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권 쟁탈의 한국사 또는 부자는 어떻게 가난을 만드는가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패권 쟁탈의 한국사 또는 부자는 어떻게 가난을 만드는가

아리엘
2025-04-15 09:11 2 0

본문




패권 쟁탈의 한국사
9788932473444.jpg


도서명 : 패권 쟁탈의 한국사
저자/출판사 : 김종성, 을유문화사
쪽수 : 304쪽
출판일 : 2016-11-25
ISBN : 9788932473444
정가 : 15000

프롤로그 - 패권 쟁탈의 역사를 해부하는 힘과 에너지들

1부 패권의 기반은 길 위에 있다
- 무역로와 사상 혁신

1 한민족의 전복과 반전의 역사를 이해하는 출발점
2 빗살무늬 토기와 햄버거가 오가던 길
3 초원길을 기반으로 한 한민족 왕조
4 고대 중국을 위협한 고조선의 힘
5 기원전 6세기 이후, 농경 지대의 문화 혁신
6 전삼한과 후삼한으로 본 고조선의 변화
7 고조선은 왜 분열했는가

2부 무엇이 패권을 지키는가
- 왜곡과 정통성 논쟁

1 패권의 시각을 뒤흔든 김부식의 거짓말
2 한국 고대사에서 의문으로 남은 왕국, 부여
3 왜 평민은 건국 시조가 되지 못했을까
4 주몽과 소서노의 패권 다툼
5 소서노의 백제 건국을 뒷받침하는 여섯 가지 증거
6 세계를 지배하던 길 대신 찾은 새로운 길
7 고조선을 둘러싼 역사 왜곡
8 한나라가 설치한 한사군의 진실

3부 기회를 얻는 자가 패권을 얻는다
- 주변 정세와 전략

1 정세 변화에 따른 삼한의 위상 축소
2 후한의 등장과 힘을 추스르는 한민족
3 중국의 분열과 한민족의 각개약진
4 고대 왕국의 전략, ‘땅보다는 노동력을 확보하라’
5 고구려의 전략 변경과 한반도의 긴장 고조
6 전략을 바꾼 신라의 상징, 화랑도
7 한반도의 비주류가 주류로 올라서던 날
8 고구려와 백제에는 왜 슈퍼 정권이 들어섰을까

4부 패권의 향방을 가늠하는 근본적인 힘은 무엇인가
- 위기관리와 정치력

1 연개소문의 죽음이 만든 위기를 넘지 못한 두 나라
2 백제의 위기관리 부재와 전략적 실수
3 당나라의 몰락과 측천무후의 정치력
4 호기를 살리지 못하고 위기를 맞이한 발해
5 풍요로운 만주의 밥상을 가로챈 거란
6 동아시아 패권의 캐스팅보트가 된 한반도
7 위기에 따른 동아시아의 나비효과
8 고려의 통일에서 제외된 탐라
9 신라의 안목을 넘어선 고려의 뛰어난 위기관리
10 동아시아의 균형을 잡은 고려의 중간자 역할

5부 패권은 하늘과 사람이 만든다
- 기후 변화와 정치 체제

1 몽골의 말머리를 남쪽으로 돌린 기후 변화
2 무신정권 체제의 한계와 종말의 원인
3 기후 변화에 따른 몽골의 몰락
4 고려의 새로운 피가 결국 고려를 멸하다

6부 패권은 언제나 변하기 마련이다
- 외교와 안목

1 명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강한 나라였던 조선
2 일 년에 세 번이냐, 삼 년에 한 번이냐
3 명나라와 조선의 ‘악의 축’, 여진족 견제
4 북쪽만 신경 썼던 조선의 근시안
5 임진왜란의 후폭풍을 잠재운 조선의 외교 전략
6 상식 밖의 시각으로 열린 바닷길
7 근현대사를 움직인 새로운 패권 쟁탈의 무대
8 의자왕의 전략을 닮은 고종의 근시안

에필로그 - 남북한 분단 이후의 패권 향방
찾아보기




부자는 어떻게 가난을 만드는가
9788950967703.jpg


도서명 : 부자는 어떻게 가난을 만드는가
저자/출판사 : 김광기, 21세기북스
쪽수 : 280쪽
출판일 : 2016-11-08
ISBN : 9788950967703
정가 : 16000

프롤로그 | 만조에서 간조로

PART 1 | 무너져 내린 미국 중산층
chapter 01 | 벗겨진 신용사회의 허울
chapter 02 | 다운턴 애비 경제
chapter 03 | 노스탤지어에 빠진 미국 중산층
chapter 04 | ‘3포 세대’의 결혼 조건
chapter 05 | 미국 청년의 굴욕, 캥거루족
chapter 06 | 근로소득 통계로 본 미국의 민낯
chapter 07 | 미국은 0.01: 99.99 사회
chapter 08 | 미국인들이 불평등에 무지하고 둔감한 이유
chapter 09 | 평등이라는 미국의 건국이념
chapter 10 | 벨벳 로프 경제, 소비의 양극화

PART 2 | 서민을 등진 오바마, 정치권과 경제학계
chapter 11 | 미국 양심의 목소리들
chapter 12 | ‘월가 규제’는 왜 샌더스의 공약이 되었나
chapter 13 | 미국 정치권의 로비 중독증
chapter 14 | 고삐 풀린 금권정치
chapter 15 | 자선 자본주의로 위장한 금권과두정치
chapter 16 | 오바마 케어로 부자 품에 안긴 오바마
chapter 17 | 미국 관료는 청백리인가?
chapter 18 | 중산층에게 독이 된 연준의 양적 완화
chapter 19 | 무능한 ‘식물 학자’가 된 거물급 경제학자들
chapter 20 | 0.01% 편에 선 로런스 서머스

PART 3 | 민주주의 사회에서 귀족제 사회로의 전환
chapter 21 | 신귀족제 국가의 탄생
chapter 22 | 사다리를 걷어차는 미국 교육 현실
chapter 23 | 제조업 붕괴가 이끈 중산층의 몰락
chapter 24 | 규제 완화의 산물, 금융화
chapter 25 | 불공정한 조세법, 부자 감세
chapter 26 | 노조 분쇄가 가져온 비극, 중산층 붕괴
chapter 27 | 샌더스의 꿈, 미국 중산층의 꿈

에필로그 | 미국 중산층 붕괴가 대한민국에 던지는 의미
참고문헌
저자의 말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