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기록전쟁 또는 한국 선사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대통령 기록전쟁 또는 한국 선사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

로즈
2025-04-15 09:10 2 0

본문




대통령 기록전쟁
9788997090600.jpg


도서명 : 대통령 기록전쟁
저자/출판사 : 전진한, 한티재
쪽수 : 268쪽
출판일 : 2016-10-03
ISBN : 9788997090600
정가 : 15000

추천사
진짜 기록인이 쓴 대통령기록의 역사 이소연
기록하지 않는 나라는 미래가 없다 백승헌

프롤로그 나는 왜 대통령기록 사태를 기록하려 하는가
노무현 대통령, 역사의 기록을 시작하다 / 기록이 없는 나라 / 허물로 변한 대통령기록

1장 참담한 대통령기록 문화 - 우리에게는 아무것도 없었다
기록과 도서의 차이 / 기록으로 사건을 규명하지 못하는 나라 / 김대중 정부의 공공기록물법 탄생 배경

2장 노무현 대통령과 기록관리 혁신
참여정부의 4대 혁신법안

3장 대통령직 권한과 기록
인사권 / 계엄권 및 국군통수권 / 사면권 / 긴급명령권 / 법률안 거부권 / 전직 대통령의 권한

4장 대통령기록물법 제정의 의미

5장 “대통령기록으로 노무현 대통령을 공격하라”
대통령기록 공격으로 시작된 참여정부 탄압 / 기록물 유출, 큰 음모? / 사건의 진실은 무엇인가 / e지원 시스템 유출, 합법인가 / 대통령기록 유출, 합법? / 국가기록원의 참여정부 비서진 고발 / 대통령지정기록물에 대한 검찰의 영장 청구 / 대통령기록관장의 교체 / 이명박 측근 대통령기록관장 임명 / 대통령기록 유출 사건의 정리 / 감사원의 감사 기록 폐기 / 국회의 대통령지정기록물 공개 /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유출 / 남재준의 결심 ― 국정원의 1급 비밀 공개, 그 막전막후 / 문재인 의원의 대통령지정기록물 열람 제안 /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실종 / 시작된 검찰 수사 / 대화록 실종의 진실 / 법원에서 이어진 무죄, 무죄

6장 이명박 대통령의 대통령기록 실체
과학자들도 경악한 부처 통폐합 / 정보공개위원회와 국가기록관리위원회 폐지 거론 / 정보공개 암흑기 ― 그들은 공개를 싫어했다 / 정보 비공개로 인한 손해배상청구 소송 / 기록 파기와 기록물 폐기 절차 간소화 / 기록관리전문요원 자격 완화 / 일 년, 천만 건 기록 생산 / 비밀기록이 없다? / 이명박 자서전 『대통령의 시간』

7장 찌라시도 대통령기록인가 - 박근혜 대통령의 대통령기록관리
세월호와 기록 / 대통령의 지시 / ‘찌라시’가 대통령기록인가 / 국정교과서 집필진 비공개 / 박근혜 정부와 ‘정부 3.0’ / 기록 민영화

8장 대통령기록제도의 개선점
대통령지정기록물의 지정 시기와 범위 / 대통령지정기록물, 종이기록으로도 관리해야 / 국가기록원과 대통령기록관의 독립성 확보

9장 기록관리전문요원의 독립성은 보장할 수 있을까?
주체적 대우를 받지 못하는 기록관리전문요원 / 대통령기록의 정보공개 기준은?

10장 대통령기록제도의 필수조건

에필로그 참여정부 대통령기록관리 탄생 배경 - 조영삼 박사와의 대화




한국 선사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
9788962462951.jpg


도서명 : 한국 선사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
저자/출판사 : 최몽룡, 주류성
쪽수 : 312쪽
출판일 : 2016-10-08
ISBN : 9788962462951
정가 : 20000

1. 편년 _ 15
2. 환경 _ 35
3. 한반도와 홍적세 _ 39
4. 인류의 등장 _ 41
5. 우리 민족의 기원 _ 47

6. 구석기시대: 타제석기(뗀석기)를 사용한 사람들 _ 55
1) 세계의 구석기시대 _ 55
2) 타제석기(뗀석기) _ 60
3) 우리나라의 구석기시대 _ 61
4) 구석기시대의 생활 _ 65

7. 신석기시대: 마제석기(간석기)를 사용한 사람들 _ 67
1) 세계의 신석기시대 _ 67
2)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_ 70
3) 신석기시대의 주거지 _ 75
4) 신석기시대의 농경문제 _ 76
5) 신석기시대의 사회 구성 _ 78
6) 신석기시대의 신앙형태 _ 79

8. 문명의 발생과 국가의 성립 _ 85
1) 메소포타미아 문명 _ 91
2) 이집트 문명 _ 92
3) 인더스 문명 _ 93
4) 황하 유역에서 발생한 상(商)문명 _ 95

9. 고조선: 청동기문화의 발달과 고조선의 형성 _ 101
1) 우리나라의 청동기문화 _ 103
2) 지석묘(고인돌) _ 109
3) 청동기시대의 생활 모습과 예술 _ 134
4) 족장사회(chiefdom society) _ 136
5) 단군조선: 고조선의 형성 _ 137
6) 북한의 단군릉 _ 141
7) 신화와 역사 _ 144
8) 고조선의 강역 문제 _ 150
9) 기자조선에 대한 이해 _ 156
10) 위만의 집권 _ 157
11) 고조선의 사회 _ 158
12) 고조선의 변화 _ 161
10. 한사군의 성립 _ 167
11. 철기시대: 철기의 보급과 여러 나라의 성장 _ 181
1) 철기의 사용과 문화 _ 181
2) 철기의 사용 _ 189
3) 철기시대의 생활 _ 193
4) 철기시대의 사회상 _ 195

12. 여러 나라의 모습 _ 199
1) 부여 _ 200
2) 고구려 _ 202
3) 옥저와 동예 _ 205
4) 삼한 _ 208
5) 백제 _ 230
6) 신라ㆍ가야의 성장 _ 248

13. 후언 _ 259
영문요약 _ 281
참고문헌 _ 295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