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선비들, 사랑에 빠지다 또는 기업들이 망하는 20가지 이유
로즈
2025-04-15 09:10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조선의 선비들, 사랑에 빠지다

도서명 : 조선의 선비들, 사랑에 빠지다
저자/출판사 : 김봉규, 행복한미래
쪽수 : 276쪽
출판일 : 2016-09-28
ISBN : 9791186463185
정가 : 14800
│프롤로그│ 옛 선비들의 사랑 이야기와 그 사랑이 탄생시킨 주옥같은 작품들
1부. 홀로 산창에 기대니
1. 이황과 두향
: 48세 대학자와 18세 기생이 함께 보낸 꿈같은 사랑
2. 이이와 유지
: 27세 연하의 어린 기생을 향한 선비의 순수한 사랑
3. 서경덕과 황진이
: 명기를 감복시킨 한 도학자의 담담한 사랑
4. 배전과 강담운
: 시로 끝없는 그리움을 달래야만 했던 애달픈 사랑
5. 임제와 한우
: 풍류남아와 멋진 기생이 펼친 화통한 사랑
2부. 밤비에 새잎 나거든
1. 최경창과 홍랑
: 죽어서도 함께 묻힌 천재시인과 기생의 절절한 사랑
2. 유희경과 이매창
: 주옥같은 시를 낳은 천민 출신 시인과 기생의 사랑
3. 허균과 이매창
: 조선의 이단아 허균이 평생을 사랑했던 고고한 시인 매창
4. 박신과 홍장
: 순찰사와 기생의 즐거운 경포호 사랑놀이
5. 강혼과 은대선
: 하룻밤 인연으로 평생을 그리워하는 먹먹한 사랑
6. 강혼과 진주 관기
: 수청 들러 가는 애인의 소매에 남긴 선비의 사랑 노래
3부. 나에게 살송곳 있으니
1. 정철과 진옥
: 해학으로 충만한 말년의 사랑
2. 정철과 강아
: 철부지 동기 강아, 의기 자미, 보살 소심
3. 심희수와 일타홍
: 기생으로 살았으나 사대부가에 묻힌 헌신적인 사랑
4. 박현수와 능소
: 천안 삼거리 능수버들의 사랑 이야기
4부. 그윽한 즐거움 다하기도 전에
1. 최치원과 쌍녀분
: 당나라 무덤 속 두 처녀와 나눈 기묘한 사랑
2. 신재효와 진채선
: 판소리 스승과 제자의 감질나는 사랑
3. 김응서와 계월향
: 임을 위해 목숨을 내준 사랑
4. 사마상여와 탁문군
: 가난한 선비와 부호 딸의 드라마 같은 사랑
│스페셜 페이지│ 선비와 기생
기업들이 망하는 20가지 이유

도서명 : 기업들이 망하는 20가지 이유
저자/출판사 : 박기혁, 비피기술거래
쪽수 : 100쪽
출판일 : 2016-10-21
ISBN : 9791187327400
정가 : 30000
서론 8
[오해 1] “임대료는 당연히 지출하는 거 아냐?? 그걸 뭘 아껴???” 1
1) 기업운영에 당연히 들어가는 돈은 무엇인가? 1
2) 당연지출에서 돈이 줄줄 샌다. 1
3) 많은 투자를 받을 회사일수록 경계하라 3
4) 눈앞의 돈을 모두 자기 돈으로 착각하지마라! 6
5) 망하지 않고 회사를 운영하는 법-축구에서의 역습의 논리로 살라 7
[오해 2] “우리 아이템으로 먹고 사는 회사가 있으니 우리도 좀 지나면 먹고 살겠지” 9
1) 후발주자가 흔히 저지르는 실수 - “우리 아이템으로 먹고사는 회사가 있으니...우리도 좀 지나면 먹고 살겠지” 9
2) 남들이 하는 것과 내가 같을 수 없다. 10
3) 손님이 많아 보여서 돈을 많이 버는 것 같아도 그렇지 않을 수 있다. 10
[오해 3] “내 물건은 우수한 아이템이어서 잘 팔릴거야!” 13
1) 필자의 경험담 13
2) 정말로 중요한 것은 영업이다. 13
3) 기술력만 믿지 마라. 특히 특허만으로는 15
[오해 4] “야 매출이 제법 많이 나네. 돈이 많이 들어오네? 돈이 많이 들어오니 돈 버는 거네!” 17
1) 매출이 많다고 돈 버는 것은 아니다. 17
2) 아껴서 쓰기도 해야 하고 또 중요한 것은 18
3) 인건비, 임대료에 신경을 많이 써야한다. 20
4) 솔찮이 나가는 지출을 조심하라. 작은 차이가 큰 손실을 가져온다. 21
[오해 5] “처음의 정부의 지원을 너무 과다하게 받으면 안 된다. 23
1) 정부에서 창업인 들을 위한 수많은 지원제도가 있다. 23
2) 처음의 분위기와는 달리 회사의 연식이 오래되면 지원받기가 쉽지 않다. 24
3) 얼떨결에 처음 받는 몇 천 또는 몇 억은 부담이 되기도 한다. 24
4) 그러나 지출은 알뜰하게 해야 한다. 여러 가지 펩 시설을 하느라고 망할 수 있다. 25
[오해 6] “영업은 잘하는 놈을 맡기면 되는 거 아니야?” 27
1) 자신은 공장만 잘하면 된다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오너. 27
2) 경험적으로 그런 회사가 잘되는 것을 본적이 별로 없다. 27
