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아가는 하루하루가 기적이다 또는 소리의 정치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우리가 살아가는 하루하루가 기적이다 또는 소리의 정치

땅끝
2025-04-15 09:10 2 0

본문




우리가 살아가는 하루하루가 기적이다
9791156024057.jpg


도서명 : 우리가 살아가는 하루하루가 기적이다
저자/출판사 : 이승희, 행복에너지
쪽수 : 288쪽
출판일 : 2016-07-30
ISBN : 9791156024057
정가 : 15000

1장 - 왜 탈북을 선택해야 했을까
대대로 물려받는 노예제도…008
발명품과 바꾼 연필 한 자루…015
목숨 걸고 탈북한 가장 큰 이유…022
잔혹한 북한의 현실…028
전 재산을 당에서 몰수하다…035
짐승보다 못한 인생…042
해고는 살인보다 더 두려웠다…049
고통스러운 김일성一家 공부…055
따뜻한 밥 한 그릇이 그리웠다…062

2장 - 국경을 넘어 중국으로
다 같이 죽음을 선택했다…072
돈에 눈 먼 중국 경찰들…079
지옥으로 북송되다…086
내가 본 정치범 수용소…092
창태리로 추방되다…102
정치범의 운명…109
또 다시 국경을 넘다…115
공포의 사이렌 소리…122
가짜 중국 경찰…128
북한 사람이라는 이유로…135
호락호락하지 않았던 중국에서의 삶…142

3장 - 그래도 살아남아야 했다
살아남은 죄인…150
아버지, 오빠의 죽음…156
시한부의 삶…163
영원한 절망은 없다…170
떠올리면 마음이 아파오는 한 사람, 아버지…176
그래도 살아남아야 했다…184
절망 속에서 만난 사람들…190
죽고 싶어도 죽을 수가 없었다…197

4장 - 우리가 살아가는 하루하루가 기적이다
시련은 있어도 좌절은 없다…206
대한민국을 사랑합니다…213
다시 시작하는 삶…220
살아가는 힘이 되어준 따듯한 남쪽 사람들…226
9년에 걸쳐 북한, 중국, 대한민국 대구까지…234
희망은 생각보다 믿을 만하다…240
이제는 모두가 알아야 한다…246
우리가 살아가는 하루하루가 기적이다…254

추천사…263
출간후기…282




소리의 정치
9788965641896.jpg


도서명 : 소리의 정치
저자/출판사 : 이화진, 현실문화
쪽수 : 380쪽
출판일 : 2016-09-01
ISBN : 9788965641896
정가 : 22000

책머리에

1장. 식민지의 극장과 ‘소리’
식민지의 다이글로시아와 조선영화
극장과 ‘소리’에 관한 연구의 궤적
(목)소리와 말의 영화
이 책의 구성

2장. 토키 이행기 극장의 문화적 지형 변화
1. 식민지 극장과 다이글로시아
1 두 민족, 두 언어, 두 극장
2 ‘동족(어) 공간’의 정치적 잠재성
2. 외국 발성영화의 도래와 ‘방문자막(邦文字幕)’의 출현
1 무성영화기 외국 영화의 수용: 과잉 혹은 유연성의 조건들
2 초기 외국어 발성영화의 상영 방식들
3 ‘방문자막’의 출현과 정착
3. 상영의 표준화와 극장의 문화 정치적 위상 변화
1 ‘육성(肉聲)’에서 ‘발성(發聲)’으로
2 ‘동족(어) 공간’의 쇠퇴와 상영의 문화적 지형 변화

3장. ‘발성’하는 신체와 ‘조선영화’의 형성
1. 조선어 영화의 등장과 조선영화 만들기
1 ‘음화(音畵)’로의 재출발
2 조선어 대사로 영화 만들기: 나운규의 시도와 좌절
3 문학과 영화, 그리고 조선영화의 ‘신세리틔’
2. 초기 조선어 영화의 사운드 실험
1 경성촬영소의 토키 토착화 시도
2 ‘사운딩 코리안’: 조선영화의 음악, 노래하는 조선
3 육체와 음성의 사운드 몽타주
3. ‘발성’하는 신체: 목소리와 신체, 그리고 스타덤
1 영화 연기의 제도화 : ‘안면 근육’의 무도(舞蹈)에서 ‘에로큐?’의 문제로
2 ‘조선적 신체’와 목소리

4장. ‘소리’의 벡터: 제국의 관객을 상상하기
1. 중일전쟁 이후 제국적 영화권의 편성
1 식민지 조선의 양화(洋畵) 통제와 일본 흥행계의 조선 진출
2 조선영화의 일본 이출(移出)과 내선(內鮮) 합작 영화
2. ‘대동아공영권’과 일본어 영화의 기획
1 ‘대동아영화(권)’과 ‘동아 공통어’로서의 일본어
2 ‘조선어 영화’의 기로
3 ‘고쿠고(?語) 영화’와 흐려지는 민족적 신체
3. 조선어 공간의 재편
1 문화의 외부, 이동하는 극장
2 ‘오랄리티(orality/aurality)’의 이중성

맺는말
주(註)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