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봉 또는 신화로 읽는 심리학
아리엘
2025-04-15 09:11
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회 연결
본문
수리봉

도서명 : 수리봉
저자/출판사 : 김종건, 어문학사
쪽수 : 712쪽
출판일 : 2016-11-11
ISBN : 9788961844222
정가 : 30000
축시(詩)
머리말
제Ⅰ부 고향의 지지 배경(地誌背景)
1. 서문
2. 〈수리봉〉
3. 개남들 골짜기
4. 굴비골
5. 소(牛)에 관한 이야기
제Ⅱ부 〈수리〉의 유년 시절
1. 서문
2. 〈수리〉의 탄생
3. 〈수리〉의 초등학교 시절
4. 〈수리〉의 중등학교 시절
5. 6ㆍ25 전쟁
6. 휴전
7. 대학 입학
제Ⅲ부 엑서더스
1. 서문
2. 인의동(仁義洞) 한약국
3. 대학 시절
4. 군 입대
5. 노파와 진순(역철)
제Ⅳ부 〈수리〉의 혼인
1. 서문
2. 아나벨 리
3. 맹국강의 만남
4. 〈율리시스〉 첫 번역 출간
5. 장남 〈성원〉의 탄생
6. 수도사대 전임 발탁
7. Pen Club 번역 상 수상과 범례
8. 〈실내악〉의 번역
9. 차남 〈성빈〉의 탄생
10. 답십리에서 화양동으로 이사
11. 부모님 서울 이사
제Ⅴ부 도미 유학
1. 작별
2. 아주사 퍼시픽 대학(APC)
3. 주영하 학장에게 사표를 던지다
4. 털사 대학(Tulsa University) 지망과 출발
5. 〈수리〉의 미국 남서부 대장정
6. 〈수리〉와 털사 대학
7. 〈수리〉의 유학생활 시작
8. 새 석사학위(M.A.) 취득
9. 박사학위 시작
10. 스탤리(Staley) 교수댁의 〈율리시스〉 독해
11. Mr. 윤(尹)의 만남
12. 가족의 도미 수속
13. 가족의 재회
14. 더블린(Dublin) 방문 제의
15. 아내의 파고다 취업
16. 털사 대학원의 교과목 및 교수진
17. 털사 대학 영문과 국제 조이스 서머스쿨
제Ⅵ부 배경(더블린) 답사
1. 서문
2. 〈율리시스〉와 〈피네간의 경야〉 배경 답사
3. 골웨이(Galway) 탐방
4. 코크(Cork)시와 슬라이고(Sligo) 시 탐방
5. 클론고우즈 우드 칼리지(Clongowes Wood College) 탐방
6. 〈수리〉의 지적 편력
7. 글렌달로우(Glendalow) 계곡 탐방
8. 더블린 답사에서 미국으로 귀환
9. 램블러(Rambler) 자가용
10. Ph. D. 학위 취득과 귀국
제Ⅶ부 〈수리〉의 귀국
1. 서문
2. 서울 중앙 대학 부임
3. 〈한국 제임스 조임스 학회〉 창설 기사(〈조선일보〉 1979년 12월 22일)
4. 고려 대학으로 전근
5. 조이스 탄생 100주년 국제회의(〈조선일보〉 1982년 1월 26일)
6. 고려대 학술 상 수상
7. 조이스 서거 50주년 〈국제회의〉: 참가기
8. 〈율리시스〉 소식 한 토막(〈조선일보〉 해외 문화란)
9. 정규 〈학회〉 활동. “블룸즈데이” “서머스쿨” 춘계ㆍ추계 국내 및 국제
학술 대회: 국내 정규 학술 대회 정례화
10. 〈조이스 저널〉(James Joyce Journal)(JJJ) 창간
11. 1988년 부친 서거
12. 2000년 모친 서거
13. 〈조이스 전집〉 출간(1차)(범우사)(1988년)
14. 털사&더블린 재방문(1989년)
15. 〈율리시스 연구〉 Ⅰ, Ⅱ권 출간(고려대학교출판부)(1994년)
