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로우 잉글리시 공무원 영어 독해의 기술(2016) 또는 전략환경영향평가론
로즈
2025-04-15 09:10
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애로우 잉글리시 공무원 영어 독해의 기술(2016)

도서명 : 애로우 잉글리시 공무원 영어 독해의 기술(2016)
저자/출판사 : 최재봉 , 김병식, 애로우잉글리시
쪽수 : 246쪽
출판일 : 2016-10-25
ISBN : 9788998811105
정가 : 16000
머리말 빠른 문제 풀이와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
들어서기 전에
이것이 진정한 리딩스킬이다
영어독해의 비밀, 첫 문장(글의 서두)에서 핵심소재를 잡아라
Part 1 영어의 단 하나의 법칙
01. 우리의 구문독해 방법은 잘못 되었다. 원어민의 방법으로 바로잡자
02. 문법을 몰라도 주어에서부터 순서대로 그림을 그리면 저절로 이해된다.
03. 전치사를 바로 잡아야 진정한 독해가 된다.
04. 긴 영어 문장은 결국 기본 단위와 기본 단위의 연결이다.
Part 2 공무원 독해, 단 하나의 기술
01. 첫 문장(글의 서두)에서 핵심소재를 잡아라
02. 첫 문장(글의 서두)에서 상식이나 통념이 나오면 반전 될 수 있다.
03. 첫 문장(글의 서두)에서 잡은 핵심소재를 중심으로 전체를 읽어라.
04. 첫 문장(글의 서두)에서 문제가 나오면 그 해결책을 모색하라.
05. 첫 문장(글의 서두)에서 질문이 나오면 그 대답을 찾아라.
06. 첫 문장(글의 서두)에서 대조[비교[가 나온다면
07. 첫 문장(글의 서두)에서 구체적인 진술이 먼저 나온다면
Part 3 공무원 독해, 단 하나의 기술[유형편]
01. 글의 순서는 글의 서두에서 파악한 단서의 흐름이다.
02. 문장 삽입은 글의 서두에서 파악한 글 흐름의 빈 부분(GAP)을 채우는 과정이다.
03. 무관한 문장은 글의 서두에서 파악한 핵심소재의 다른 내용이다.
04. 빈칸 추론은 글의 요지를 나타낸 문장이다 [대표 유형별 빈칸추론 공략법]
05. 빈칸 추론은 빈칸 주의의 문장에서 근거를 찾자
06. 빈칸 추론은 반대 개념에 유의하라
07. 연구(실험)에서는 변수와 그 결과에 주목하라
전략환경영향평가론

도서명 : 전략환경영향평가론
저자/출판사 : 이무춘, 어문학사
쪽수 : 472쪽
출판일 : 2016-10-28
ISBN : 9788961844208
정가 : 30000
머리말
제1장 환경정책
1. 환경정책의 생성 배경
2. 환경정책의 정의
3. 환경정책의 특성
4. 환경정책의 주체와 객체
5. 환경정책 형성과정
6. 환경정책의 원칙
7. 환경정책의 수단
8. 환경정책의 발전단계
제2장 지속가능발전과 환경성 평가
1.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
2.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의 형성사
3. 환경평가와 지속가능발전
제3장 환경 거버넌스(Governance)와 주민참여
1. 환경갈등
2. 거버넌스
3. 거버넌스 유형
4. 환경 거버넌스 유형
5. 이해관계자
6. 주민참여
제4장 의사결정
1. 전략환경영향평가의 행정적 의사결정과정
2. 의사결정의 개념
3. 의사결정 단계 및 접근방법
4. 정보와 의사결정
5. 정보가치 결정요인
6. 전략환경영향평가와 불확실성
제5장 정책|계획| 사업
1. 정책-계획-사업의 연계성
2. 정책
3. 계획
4. 계획과 환경
제6장 전략환경영향평가 제도 (정민정, 이무춘)
1. 전략환경영향평가 도입
2. 개념 및 정의
3. 전략환경평가의 의의 및 목적
4. 성공적인 전략환경평가의 판단 기준
5. 국내외 전략환경영향평가 유사 제도
6. 행정계획과 전략환경평가의 관계
7. 전략환경영향평가 발전 단계
제7장 국외 전략환경평가
(Fischer, Rehhausen, Geissler, K?ppel, 정민정, 이무춘)
1. 전략환경평가 논의
2. 미국의 전략환경평가
3. 캐나다의 전략환경평가
4. 유럽연합의 전략환경평가
5. 영국의 전략환경평가(Thomas B. Fischer)
6. 독일의 전략환경평가(Rehhausen, Geissler, K?ppel)
7. 네덜란드의 전략환경평가(정민정)
8. 국내외 전략환경영향평가의 차이점(정민정)
제8장 전략환경영향평가의 이해관계자와 절차 및 방법
1. 전략환경영향평가의 이해관계자
2. 전략환경영향평가의 절차
3.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작성 방법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