3) 나중에 안하더라도, 자신이 영업을 해야 한다 27
[오해 7]“저 거래처 다시 볼일 있겠어? 31
1) 하다보면 별의 별 사람들을 다 만난다. 31
2) 그래도 또 본다. 그러니 잘해라 31
3) 개똥도 약에 쓰려고 하면 없다 31
4) 우연이 필연이 된다. 그리고 꺼진 불도 다시 봐야 한다. 32
[오해 8]“정부과제로 먹고 사는 놈들은 나쁜 놈들이야! 35
1) 정부에게 기댄다? No! 35
2) 정부 과제도 좋게 볼 여지는 있다 36
3) 우리는 자격이 있다. 37
[오해 9]“회사는 사람을 키워야 한다. 사람이 전부고 사람에게 돈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39
1) 내가 생각하는 한은 사람을 잘 키워서 잘해줘야 한다. 39
2) 한 쪽으로 너무 가도 안 된다. 39
3) 유명한 회사 사장님의 일그러진 얼굴 39
4) 과연 나는 잘 실천하고 있는가? - 문자 메시지 하나도 세심하게 41
[오해 10] “요즘 젊은 직원들은 의욕이 없어! 일을 시켜도 잘하지를 않아” 43
1) ‘착각’ 약해 빠졌어, 요즘 젊은 직원들 43
2) 그런데 일을 시켜보면 당신보다 나은 점이 한 두개가 아니다. 44
3) 결국 ‘남의 떡의 커 보인다.’의 거울상. 그러니 잘하는 일을 잘 찾아주는 것이 대표가 할 일 44
[오해 11] “지금 여유 있을 때 임대업 하는 업주들은 다 미친 짓이야! 왜 돈을 그런데 써?” 46
1) ‘착각’ 본업에 바쁘다고 아우성치는 대표들이 많다 46
2) 임대업을 깔고 가라 46
3) 단 임대업도 쉽지는 않다는 사실을 명심하라 47
4) 지식창업에 대한 느낌도 여기와 같다 50
[오해 12] “무슨 사장이 저렇게 줏대가 없어? 사업해서야 어디 제대로 하겠어?” 52
1) 줏대 있는 사장이 멋있어 보이기는 한다. 52
2) 특히 변화되는 기업 환경에서는 유연성도 중요하다 52
3) 일관성에 대한 자주 언급하는 일화 52
[오해 13] “기술 개발하기도 바쁜데 대표가 다른 곳에 머리를 써?” 55
1) 첨단 산업이 더 피곤하다 55
2) 계속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55
[오해 14] “세금이나 돈은 세무사, 노무는 노무사에게 맡겨 놓으면 돼. 그들은 전문가이니 알아서 해줄 거야” 58
1) 분명히 세무사, 노무사, 변호사는 전문가다 58
2) 같은 증상에도 의사들의 진단은 다르다. 58
3) 그들은 자신의 면피에 집중한다. 58
4) 세무사, 노무사, 법무사는 우리 기대에 못 미친다. 59
[오해 15] “실력이 있으면 다 성공해! 운은 무슨 운?” 62
1) 운칠기삼 62
2) 운이 기업을 좌지우지한 경우는 많다. 62
3) 일관성 vs 우연성 63
4) 큰 회사에서도 이런 일을 비일비재 하다. 또한 그것은 신의 뜻이다(?) 64
[오해 16] “부도나면 내 인생은 끝이야!” 66
1) 부도나면 다 모든 것이 끝장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아니다. 66
2) 실제적 부도의 효과? 66
3) 실제로 부도가 나도 아주 큰일이 나지는 않는다. 그래도 기업운영은 목숨 걸고 하는 것이다 67
[오해 17] “우리 아버지 말씀도 그랬고, 동업하면 다 망해!” 69
1) 기술적으로는 동업이 쉽지 않다 69
2) 한국인의 기질과도 관련이 있다. 70
3) 기술과 아이템 모두 급변하는 지금, 이제는 움직여야 한다. 71
4) 동업 전에 앞서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자. 71
[오해 18] “우리는 확실한 거래처를 붙들고 가는 것이니 75
1) 옛날에는 그랬다. 삼성, LG, 현대랑 일하면 점수 막 쳐주고는 했다. 75
2) 이제는 투자사들이 제일 믿지 못하는 회사 중 하나가 삼성에 납품하는 회사이다. 75
3) 그래서 B2C가 뜬 점도 있다. 75
[오해 19] “경영 컨설팅 그거 다 쓸데없는 소리야!” 79
1) 경영 컨설팅, 그 만만한 이름 79
2)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갈등을 많이 한다. 79
3) 그래도 쓸모가 있다 80
[오해 20] “인센을 주면 회사가 성장해!” 82
1) ‘착각’ 인센을 준다고 생각한다. 특히, 대기업들은 그런 것들이 잘 되어있다고 본다. 82
2)오히려 인센은 독이 되기도 한다. 83
3) 소사장제가 제일 좋지 않을까? 85
이 책을 마무리하며 ?* 성원한다, 열심히들 해보기를 바란다. 87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