16. 〈수리〉의 출판기념회(1994년)
17. 1995년 〈성원〉의 〈남정〉의 결혼- 손녀 〈혜민〉 및 〈지민〉의 탄생
18. 1998년 차남 〈성빈〉의 〈세원〉과의 결혼- 손자 〈재민〉의 탄생
제Ⅷ부 〈수리〉의 수다한 여행
1. 서문(소비에트 탐방)
2. 폴란드
3. 헝가리
4. 체코
5. 오스트리아
6. 독일
7. 스위스
8. 취리히의 플리츠 센 교수와 〈피네간의 경야〉
9. 이탈리아
10. 네덜란드
11. 노르웨이
12. 덴마크
13. 스웨덴
14. 프랑스
15. 대영제국(그레이튼브리튼)
16. 네팔
17. 남아프리카공화국
18. 인도네시아
19. 인도
20. 일본
21. 백두산과 윤동주 시인
22. 중국의 만리장성&서안
23. 오스트레일리아
24. 뉴질랜드&남태평양
25. 미국 마이애미
26. 다시 캐나다에로
27. 로키 산맥의 밴프(Banff)
28. 밴쿠버
제Ⅸ부 〈수리〉의 정년 퇴임(1999년)
1. 서문
2. 〈피네간의 경야〉 연구 시작(1973년)
3. 〈피네간의 경야〉 초역 출간(2002년)
4. 〈피네간의 경야〉 한국어 번여에 대한 국내외 학자들의 평가
5. 〈수리〉의 둘째 손녀 〈지민〉 탄생(2003년)
6. 〈한국 제임스 조이스 학회〉 창립 30주년 기념(2009년)
7. 〈율리시스〉 톡해 시작(2012년)
8. 〈율리시스〉 세 번째 개정 번역판 출간(생각의 나무)(2007년)
제Ⅹ부 서울 국제 제임스 조이스 학회 개최
1. 서문
2. 〈율리시스〉 101회 독회에 관한 기사(〈조선일보〉 2012년)
3. 〈피네간의 경야〉 개역 및 주해 출간
4. 에이먼 맥키(Eamonn Mackee) 주한 애란 대사의 축사
5. 〈피네간의 경야〉 번역 개정판 출간(고려대 출판부)(2012년)
6. 〈수리〉의 몸살
7. 신간 〈피네간의 경야 이야기〉 집필(2012년)
8. 고려대 퇴직 교수 수필집 〈이유록(二有錄)〉 출간
9. 광주 조이스 국제회의 개최(2012년 10월 10일)
10. 아내의 다리 골절 사고
11. 〈수리〉의 산보
12. 〈수리〉의 질병과 아내의 간호
13. 대한민국 학술상 수상(2013년 9월 13일)
14. 제6회 제임스 조이스 국제회의 기조연설
15. “블룸즈데이”(Bloomsday) 기념 축사(어느 기자에게)
16. 미국 〈조이스 계간지〉에 실린 〈수리〉의 업적
17. 〈수리〉의 업적에 대한 국내 주요 언론 보도
제?부 뉴욕 재방문
1. 서문
2. 뉴욕의 큰아들 집
3. 뉴욕에서의 낙상(落傷)
4. 베트남의 〈다낭〉 여행
5. 최후의 독해 〈젊은 예술가의 초상〉 제5장(서울대)
6. 〈피네간의 경야〉 독해 시작(2016년 1월)
7. 춘계 학술 대회(서울 과기대)(2016년 5월)
8. 〈율리시스〉 제4개역판 출간(어문학사)(2016년)
끝맺는 말
신화로 읽는 심리학

도서명 : 신화로 읽는 심리학
저자/출판사 : 리스 그린 , 줄리엣 샤만버크, 유아이북스
쪽수 : 344쪽
출판일 : 2016-11-10
ISBN : 9788998156640
정가 : 15000
들어가며 신화는 인생의 거울이다 · 6
1부 모든 것의 시작은 가족이다
1장 부모와 자녀 사이
테티스와 아킬레우스 │ 부모의 기대가 부른 비극 · 15
헤라와 헤파이스토스 │ 미운 오리 새끼 · 19
오리온과 오이노피온 │ 딸을 떠나보내지 못하는 아버지 · 23
테세우스와 히폴리투스 │ 아버지와 아들의 어긋난 운명 · 28
