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멜랑콜리아 또는 한국 근대과학 형성사
로즈
2025-04-15 09:10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건축 멜랑콜리아

도서명 : 건축 멜랑콜리아
저자/출판사 : 이세영, 반비
쪽수 : 332쪽
출판일 : 2016-10-14
ISBN : 9788983718129
정가 : 17000
1. 건축 읽기
서산부인과의원 풍화의 운명 견뎌온 콘크리트 모성
당인리발전소 땅 밑으로 유배 가는 늙은 프로메테우스
남산 자유센터 반공의 이념 앞에 헌정된 정치적 신전
연세대 학생회관 신이여, 혁명이여, 이 도저한 멜랑콜리여
아현고가도로 잠시 서 있는 모든 것을 추모함
세운상가 하늘 아래 새로운 욕망은 없다
성 니콜라스 성당 마르크스가 예견 못한 성과 속의 변증법
용산 국방부 구관 군림하되 한곳만 바라보다
국회의사당 과장된 위엄이 비치는 무능의 석실묘
제주 소라의 성 순치된 스펙터클을 욕망하다
유진상가 비루하고 데데한 유신 건축물의 비애
여의도순복음교회 거룩한 천상의 빵, 신의 이름으로 약속된 세속적 번영
광주시민회관 패배하라, 포에틱 자스티스를 위하여
남영동 대공분실 살인 기계 빚어낸 애국적 판단 중지
고속버스터미널 불균등 발전의 기념비적 표상
마포 도원빌딩 주류 세계를 향한 미완의 인정투쟁
2. 공간 읽기
광화문 지하도 우리는 모두 노숙인이다
종묘공원 늙어가는 모든 존재는 비가 샌다
노을캠핑장 21세기의 가족로망스는 어떻게 실현되는가
청계천 천변풍경, 견유주의자의 시선
가리봉동 톨레랑스의 윤리학을 넘어서
서울 강남 강남이라는 상상의 공동체
책을 펴내며 모든 것은 정치적이다
한국 근대과학 형성사

도서명 : 한국 근대과학 형성사
저자/출판사 : 김연희, 들녘
쪽수 : 408쪽
출판일 : 2016-09-30
ISBN : 9791159251993
정가 : 33000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제1장 서론
제2장 근대 과학기술 발견과 조선 정부 도입 정책
1절 서양 근대 과학기술과의 조우
1. 강력한 화력으로 만난 서양 근대 과학기술
2. 국가 지향의 전환
3. 강병부국을 위한 모색
4. 서양 과학기술 도입을 위한 정비
1) 외교사절을 통한 정보 수집 Ⅰ
2) 서양 한역 과학기술 서적의 도입과 학습
2절 과학기술 도입 정책의 수립과 변화
1. 개항 직후~광무개혁 이전 조선 정부의 서구 과학기술 수용 정책
2. 광무개혁 이후 식산흥업 지원을 위한 과학기술 도입 정책
제3장 서양식 군비의 확충
1절 조선 전통 무기 개량의 역사
2절 조선의 서양 무기 제작 기술 도입 사업
1. 근대 무기 기술로의 전환 모색
2. 청으로의 유학생 파견: 군계학조단
3. 대한제국기 서양식 군제 확보 노력
3절 무기제작 기술 도입의 좌절과 대한제국 군비 사업의 향배
제4장 서양 농법의 도입과 전개
1절 조선 전통 중점 산업, 농업
2절 개항과 서양 농법의 소개
1. 정부 조직의 개편
2. 서양 농법의 소개
1) 농업학교 설립 모색 Ⅰ
2) 서적을 통한 서양 농학의 소개와 도입
3) 시범농장의 운영?농무목축시험장의 개설과 운영 그리고 성과
3. 농업 생산성 증대 모색
1) 새로운 시비법 소개 Ⅰ
2) 벼 증산과 발전 모색 Ⅰ
3) 상업 작물의 확산과 농업의 재편
제5장 교통 체계의 개혁: 철도와 전차를 중심으로
1절 전통 교통 체제 개혁과 철도의 발견
1. 전통 교통 체제의 개혁 모색
2. 철도 도입 모색과 전개
3. 한반도 철도를 둘러싼 열강의 각축
4. 철도 공사 기술의 도입 노력과 굴절
2절 국지적 교통체계 전차의 도입과 한성의 변화
1. 한성 전차 부설과 운영
2. 노선 설계와 식산흥업
3. 전차에 의한 근대 사회의 학습
제6장 통신 제도의 개혁?전신을 중심으로
1절 조선에서의 전신 사업 전개와 확장
1. 전국 전기통신망의 구축과 이용
2. 전신망 운영의 정상화 및 확장
3. 통신원 창설과 관리 규칙의 재정비와 경영
4. 전신 전문 인력 집단의 형성
5. 전신에 의한 일상의 변화
■ 보첨: 김학우(金鶴羽, 1862~1894)
2절 일본의 통신권 침탈과 대한제국 전신 사업의 와해
제7장 근대 과학으로 진입과 전통 자연관의 해체
1절 서양 근대 천문학의 도입과 전통 천문학의 해체
2절 근대 시간 체계로의 진입에 따른 전통적 시각 체계의 굴절
3절 근대 기상학의 도입
1. 전통 천문 속의 측후
2. 근대 기상학의 도입과 재이설의 해체
3. 기상 관측대 설립과 기상 정보의 수집
4. 국권 침탈 전후 일제의 조선 기상 관측 장악
4절 천원지방의 해체와 지구론에 의한 새로운 땅의 등장
1. 전통 조선 지리의 해체
2. 국토 의식 함양을 위한 지문학으로의 전환
제8장 새로운 교육 체계의 도입과 근대 과학 교육
1절 서양 학제 도입과 적용
1. 서양 학교의 소개
2. 새 학교와 신학문 수용의 모색
3. 소학교 관제의 반포와 서양식 근대 과학 교육
1) 전통 교육의 폐기와 근대 학제의 구축
2) 과학 관련 교과와 새로운 교과서의 출현
■ 보첨: 생물학
2절 전문기술학교의 등장과 변질
3절 통감부의 교육 정책과 대한제국 교육 정책의 해체
제9장 결론
주석
도판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한국의>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