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줄 쫙! 교과서 과학 실험 노트 또는 대한민국 엄마 구하기
로즈
2025-04-15 09:10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밑줄 쫙! 교과서 과학 실험 노트

도서명 : 밑줄 쫙! 교과서 과학 실험 노트
저자/출판사 : 서울과학교사모임, 국민출판사
쪽수 : 344쪽
출판일 : 2016-10-17
ISBN : 9788981652715
정가 : 14800
머리말
01. 내가 궁금한 물리
물속에 들어가면 왜 몸이 가벼워지는 것 같을까? (중1 여러 가지 힘)
파동이 뭐야? (초3 소리의 성질, 중1 빛과 파동)
악기를 쉽게 만들 수 있을까? (초3 소리의 성질, 중1 빛과 파동)
색깔 마법사가 될 수 있을까? (초6 빛과 렌즈, 중1 빛과 파동)
그림자 색은 언제나 검은색일까? (초6 빛과 렌즈, 중1 빛과 파동)
뜨겁고 차가운 물체가 서로 만나면? (초5 온도와 열, 중2 열과 우리 생활)
똑같이 데우면 어느 것이 더 빨리 뜨거워질까? (초5 온도와 열, 중2 열과 우리 생활)
겨울날, 교실에서 발은 왜 시려울까? (초5 온도와 열, 중2 열과 우리 생활)
더운 여름날, 모래사장을 걷기 어려운 이유는? (중2 열과 우리 생활)
털옷을 입고 벗을 때 왜 따끔거릴까? (초6 전기의 이용, 중2 전기와 자기)
TV 화면의 먼지를 쉽게 없애려면? (초6 전기의 이용, 중2 전기와 자기)
선풍기 날개는 어떻게 돌아갈까? (중2 전기와 자기)
어떤 구슬이 컵을 더 많이 움직이게 할까? (초6 에너지와 생활, 중3 에너지 전환과 보존)
02. 내가 궁금한 화학
공기로 총알을 쏠 수 있을까? (초6 여러 가지 기체 중1 기체의 성질)
그릇이나 동전이 스스로 움직인다고? (초6 여러 가지 기체, 중1 기체의 성질)
아이스크림을 살 때 왜 드라이아이스를 넣어 줄까? (초4 물의 상태 변화, 중1 물질의 상태 변화)
물질이 바뀔 때 질량이나 부피는? (중1 물질의 상태 변화)
불꽃놀이의 다양한 색은 어떻게 생길까? (중3 화학 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
맛보지 않고 물과 소금물을 구별할 수 있을까? (초4 혼합물의 분리, 중2 물질의 특성)
사인펜은 단색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초4 혼합물의 분리, 중2 물질의 특성)
색동 띠를 만들 수 있는 사연은? (중2 물질의 특성)
과일 주스에서 순수한 물을 얻을 수 있을까? (초4 혼합물의 분리, 중2 물질의 특성)
예쁜 결정 목걸이를 어떻게 만들까? (초5 용해와 용액, 중2 물질의 특성)
문지르기만 해도 형광등을 켤 수 있다고? (중3 화학 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
로봇의 대변신에는 질량 보존의 법칙이? (중3 화학 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
드라이아이스와 에탄올이면 슬러시가 뚝딱? (중3 화학 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
시원한 쿨 팩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중3 화학 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
큰 초는 작은 초보다 언제나 오래 탈까? (중3 화학 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
흔들이 손난로는 왜 한 번밖에 사용할 수 없을까? (중3 화학 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
지하수에는 왜 비누가 잘 풀리지 않을까? (중3 화학 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
03. 내가 궁금한 생명과학
생물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중1 생물의 다양성)
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은 뭐가 다를까? (초3 식물의 생활, 중1 생물의 다양성)
식물이 산소를 내뿜는다고? (초6 에너지와 생활, 중2 식물과 에너지)
식물의 숨구멍은 어떻게 생겼을까? (중2 식물과 에너지)
식물은 어떻게 수분을 흡수할까? (중2 식물과 에너지)
식물이 땀을 흘린다고? (중2 식물과 에너지)
우리는 어떻게 숨을 쉬는 걸까? (초6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중2 동물과 에너지)
피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중2 동물과 에너지)
효소가 뭐예요? (초6 연소와 소화, 중2 동물과 에너지)
피부에서 가장 예민한 부위는? (초6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중3 자극과 반응)
우리 눈은 어떻게 사물을 볼까? (초6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중3 자극과 반응)
혈액형은 왜 4개일까? (초6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중3 생식과 유전)
DNA를 직접 볼 수 있을까? (중3 생식과 유전)
생물의 염색체는 왜 쌍을 이루고 있을까? (중3 생식과 유전)
04. 내가 궁금한 지구과학
건물에 있는 돌을 찾아보자 1 (초3 지표의 변화, 중1 지권의 변화)
건물에 있는 돌을 찾아보자 2 (초3 지표의 변화, 중1 지권의 변화)
건물에 있는 돌을 찾아보자 3 (초3 지표의 변화, 중1 지권의 변화)
지구 내부는 어떻게 생겼을까? (중1 지권의 변화)
해류는 왜 생길까? (초4 물의 순환, 중2 수권의 구성과 순환)
집에서 구름을 만들 수 있다고? (초5 날씨와 우리 생활, 중2 기권과 우리 생활)
몸이 쑤시는 이유는 날씨 탓? (초5 날씨와 우리 생활, 중2 기권과 우리 생활)
습도를 잴 수 있을까? (초5 날씨와 우리 생활, 중2 기권과 우리 생활)
지구의 크기를 잴 수 있을까? (초4 지구의 모습, 중3 태양계)
우리 은하는 어떤 모습일까? (초5 태양계와 별, 중3 별과 우주)
별의 거리는 어떻게 잴까? (초5 태양계와 별, 중3 별과 우주)
달은 왜 모양이 바뀌지? (초6 지구와 달의 운동, 중3 태양계)
멀리 있는 달은 크기를 어떻게 잴까? (초6 지구와 달의 운동, 중3 태양계)
시계 없이 시각을 알 수 있을까? (초6 지구와 달의 운동, 중3 태양계)
여름과 겨울에 낮의 길이는 왜 다를까? (초6 지구와 달의 운동, 중3 태양계)
태풍은 왜 돌면서 불까? (초6 지구와 달의 운동, 중3 태양계)
대한민국 엄마 구하기

도서명 : 대한민국 엄마 구하기
저자/출판사 : 박재원, 김영사
쪽수 : 292쪽
출판일 : 2016-09-21
ISBN : 9788934975823
정가 : 13000
프롤로그 : 강을 건너는 엄마들
1부 : 눈물_ 대한민국 엄마들의 빗나간 사랑
1장 대치동 엄마들의 속사정
대한민국 엄마들의 혼란ㆍ프랑스 엄마들의 표준적인 규범ㆍ부모와 학부모 사이
2장 누가 주도권을 쥘 것인가?