오시리스와 이시스 그리고 호루스 │ 영원한 희망 · 32
‘상처 난 얼굴’ 포이아 │ 과거의 아픔을 치유하다 · 38
2장 형제자매 사이의 갈등
카인과 아벨 │ 부모의 사랑은 과연 공평한가? · 45
아레스와 헤파이스토스 │ 한 여자와 두 형제 · 50
로물루스와 레무스 │ 누가 더 잘났나? · 56
안티고네 │ 목숨보다 중한 신의 · 61
3장 가문의 유산
바람의 자손들 │ 훌륭한 재능, 오만한 인간 · 67
테베 가문의 비극 │ 신을 노하게 한 사나이 · 75
아트레우스 가문의 과제 │ 가문의 저주를 벗다 · 82
2부 홀로 선다는 것
4장 모험을 떠나다
아담과 하와 │ 낙원에서 쫓겨나다 · 95
부처의 출가 │ 인생의 숙명은 피할 수 없다 · 101
페레두르 │ 어머니를 떠난 아들 · 107
5장 자유를 찾아가는 여정
지크프리트 │ 내가 존재하는 이유 · 117
무명의 미남 │ 나의 정체성을 찾아서 · 123
길가메시와 생명나무 │ 헛된 욕망의 말로 · 130
6장 의미 있는 삶이란
베이네뫼이넨과 부적 │ 변질된 꿈 · 139
파르시팔과 성배 │ 던져야 할 질문 · 144
페르세우스 │ 메두사를 처치하다 · 151
3부 사랑에 관하여
7장 사랑을 거부하다
에코와 나르키소스 │ 실패한 사랑 · 161
키벨레와 아티스 │ 모든 것을 가질 수 없다 · 167
삼손과 들릴라 │ 유혹에 무너지다 · 172
멀린의 마법 │ 불같은 사랑이 불러온 것 · 177
8장 치명적인 삼각관계
제우스와 헤라의 결혼 │ 동전의 양면 · 183
아서와 귀네비어 │ 고통으로 구원받다 · 188
9장 결혼의 실체
게르다와 프레이르 │ 기다림 끝에 사랑이 온다 · 197
니네브의 변신 │ 사랑의 놀라운 힘 · 202
알케스티스와 아드메토스 │ 자기희생으로부터 얻은 것 · 208
오디세우스와 페넬로페 │ 믿음이 운명을 바꾸다 · 214
4부 지위와 권력
10장 주어진 길을 가다
루의 임기응변 │ 만능 장인이 되다 · 223
두 형제 이야기 │ 잘 사는 법 · 228
파에톤과 태양마차 │ 과유불급 · 234
11장 욕망의 소용돌이
아라크네 │ 재능을 빛내는 겸손 · 243
폴리크라테스의 반지 │ 오만과 탐욕 · 247
미다스 왕 │ 돈이 모든 것의 해답은 아니다 · 252
안드바리의 타락 │ 바꿀 수 없는 한 가지 · 257
12장 책임감을 가져라
미노스 왕과 황소 │ 행동에는 책임이 따른다 · 267
아서 왕의 평시 군대 │ 목표를 이룬 뒤에 일어나는 일 · 272
솔로몬의 판결 │ 책임감은 지혜로부터 온다 · 278
5부 인생의 통과의례
13장 삶에 고난이 찾아올 때
욥의 시련 │ 고통의 수수께끼 · 287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 │ 슬픔에 대처하는 법 · 293
케이론 │ 불공평한 세상에 맞서다 · 299
14장 깨달음을 얻다
파우스트 │ 악 없이는 선도 없다 · 307
부처의 깨달음 │ 윤회의 수레바퀴 · 312
파르시팔 │ 마침내 성배를 찾다 · 318
15장 마지막 여정
마우이와 죽음의 여신 │ 피할 수 없는 죽음 · 325
에르와 생사의 경계 │ 죽음은 또 다른 시작이다 · 332
인드라와 개미들의 행진 │ 인생이라는 끝없는 연극 · 338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