이슈와 과제 301
2.5.1) 의사결정 301
2.5.2) 개인정보 303
2.5.3) 비즈니스 303
2.5.4) 상용화 촉진 키워드 304
(3) 자율주행자동차 305
3.1) 개요 305
3.1.1) 정의 305
3.1.2) 도입 배경 및 이점 306
3.2) 기술 개요 306
3.2.1) 자동차의 자동화 단계 정의 306
3.2.2) 자동차업체와 IT업체 간 자율주행차량 전략 비교 308
3.2.3) 메커니즘 309
3.2.4) 기술 구성요소 310
3.2.5) 기술발전 4단계 및 전망 311
3.3) 자율주행 자동차용 인공지능 시스템 312
3.3.1) 개요 312
a) 정의 312
b) SAE/NHTSA 적용 단계 312
3.3.2) 시장동향 313
a) 자동차용 인공지능 모듈 시장규모 전망 313
b) 자동차용 인공지능 자동운전 시스템 시장규모 전망 315
3.3.3) 시장경쟁 상황 316
3.4) 기관별 시장 예측현황 317
3.4.1) 보스턴컨설팅그룹(BCG) 317
3.4.2) IHS 317
3.4.3) 기타 318
3.5) 플랫폼 동향 319
3.6) 개발사례 및 전략 321
3.6.1) 완성차 업체 321
3.6.2) 자동차 부품 업체 325
3.6.3) IT 업체 327
3.7) 미국과 국내의 법제도 및 정책동향 332
3.7.1) 미국 332
a) 자율주행 관련 법령 제정현황 332
b) 네바다 주법 및 캘리포니아 주법 간 비교분석 333
c) 관련 정책 334
3.7.2) 한국 336
a) 한국 및 미국의 법제도 비교 336
b) 정부 정책 동향 338
(4) 지능형(소셜) 로봇 339
4.1) 소셜 로봇 개요 339
4.1.1) 개념 339
4.1.2) 특징 340
a) 기존 로봇과의 차이점 340
b) 특징 340
4.1.3) 구성요소 341
4.2) 시장동향 및 전망 342
4.2.1) 국내 시장 342
a) 개인서비스용 로봇 시장규모 342
b) 소셜 로봇 시장전망 343
4.2.2) 국외 시장 343
a) 개인서비스용 로봇 시장규모 343
b) 소셜 로봇 시장전망 345
4.2.3) 시장성장 전망의 배경 346
a) 기술적 요인 346
b) 시장환경 요인 346
4.3) 지능형 로봇 주요 활용분야 347
4.3.1) 의료 로봇 347
4.3.2) 드론 및 물류용의 이동 로봇 348
4.3.3) 국방 로봇 349
4.3.4) 지능형 산업용 로봇 349
4.4) 지능형 로봇의 주요 기술동향 350
4.4.1) 인간로봇상호작용(HRI, Human-Robot-Interaction) 350
4.4.2) 자율주행 351
4.4.3) 서비스로봇의 모듈화 351
4.5) 주요 사례 352
4.5.1) 페퍼(Pepper) 352
4.5.2) 코니(Connie) 354
4.5.3) 플렌 큐브(PLEN Cube) 355
4.5.4) 지보(JIBO) 357
4.5.5) 쿼드콥터형 드론(Drone quadrocopter) 359
4.5.6) 엘드릭(LDRIC) 360
4.5.7) 버디(Buddy) 361
4.5.8) 키비로(Kibiro) 363
4.5.9) 나오(Nao) 366
4.5.10) 스타쉽(Starship) 367
4.5.11) 로어리(ROARY) 368
4.6) 주요 ICT기업의 소셜 로봇 전략 분석 370
4.6.1) 소프트뱅크(Softbank) 370
4.6.2) 소니(Sony) 371
4.6.3) 도요타(Toyota) 372
4.6.4) 애플(Apple) 372
4.6.5) 에이수스(Asus) 373
2) 지능형 IoT 비즈니스 변화 및 활용사례 375
(1) 지능형 IoT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 및 핵심 Enablers 375
1.1) IoT 진화 단계 및 변화 375
1.1.1) IoT 진화 단계 375
1.1.2) IoT로 인한 경쟁 및 환경변화 375
1.2)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 및 대표사례 377
1.2.1) 유통 377
1.2.2) 의료 377
1.2.3) 제조업 378
a) Mass Customization으로의 제조업 혁신 378
b) 서비스 판매로의 비즈니스 모델 변화(Rolls-Royce 사례) 379
