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능성들 또는 반전이 있는 동아시아사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가능성들 또는 반전이 있는 동아시아사

아리엘
2025-04-15 09:11 3 0

본문




가능성들
9788976827982.jpg


도서명 : 가능성들
저자/출판사 : 데이비드 그레이버, 그린비
쪽수 : 672쪽
출판일 : 2016-12-15
ISBN : 9788976827982
정가 : 37000

서문

1부 _ 현재 우리가 처한 곤경의 기원에 대한 몇 가지 생각

1장 _ 예절, 공경, 그리고 사적 소유 - 혹은 위계의 일반이론을 위한 요소
농담과 회피, 물질과 소유 | 위계에 대하여 | 회피의 일반화 | 교육과 젊은이의 운명 | 잉글랜드 청교도 | 관점

2장 _ 소비에 대한 생각 - 욕망, 환상, 그리고 중세부터 현재까지 일어나고 있는 해체의 미학
어원 | 욕망 이론 | 연인과 소비자 | 복잡한 문제 1. 개인주의 | 복잡한 문제 2. 계급과 젠더의 선을 변화시키기 | 케이크를 먹기도 하고 갖고도 있으려는 것, 그리고 그로 인해 불가피 한 문제 | 희생 제의 | 결론: 하지만 소비주의는?

3장 _ 생산양식의 안팎을 뒤집기 - 혹은 왜 자본주의는 노예제의 변용인가 (간단한 버전)
관찰 1. ‘생산양식’이라는 개념은 확실히 덜 다듬어졌다 | 관찰 2. ‘생산양식’ 개념은 국가라는 틀에서 벗어나면 대부분 무화되어 버렸다 | 관찰 3. 생산양식 개념이 쇠퇴하여 나타난 주요한 결과는 자본주의의 자연화였다. 이는 특히 ‘연속론자’가 임노동과 노예제를 다루는 방식을 보면 명백하게 드러난다

4장 _ 사회적 창조성으로서의 물신주의 - 물신은 구성 과정 중에 있는 신이다
왜 물신주의인가? | 물신주의에 대한 피에츠의 이야기 | 물신과 사회적 계약: 두 개의 사례 연구 | 권력의 물질성 | 사회계약의 다양한 종류 | 우리 자신에게 되돌아오는 우리의 행동 | 필수적인 환영?

2부 _ 일시적 자율지대: 마다가스카르 농촌에서 권위의 딜레마

5장 _ 잠정적 자율지대 - 혹은 마다가스카르의 유령-국가
아리부니마무와 베타푸 | 국가의 존재 자체 | 소유관계의 보증자로서의 국가 | 잠정적 자율지대 | 마지막 질문

6장 _ 시체와의 춤에 대한 재고찰 - 마다가스카르 아리부니마무에서 행하는 파마디아나 의례의 해석
몇 가지 배경 | 간략한 설명 | 혈연집단 | 시체와 놀기 | 저주와 금기 | 일차 종합 | 이동의 정치 | 지역 가문과 그 묘소 | 어른은 모두 돌아가셨다 | 성과 기억의 정치 | 관계의 역전으로서 파마디아나 | 조상의 축복 | 죽음에 맞선 전쟁? | 몇 가지 결론

7장 _ 1875~1990년, 마다가스카르 중부 지역의 애정 주술과 정치적 도덕성
논점 | 주술 사용의 윤리 | ‘욕정의 광기’에 빠트린다는 것 | 전문가의 관점 | 오늘날 우드 피티의 다양성: 혹은, 다시 살펴 본 도덕의 경계 | 배경: 부역과 노예제 | 노동의 형태 | 노예제로서의 파눔포나 | 밤에 돌아다니는 마녀들 | 그럼, 왜 하필 여성인가? | 결론

8장 _ 억압
1. 가정에서 짊어지는 짐 | 2. 상징 노동과 19세기 왕국 | 3. 아리부니마무와 영매 | 4. 결론

3부 _ 직접 행동, 직접 민주주의, 그리고 사회 이론

9장 _ 전위주의의 황혼
왜 학계에는 아나키스트가 이토록 적은가? | 전위주의 사상의 아주 소략한 역사 | 소외되지 않은 생산

10장 _ 과학으로서의 사회이론과 유토피아 - 일반 사회학 이론은 세계화 시대에 여전히 의미를 가지는가?
사회적 실재에 대하여 | 사회학과 잔해에 대하여 | 세계화에 대한 질문들 | 이 시점을 개념화하기 위해 | 자율과 혁명적 합의 | 규제적 원리에 관하여 | 규제적 원리의 부재 속에서 | 예시적 사회이론?