옆집 엄마들의 정보력ㆍ표준적인 규범의 빈자리ㆍ학구파 엄마들ㆍ현실과 동떨어진 부모 교육ㆍ내 아이에게 통하지 않는 성공 사례ㆍ힐링족 엄마들
3장 제발 강을 건너지 마세요
아이 안에 있는 답ㆍ엄마의 트라우마ㆍ후배 엄마들의 갈등과 방황
2부 : 발견_ 엄마와 아이를 갈라놓는 강의 정체
1장 인문학과의 만남
모든 엄마는 이미 훌륭하다ㆍ엄마의 욕심과 진심ㆍ학부모 문화에 갇힌 엄마들ㆍ오래된 표준적인 규범
2장 사교육 늪에 빠진 엄마들
사교육이라는 신경안정제ㆍ엄마들의 서열 의식ㆍ불안과 두려움의 실체ㆍ지향과 활용의 차이 ㆍ똑똑한 사교육 활용법ㆍ재인과 회상ㆍ공부의 기본 질서
3장 아이를 끌고 다니는 엄마들
나대는 엄마와 고립되는 아이ㆍ괴물이 되는 엄마ㆍ친구 없는 아이ㆍ한 번 1등과 계속 1등의 차이ㆍ엄마는 매니저가 아닌 파트너
4장 아이 성적에 목숨 건 엄마들
성적이 뭐길래ㆍ영어 유치원 하나에 소아정신과도 하나ㆍ걱정과 비교가 판치는 시대ㆍ믿는 만큼 자라는 아이들
5장 정보의 함정에 빠진 엄마들
엄마에게 복수하고 싶은 아이들ㆍ대한민국은 지금 정보 전쟁 중ㆍ중요한 것은 ‘어떻게’가 아닌 ‘왜’ㆍ학원의 미끼ㆍ내 아이가 원하는 진짜 정보력
6장 문제는 엄마가 아니라 학부모 문화
핀란드 교육법ㆍ나약한 아이와 고생하는 엄마ㆍ엄마들의 그릇된 결심과 학부모 문화
3부 행복_ 엄마들을 위한 행복 인문학
1장 그래서 어쩌라고!
결국 실천이 문제ㆍ행복한 엄마에게서 찾은 해결책ㆍ앎의 문제에서 삶의 문제로
2장 엄마가 먼저 행복해질 용기
뻔뻔한 엄마들ㆍ행복해지면 무엇이 달라질까?ㆍ행복한 엄마와 불행한 엄마의 차이ㆍ초콜릿을 우습게 여기지 마라ㆍ오늘 행복한 아이가 내일 성공한다ㆍ하루에 한 번 엄마만의 행복 여행ㆍ기적의 행복 체험
3장 믿음직한 아이와 만나는 아하 체험
아이가 의지할 수 있는 울타리 같은 엄마가 좋은 엄마입니다ㆍ있는 그대로 존중받는 아이의 미래는 밝습니다ㆍ오늘 행복한 아이가 내일 성공합니다ㆍ저는 제 부족함을 솔직하게 인정하는 엄마입니다ㆍ저는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도록 돕는 엄마입니다
4부 기적_ 엄마와 아이는 한 팀
1장 아이는 엄마의 공감을 먹고 자란다
일단 참고 봐?ㆍ인내와 공감 사이ㆍ엄마가 잔소리할 때 아이 뇌는 멈춘다ㆍSTAR 기법 활용하기 ㆍ아이가 좋아하는 공감 사전ㆍ감정 표현이 어려운 아이ㆍ가족일까, 동거인일까
2장 엄마력에서 관계력으로
엄마 주도에서 관계 중심으로ㆍ문제는 엄마의 개인플레이ㆍ다름을 존중하는 연습ㆍ팀워크를 위한 3단계 실행법ㆍ자기주도 학습의 핵심ㆍ사춘기를 잘 보내려면ㆍ스마트폰 중독에서 벗어나려면ㆍ 기적의 협력 체험
3장 기적의 엄마 체험과 새로운 학부모 문화
기적의 카페’ 그 후ㆍ제정신 지키기 힘든 신도시 엄마들ㆍ행복한 길을 가는 공동체 엄마들ㆍ상류층 학부모 문화ㆍ흔들리는 중산층ㆍ담쟁이 넝쿨의 작은 잎처럼
에필로그 : 박재원 소장에게 묻고 답하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