1.2.4) 물류 381
1.3) 지능형 IoT의 핵심 Enablers 382
1.3.1) 센서 기술의 발전 382
1.3.2) 정보 분석 및 판단 지능의 발전 383
(2) 홈IoT 시장 분석 및 현황 384
2.1) 개요 384
2.1.1) 국내외 스마트홈 정의 384
2.1.2) 홈IoT로서의 스마트홈 개념 및 특성 384
a) 홈네트워크와 스마트홈 비교 385
2.1.3) 부상 배경 및 전망 385
a) 주거 환경 변화에 따른 사회적 수요 증대 385
b) 모바일 경험 확산 386
c) 디바이스 증가 및 편의성 확대 386
d) 지능정보 사회의 중심축 387
2.2) 국내외 홈 IoT 시장동향 388
2.2.1) 국내외 시장동향 388
a) 국내 388
b) 국외 390
2.2.2) 글로벌 기업 동향 및 전략 392
2.2.3) 국내 기업 동향 및 전략 394
a) 가전 사업자 394
b) 통신 사업자 395
c) 기타 사업자 396
d) 국내 시장의 이해관계 396
2.3) 발전 단계 및 산업 분류체계 397
2.3.1) 스마트홈 발전 단계 397
2.3.2) 스마트홈 산업 분류체계 398
2.4) 표준화 동향 400
2.4.1) 기업체 연합형 400
2.4.2) oneM2M 401
(3) 한국과 미국의 정책·규제 현황 402
3.1) 미국 402
3.2) 한국 404
Ⅲ. 부 록 409
1. CIO와 리더들을 위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참고자료 409
루쉰, 길 없는 대지

도서명 : 루쉰, 길 없는 대지
저자/출판사 : 고미숙 , 채운 , 문성환 , 길진숙 , 신근영 , , 북드라망
쪽수 : 360쪽
출판일 : 2017-04-18
ISBN : 9791186851548
정가 : 18000
머리말
지도와 함께 보는 루쉰 연대기
1부. 루쉰 온 더 로드
프롤로그. 도주의 달인 루쉰 (고미숙)
‘희망’은 창녀다! ┃역사는 ‘식인’, 민중은 ‘또라이’ ┃혁명, 지옥의 판타지 ┃먼지처럼 흩어지기를!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쉰 온 더 로드 ┃영원한 도망자, 루쉰
1장. 샤오싱~난징 시절 : 몰락과 도주 (고미숙)
고전과 첨단의 공존, 항저우 ┃루쉰과 기차 ┃루쉰과 마오쩌둥 ┃『아침 꽃 저녁에 줍다』와 『루쉰과 저우쭤런』 ┃몰락의 연대기 ┃『산해경』과 한의학 ┃『천연론』과 신세계 ┃에필로그 ― 뒷담화 하나
2장. 도쿄 시절 : 구경꾼으로 머물 것인가, 혁명적으로 살 것인가 (채운)
몰락하는 자에게 길이 있나니 ┃습속의 저주 ― 변발이야기 ┃‘센다이’라는 입구 혹은 출구 ┃내 기꺼이 악마가 되겠노라 ┃그리고, 루쉰과 니체
3장. 도쿄~센다이 시절 :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가야 한다 (채운)
루쉰, 도쿄에서 보낸 한 철 ┃스승을 만난다는 것 : 센다이, 루쉰, 그리고 후지노 선생 ┃소세키의 ‘자기본위’ vs 루쉰의 ‘자기해부’ ┃다중(多重)의 근대 ┃우리는 살아가야 한다 ┃루쉰을 읽는다는 것
4장. 베이징 시절·1 : ‘루쉰’(魯迅)의 탄생 ― 위대한 몰락 혹은 계몽의 혁명 (문성환)
intro_북경, 연경, 베이징 ┃문학이란 ‘무엇’인가 ┃루쉰의 적막 ┃ 철방으로부터의 외침 ― 루쉰의 탄생 ┃위대한 몰락, 계몽의 혁명 ┃outro_길 위에서
5장. 베이징 시절·2 : ‘고독한 전사’의 끈질긴 싸움 (길진숙)
두 차례의 베이징 여행 ┃루쉰과 항저우의 뇌봉탑 ┃베이징, 적막한 전장┃동생과의 결별, 루쉰의 방황 ┃방황하는 지식인들 ┃무엇을 할 것인가? : 생존하라, 생계를 해결하라, 전진하라! ┃2016년 8월의 베이징여자사범대학 또는 루쉰중학교
6장. 베이징~샤먼 시절 : 아름답지 않은 삶을 쓰다 (신근영)
민국 이래 가장 어두운 날, 쓰다 ┃부드러운 칼을 든 요괴들 ┃잡문, 그리고 길 위의 전사 ┃‘호랑이꼬리’를 떠나다 ┃죽은 불이 깨어나다 ┃천당에서 삶으로
7장. 광저우~상하이 시절 : 혁명은 어디에 있을까 (이희경)
1926년, 지나가고 있는 중 ┃혁명이란 무엇인가?┃붉은 도시 광저우는 붉지 않다 ┃문화위초(文化圍剿) ― 혁명문학논쟁 ┃‘루쉰’이라는 어떤 삶 ┃나는 루쉰을 만났을까?