11장 _ 하나의 서구는 없었다 - 혹은 민주주의는 사이 공간에서 발생한다
1. ‘서구적 전통’이라는 개념의 모순에 대하여 | 2. 민주주의는 발명되지 않았다 | 3. ‘민주적 이상’의 발생에 대하여 | 4. 회복(Recuperation) | 5. 국가의 위기

12장 _ 거대한 꼭두각시들의 현상학에 대하여 - 깨진 유리창, 상상의 소변통, 그리고 미국 문화에서 경찰의 우주론적 역할
문제 지점 | 미디어 이미지 | 경찰 측의 상징적 전투 | 부대를 결집시키기 | 분석 1. 할리우드 영화의 원리 | 분석 2. 창조적 파괴와 욕망의 사유화 | 분석 3. 전쟁의 규칙 | 그래서 왜 경찰은 꼭두각시를 싫어하는가? | 몇 가지 아주 보잘것없는 결론

옮긴이의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반전이 있는 동아시아사
9791156331261.jpg


도서명 : 반전이 있는 동아시아사
저자/출판사 : 권재원, 다른
쪽수 : 216쪽
출판일 : 2016-11-17
ISBN : 9791156331261
정가 : 13000

머리말
색안경을 벗고 보는 이웃 나라 이야기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
14 일본인은 비좁은 섬나라에 살아서 편협하다?
17 일본이 곧 침몰한다고?
19 일본인은 모두 속을 알 수 없는 깍쟁이다?
24 일본은 칼싸움이나 하고 해적질이나 하던 오랑캐였다?
28 일본은 무사와 해적의 나라다?
36 서양 문물을 빨리 받아들였으면 일본의 식민지가
안 되었을 것이다?
43 일본을 두려워하는 기성세대, 일본을 우습게 보는 청소년?
52 일본은 우리나라의 미래인가?
56 일본에서 조심해야 할 것들

아는 만큼 모르는 나라, 중국
60 차이나는 중국이 아니다?
62 만만디는 대륙의 통 큰 기질일까?
67 중국에는 중국어가 없다?
71 중국 어디서나 마주치는 쑨원, 그는 누구인가?
81 공칠과삼, 마오쩌둥은 국부인가?
96 신신중국 건설의 주인공, 덩샤오핑은 누구인가?
103 일본 제국주의를 패망시킨 주역은 과연 미국일까?
107 중국의 주석과 공산당 총서기 중 누가 더 높을까?
113 중국이 세계를 이끄는 나라로 올라설 수 있을까?
118 중국에서 조심해야 할 것들

작지만 큰 섬, 타이완
123 타이완, 섬나라가 커 봤자 얼마나 커?
126 작은 나라니까 어딜 가나 다 비슷할 것이다?
129 타이완에는 겨울이 없다?
131 도대체 나라 이름이 뭐야? 타이완? 중화민국?
중국령 타이베이?
140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에 저항했지만 타이완은 순응했다?
143 일본은 타이완을 통치했지만, 중국은 타이완을 정복했다고?
151 타이완은 어떻게 아시아에서 가장 민주적인 나라가 되었을까?
163 타이완은 중소기업의 나라일까?
166 타이완은 아직도 중화문화권일까?
169 국제 미아와 경제 모범생의 갈림길에서 타이완은 어디로 갈까?
174 타이완에서 조심해야 할 것들

중국이면서 중국이 아닌 도시, 홍콩
180 홍콩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등산이다?
188 오늘날의 홍콩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194 영국은 중국보다 홍콩을 민주적으로 통치했을까?
198 홍콩은 지금도 짝퉁의 천국일까?
202 홍콩 영화와 홍콩은 전혀 다르다?
208 홍콩은 언제까지 자유로운 도시로 남아 있을까?
211 마카오는 홍콩에 포함된 지역인가?
214 홍콩에서 조심해야 할 것들

216 사진 출처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