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대의 과학기술 또는 원문 주석 국역 한서. 2
로즈
2025-04-15 09:10
2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세종시대의 과학기술

도서명 : 세종시대의 과학기술
저자/출판사 : 구만옥, 들녘
쪽수 : 472쪽
출판일 : 2016-09-30
ISBN : 9791159251955
정가 : 35000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머리말
제1장 세종시대 과학기술의 토대
1절 세종대의 역사적 좌표
1. ‘수성(守成)’의 시대
2. ‘해외지국(海外之國)’으로서 조선의 정체성
2절 집권체제의 재편과 과학기술의 필요성
3절 유교ㆍ주자학과 과학기술의 연관성: 역상수시(曆象授時)와 경천근민(敬天勤民)
4절 과학기술 정책의 추진 방향과 ‘풍토부동론(風土不同論)’
제2장 세종시대 과학기술 정책
1절 과학기술 정책의 집행 기구
1. 서운관의 정비
2. 산학(算學) 교육 기관
3. 의료 기관의 정비: 전의감ㆍ혜민국ㆍ제생원
4. 서적 인쇄 기관: 서적원ㆍ교서관ㆍ주자소
5. 조지소(造紙所=造紙署)
2절 과학기술 인력의 양성
3절 공장(工匠) 계층의 관리와 운용
제3장 세종시대 과학기술의 중추인물
1절 세종: 과학기술 정책의 중심
1. 과학기술 정책의 추진 주체로서의 세종
2. ‘세종=성군(聖君)’ 담론의 형성과 전개
2절 학술 관료[문인 관료, 양반 관료]
1. 정흠지
2. 정초
3. 김돈
4. 김빈
5. 정인지
6. 이순지와 김담
7. 정척
3절 기술 관료[기술자]
1. 장영실
2. 이천
3. 박자청
4. 노중례
5. 관상감 관원들
6. 배상문
제4장 세종시대 과학기술의 성취
1절 천문역산학의 정비와 『칠정산』의 편찬
1. 천문역산학의 체계화
2. 『칠정산』의 편찬: 본국력의 확립
3. 천문의기의 제작
2절 지도의 제작과 지리지의 편찬
1. 지도의 제작
2. 지리지의 편찬
3절 의료 환경의 개선과 의학의 정비
1. 세종대 의료의 실태
2. 의료 기관의 정비
3. 의료 인력의 양성
4. 의서의 편찬과 보급
4절 ‘농업기상학’의 발전
1. 측우기의 발명
2. 수표의 설치
3. 풍기의 제작
5절 금속활자 인쇄술의 개선
6절 군사기술의 개량: 화약(火藥)ㆍ화기(火器: 銃筒)ㆍ병선(兵船)
1. 화약
2. 화기
3. 병선
7절 도량형의 정비와 표준화: ‘동률도량형’의 구현
1. 척도의 제정
2. 양제(量制)의 정비
3. 형제(衡制)의 정비
제5장 세종시대 과학 지식의 재구성
1절 국내외 서적의 수집과 수입
1. 국내 서적의 수집
2. 중국 서적의 수증(受贈)과 무역(貿易)
2절 고제(古制) 연구와 유서(類書)의 활용
3절 과학 지식의 재구성과 서적 편찬
1. 『농사직설』
2. 의서: 『향약집성방』ㆍ『태산요록』ㆍ『의방유취』
1) 향약집성방 Ⅰ 2) 태산요록 Ⅰ 3) 의방유취
3. 천문역법서: 『칠정산』ㆍ『제가역상집』
1) 칠정산 Ⅰ 2) 제가역상집
맺음말
<부표> 세종대 과학사 연표
주석
표 및 도판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부표> 한국의>
원문 주석 국역 한서. 2

도서명 : 원문 주석 국역 한서. 2
저자/출판사 : 진기환 역주, 명문당
쪽수 : 615쪽
출판일 : 2016-09-20
ISBN : 9791185704807
정가 : 30000
《漢書(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