에필로그. 아무도 용서하지 않는 자의 죽음 (고미숙)
상하이, 루쉰 로드의 종점 ┃죽기 일 년 전(1935년) ― Back to the future! ┃ 에로스 ― 창조의 유희 ┃복수는 운명이다! ┃혁명 ― 모두에게 모든 것을, 우리에겐 아무것도! ┃“단 한 명도 용서하지 않겠다!” ┃죽기 열흘 전 ┃“나는 죽음을 열망한다!”
2부. 라이팅 온 더 로드
루쉰 저작 연대기
1. 계몽에 반反하는 계몽 : 루쉰의 『무덤』 (채운)
“앞? 앞쪽은, 무덤이오” ┃문예, 저항의 소리 ┃계몽에 반하는 계몽
2. 차가운 공기를 가르는 뜨거운 외침 : 루쉰의 『열풍』 (채운)
『열풍』과 『외침』, 잡문과 소설 사이 ┃아들과 아버지 : 중간물로서의 존재 ┃ ‘국수’(國粹)라는 사상적 질병과 ‘예외적 개인’의 도래
3. 적막 한가운데서 소설을 외치다 : 루쉰의 『외침』 (문성환)
외침은 읽는 게 아니라 들어야 한다 ┃광인과 철방 : 내 안에 너 있다 ┃‘아Q와 혁명’에서 ‘아Q의 혁명’으로 ┃작은 사건 : 희망은 있는 것도 없는 것도 아니라지만
4. 생활의 반란, 습속의 배반 : 루쉰의 『방황』 (길진숙)
이념화된 루쉰을 넘어! ┃문제는 생활과 습속이다! ┃지금도 틀리고 그때도 틀리다! ┃해부의 달인, 루쉰
5. 무(無)를 통해 생(生)에 이르다 : 루쉰의 『들풀』 (채운)
먼지바람 속에서 ┃쓸 수 없다 그러므로 쓴다 ┃무지(無地), 생(生)의 긍정을 위한 대지 ┃함께 살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6. 눈앞을 가리는 허위를 벗겨내다 : 루쉰의 『화개집』, 『화개집속편』 (신근영)
화개운을 만나다 ┃화개의 속임수 ┃적의 화살로 적을 쏘다 ┃대의명분 뒤에 숨긴 마음 ┃꽃이 없는 장미
7. 도망자=루쉰이 ‘옛일’을 대하는 특별한 품격 : 루쉰의 『아침 꽃 저녁에 줍다』 (문성환)
1926년, 베이징, 샤먼 ┃24효도 그림 : 내가 이랬다구? ┃아버지의 병환 : 그때는 그때고 지금은 지금이다 ┃아침 꽃을 저녁에 줍는 이유는
8. 그러할 뿐이다 : 루쉰의 『이이집』 (이희경)
1927년, 변곡점 ┃대의(大義)는 딱 질색이다 ┃문학은 무력하다 ┃적, 깃발 그리고 에워싸는 자
9. 혁명문학논쟁을 중계한다 : 루쉰의 『삼한집』 (이희경)
상하이 ― 심란한 출발 ┃혁명문학 ― 애매하고 모호하다 ┃논쟁 ― 단칼에 피를 보다 ┃잡문 ― 하찮은 것의 정치학
10. 옛 이야기의 복원과 생성 : 루쉰의 『중국소설사략』 (길진숙)
흥미진진한 『중국소설사략』 ┃루쉰은 왜 소설을 정리했을까? ┃루쉰이 공감한 소설 ┃중국인이 중국 작품을 말하라
11. 루쉰의 ‘고전사용설명서’―‘거룩한’ 신화가 ‘비루한’ 일상을 만나면? : 루쉰의 『새로 쓴 옛날이야기』 (고미숙)
고전이라는 ‘참호’ ― 도피가 아닌 도주! ┃‘시간여행’의 미학 ― 반전과 해체 ┃ 생명과 일상 ― 급진적인, 너무나 급진적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