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봉균 원장의 양악수술 안면윤곽(사각턱, 광대, 턱끝수술) 이야기 또는 한국의 일본, 일본의 한국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최봉균 원장의 양악수술 안면윤곽(사각턱, 광대, 턱끝수술) 이야기 또는 한국의 일본, 일본의 한국

로즈
2025-04-15 09:10 2 0

본문




최봉균 원장의 양악수술 안면윤곽(사각턱, 광대, 턱끝수술) 이야기
9788956013428.jpg


도서명 : 최봉균 원장의 양악수술 안면윤곽(사각턱, 광대, 턱끝수술) 이야기
저자/출판사 : 최봉균, 무한
쪽수 : 188쪽
출판일 : 2016-09-30
ISBN : 9788956013428
정가 : 13500

프롤로그
추천사

1부 삶이 고통이 되어버린 이들
사각턱수술 후 제 삶은 엉망이 되었습니다
광대축소술 후 세상에 이런 일이
힘들게 한 양악수술인데 잠을 잘 수 없어요

2부 양악수술
Chapter 01. 양악수술 전, 수백 번 고민하라
양악수술과 안면윤곽수술 중 무엇을 할까요?
양악수술은 성형외과에서? 치과에서?
악간고정이 무서워요
축농증과 비염이 있는데 양악수술을 할 수 있나요?
양악수술 전 치아교정을 꼭 해야 하나요?

Chapter 02. 이것이 양악수술이다
‘진짜’ 양악수술은 무엇인가요?
주걱턱 양악수술
안면비대칭 양악수술
긴 얼굴 양악수술
돌출입수술

Chapter 03. 양악수술 후 부작용은 루머일까? 사실일까?
양악수술은 목숨 걸고 받아야 하는 수술?
양악수술 후 아랫입술과 아래턱에 감각이 없어요
양악수술 후 안면마비가 되었어요
수술 후 코퍼짐이 생겼어요
주걱턱이 재발했어요
돌출입수술 후 합죽이가 되었어요

3부 안면윤곽수술
Chapter 01. 한국인의 얼굴형 콤플렉스
아시아인들은 왜 얼굴형에 집착하는가?
식지 않는 V라인 열풍
강한 인상의 상징, 광대뼈

Chapter 02. 다양한 안면윤곽수술, 나에게 맞는 수술은?
돌려깎기수술과 V라인수술의 차이점
귀뒤사각턱수술과 입안절개 사각턱수술
턱끝수술 절골법, T절골? Y절골? ㅅ절골?
광대 종류에 따른 수술 방법
절개창과 고정 방법에 따른 광대축소술

Chapter 03. 안면윤곽수술의 부작용과 재수술
사각턱수술 후 계단이 생겼어요
부기가 빠져도 얼굴이 갸름하지 않아요
피질 절골술 후 감각이 없어요
광대수술 후 볼처짐 어떻게 하죠?
퀵안면윤곽수술의 부작용
턱끝수술 후 호두주름이 생겼어요

4부 실패 없는 얼굴뼈수술
병원에 유령이 살고 있다
사망사고를 막는 얼굴뼈 병원의 조건
원칙으로 수술하라




한국의 일본, 일본의 한국
9788956609980.jpg


도서명 : 한국의 일본, 일본의 한국
저자/출판사 : 허문명 외, 은행나무
쪽수 : 380쪽
출판일 : 2016-09-30
ISBN : 9788956609980
정가 : 16000

서문

1부 | 일본 안의 백제에 가다
1. 한일 관계, 길고 깊은 우애의 역사
2. 일본에 벼농사를 가르치다
3. 일본에 청동과 토기를 전하다
4. 일본 문화의 아버지, 백제인 왕인
5. 오사카를 완성한 백제 도래인들
6. 닌토쿠 왕가의 비밀
7. 일본에서 태어난 백제 무령왕
8. 무령왕 출생지를 가다
9. 일본 왕실에 흐르는 백제인의 피
10. 백제계를 중용한 ‘교토의 신’ 간무 왕
11. 칠지도에 담긴 고대 한일 교류사
12. 한반도와 일본의 역사를 뒤바꾼 백강 전투
13. 백제 유민들의 마지막 방어선
14. ‘리틀 백제’ 신도시 히라카타
15. 백제 마을 난고손

2부 | 일본에 뿌리 내린 한반도 문화를 찾아
16. 일본 문화의 거름이 된 철, 말, 토기를 전하다
17. 고구려인의 흔적들
18. 교토 번영의 씨앗을 뿌린 신라인들의 흔적
19. 백제왕족을 모시는 일본의 신사들
20. 일본 문화를 눈부시게 발전시킨 백제의 테크노크라트
21. 또 하나의 백제 오사카
22. 고대국가의 기틀을 마련한 불교를 전수하다
23. 한반도의 최첨단 종합 예술이 집약된 건축물
24. 한일 화공들이 합작한 호류사 금당 벽화
25. 불교가 승리한 일본에 지어진 첫 관영 사찰
26.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을 빼닮은 일본 국보 1호
27. 도래인의 기술로 꽃핀 일본 독자 문화의 상징
28. 민중의 구제자 교키 스님
29. 한반도의 선물을 간직한 나라 문화 타임캡슐
30. 한일 교류의 흔적을 간직하고 있는 일본의 사찰들
31. 해상왕 장보고와 일본 불교의 인연
32. 일본 도자 산업의 조상 이삼평
33. 일본 도자의 비밀을 간직한 조선 도공들의 넋을 기리다
34. 일본에서 틔운 조선 도자의 씨앗, 심수관 가문

3부 | 조선 통신사의 길
35. 통신사는 왜 일본으로 갔을까
36. 쓰시마 섬의 명운을 건 국서 위조 사건
37. 통신사의 숙소로 애용된 세 번째 섬
38. 성신교린을 강조한 아메노모리 호슈
39. 상차림에서 나타난 극진한 예우
40. 한일 관계의 관문 시모노세키
41. 객지에서 눈 감은 조선 통신사의 혼을 달래다
42. 통신사들이 존경했던 벳슈 소엔 스님
43. 통신사가 가는 곳마다 몰려든 사람들
44. 한일 우호를 향한 2,000킬로미터의 여정

후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