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로 가는 아이들 또는 태초에 행동이 있었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마트로 가는 아이들 또는 태초에 행동이 있었다

로즈
2025-04-15 09:10 2 0

본문




마트로 가는 아이들
9788952234643.jpg


도서명 : 마트로 가는 아이들
저자/출판사 : 박현숙, 살림어린이
쪽수 : 200쪽
출판일 : 2016-09-30
ISBN : 9788952234643
정가 : 13000

열세 살, 여드름이 날 시기 9
네 가지 규칙 23
점례의 등장 36
이런 일이 터질 줄 알았다 50
요 여드름이 문제라니께! 64
누구 마음대로 대표? 78
주머니 가득 89
도둑으로 몰리다 101
여의주를 문 용이 들어왔다 116
개꿈이었다 130
이제는 말하고 싶어도 소용없어요 145
그런 게 아니라니까! 159
누명은 벗어야 해 171
용띠는 고구마튀김과 두부 부침을 좋아한다 184




태초에 행동이 있었다
9791159251870.jpg


도서명 : 태초에 행동이 있었다
저자/출판사 : 박홍규, 들녘
쪽수 : 400쪽
출판일 : 2016-09-28
ISBN : 9791159251870
정가 : 15000

저자의 말 | 길잡이 | 프롤로그

<제1부> 세르반테스를 찾아서 제1부>
제1장 왜 돈키호테인가
나의 『돈키호테』 | 『돈키호테』는 정말 재미있을까? | 『돈키호테』를 어떻게 읽어야 하나? | 4백 년 만의 완역이 나왔다고? | 『돈키호테』는 의문의 소설이다? | 돈키호테는 이상주의자일까? | 이상주의가 아니라 당시의 사고 패턴에 불과했다? | 돈키호테는 방랑자? 반체제? 아나키스트?
제2장 돈키호테 문학기행
스페인에서는 미친다고? | 사랑과 미움 | 스페인은 건조하다? | 하필이면 라만차 | 마른 땅 | 스페인과 스페인 사람 | 돈키호테라는 인간형 | 나를 왜 돈키호테라고 할까?
제3장 세르반테스의 생애
『돈키호테』 서문 읽기 | 이상한 삶 | 세르반테스의 시대 | 혈기에 불탄 젊은 시절 | 늙은 상이군인의 후반생과 감옥살이 | 『돈키호테』 집필을 감옥에서? | 『돈키호테』의 성공과 실패
제4장 세르반테스의 다른 작품들
왜 다른 작품부터 보는가? | 자유가 아니라면 죽음을, 「누만시아」 | 「사기꾼 페드로」 | 『모범소설』 | 자유 여인, 「집시 여인」 | 신플라톤주의? | 부자를 조롱한 「질투심 많은 늙은이」 | 「린코 네테와 코르다디요」의 도둑 유토피아 | 또 하나의 돈키호테, 「유리석사」 | 정상적인 돈키호테 들, 「고상한 하녀」와 「꼬르넬리아 아가씨」 | 인간 사회의 위선과 부조리, 「개들이 본 세상」

<제2부> 돈키호테가 간다 제2부>
제1장 『돈키호테』는 누가, 왜, 어떻게 썼나?
『돈키호테』의 작가는 셋이다 | 『돈키호테』에는 다양한 텍스트가 있다 | 차단 기법 | 열린 책으로서의 『돈키호테』 | 기사소설의 공식을 뒤엎다 | 제1편과 제2편의 흐름
제2장 돈키호테의 제1회 출정
제1편 전체 미리보기 | 베가와 칼데론 | 모든 이야기는 ‘자유’로부터 시작한다 | 돈키호테의 일상 | 둘시네아 | 원탁의 기사 풍자 | 기사 서임식을 풍자하다 | 모두가 미쳤나? 아니면 연극 인가? | 기사소설 불태우기-검열의 풍자 | 산초 판사를 만나다
제3장 돈키호테의 제2회 출정
아랍인 저자의 등장 | 유토피아 | 사랑의 자유 | 여러 가지 모험과 풍자 | 돈키호테의 무책임 주의 | 죄수 탈출과 자유 | ‘카르데니오의 이야기’와 연애편지-돈키호테는 과연 미쳤나? | 기 사도는 찬양되는가? | 문보다 무가 낫다 | ‘포로의 이야기’와 제국주의 | ‘당나귀 몰이의 사 랑’과 권력 비판 | ‘행복한 결말’
제4장 돈키호테의 제3회 출정
세 번째 출정 준비 | 산초 판사의 환상과 아내의 현실감 | 산초 판사의 둘시네아 사기극 | 이런 저런 모험과 각성 | 사자의 기사 | 인생의 자각 | 이야기의 중단
제5장 공작 부부와 총독 산초 판사
공작 부부의 장난 | 총독 산초 판사 | 산초 판사의 재판 | 도둑 이야기 | 바르셀로나 | 백월의 기사에게 패하다 | 귀향 | 마지막 장면

<제3부> 돈키호테, 그 이후 제3부>
세르반테스 사후의 『돈키호테』
내가 돈키호테를 좋아하는 몇 가지 이유 | 유머와 아이러니 | 언어의 아이러니-풍자 | 돈키호테 전통 | 자의식 소설로서의 『돈키호테』 | 세르반테스는 제국주의자인가? | 예술 속의 돈키호테 | 돈키호테에 대한 논의 | 오르테가의 돈키호테 | 푸코의 돈키호테 | 블로흐의 돈키호테

에필로그 | 세르반테스 연보 | 돈키호테를 따라서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