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연금술 또는 글쓰기와 서사의 방법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글쓰기 연금술 또는 글쓰기와 서사의 방법

땅끝
2025-04-15 09:10 2 0

본문




글쓰기 연금술
9791195745043.jpg


도서명 : 글쓰기 연금술
저자/출판사 : 양선규, 소소담담
쪽수 : 288쪽
출판일 : 2016-08-20
ISBN : 9791195745043
정가 : 15000

프롤로그_ 4
1. 연금술, 글쓰기의 행로_ 11
2. 환상幻想, 역사는 자란다_ 16
3. 힐링 천국, 아무도 남을 돌보지 마라_ 22
4. 오만과 편견, 숨어 있는 절대적 원인_ 27
5. 콘도르 독수리, 뒤로 넘어지면서 느끼는 해방감_ 34
6. 절박함, 기교의 탄생_ 39
7. 사건, 성격이 초래한 불행_ 46
8. 소설,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_ 51
9. 비극, 「기억 속의 들꽃」_ 58
10. 작가, 서술하는 자_ 63
11. 이야기의 힘, 자기 체험에서 출발하라_ 71
12. 부재하는 전제, 「사평역」_ 78
13. 묘사, 묵은 빚 문서_ 83
14. 비유, 그믐처럼 몇은 졸고_ 91
15. 낙원회복, 소설과 로맨스_ 97
16. 절정絶頂, 「선학동 나그네」_ 105
17. 신화, 이야기의 속살_ 113
18. 무의식, 모종의 이동일 뿐인_ 120
19. 신 화, 옛이야기의 매력_ 129
20. 상징, 백설공주의 두 얼굴_ 137
21. 블랙코미디, 사라진 놉의 아이들_ 145
22. 주제, 오래된 공든 탑_ 152
23. 손님, 글쓰기의 주인_ 159
24. 육손이, 과잉過剩의 미학_ 167
25. 연상聯想, 다리 위에서 기관총 사격을 받게 된 사람처럼_ 172
26. 유미주의, 상처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_ 179
27. 위대한 것의 몰락, 『암흑의 핵심』_ 190
28. 마술적 사실주의, 『뻬드로 빠라모』_ 202
29. 변신이야기, 모든 이야기는 유전한다_ 218
30. 무협이야기, 경신輕身과 강호江湖_ 231
31. 그림책, 글자가 전하지 못하는 것_ 239
32. 연애시, 화투와 여자_ 247
33.가재미, 몸이 되는 문학_ 254
34.패장敗將의 전술, 글쓰기 지도의 유의점_ 265
35.마당, 사랑의 기록_ 279




글쓰기와 서사의 방법
9791186667347.jpg


도서명 : 글쓰기와 서사의 방법
저자/출판사 : 김종성, 서정시학
쪽수 : 582쪽
출판일 : 2016-08-20
ISBN : 9791186667347
정가 : 25000

머리말 / 5

제1부 언어와 문장 ┃ 21

제1장 한국어의 이해 ┃ 23

1. 한국어의 특질 ……23

1) 음운상의 특질 …… 23
(1) 구개음화 …… 24
(2) 두음법칙 …… 24
(3) 모음조화 …… 25
(4) 자음동화 …… 25
(5) 말음법칙 …… 26
2) 어휘상의 특질 …… 27
(1) 위상어 …… 27
(2) 배의성 …… 27
(3) 유의어 …… 28
(4) 감각어 …… 28
(5) 다음절어 …… 28
(6) 동음이의어 …… 28
(7) 상징어 …… 29
3) 문법상의 특질 …… 29
(1) 조사 …… 29
(2) 어미 …… 34
(3) 어순 …… 36

2. 한국어 정서법 …… 40

1) 총칙 …… 41
2) 소리에 관한 것 …… 41
(1) 된소리 …… 41
(2) ‘ㄷ’ 소리 받침 …… 42
3) 형태에 관한 것 …… 43
(1) 체언과 조사 …… 43
(2) 어간과 어미 …… 44
4) 띄어쓰기 …… 47
(1) 조사의 띄어쓰기 …… 48
(2) 의존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등의 띄어쓰기 …… 49
(3) 보조용언의 띄어쓰기 …… 52
(4) 고유명사 및 전문용어의 띄어쓰기 …… 53
(5) 주의해야 할 띄어쓰기 …… 54

3. 문장과 표현 …… 56

1) 문장의 종류 …… 56
(1) 홑문장(單文) …… 56
(2) 겹문장(重文) …… 56
2) 문장 속의 문장 …… 56
(1) 안김과 안음 …… 56
(2) 명사절(名詞節)로 안긴 문장 …… 57
(3) 서술절(敍述節)로 안긴 문장 …… 57
(4) 관형절(冠形節)로 안긴 문장 …… 58
(5) 부사절(副詞節)로 안긴 문장 …… 58
(6) 인용절(引用節)로 안긴 문장 …… 58
3) 이어진 문장(接續文) …… 59
(1)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 59
(2)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 59
4) 문장의 골격과 형성 …… 60
(1) 동사문(動詞文) …… 60
(2) 형용사문(形容詞文) …… 60
(3) 명사문(名詞文) …… 60
5) 장문 쓰기와 단문의 효과 …… 60
(1) 장문 쓰기의 문제점 …… 60
(2) 장문(長文)을 짓지 않는 법 …… 62
(3) 단문의 효과 …… 62
6) 피동 표현 …… 63
7) 어휘의 구사 …… 64
(1) 글의 성격에 맞는 어휘의 사용 …… 64
(2) 비속어의 문제 …… 65
(3) 표준어 사용 …… 66
(4) 판단을 나타내는 부분의 서술 …… 67
(5) 적합한 어휘의 선택과 정확한 지식 …… 67

제2장 어휘의 이해┃69

1. 어휘와 표현 …… 69

1) 어휘의 선택 …… 69
2) 단어와 어휘 …… 70
(1) 단어 …… 71
(2) 어휘 …… 71

2 파생어 …… 71
1) 접두 파생어 …… 72
(1) 고유어 계통 접두사+명사 어근=파생어 …… 72
(2) 고유어 계통 접두사+용언어근=파생어 …… 77
(3) 한자어 계통 접두사+명사어근=파생어 …… 78
2) 접미 파생어 …… 80
(1) 명사어근+접미사=사람을 뜻하는 명사 …… 80
(2) 동사화 접미사 …… 87
(3) 형용사화 접미사 …… 87
(4) 부사화 접미사 …… 88
(5) 관형사화와 접미사 …… 89
3) 한자어 접미사 …… 90
(1) 사람의 의미성분을 지닌 한자어 접미사 …… 90
(2) 직업의 의미성분을 지닌 접미사 …… 90

3. 합성어 …… 91

1) 통사적 합성어 …… 91
2) 비통사적 합성어 …… 92
(1) ‘명사어근+명사어근’의 구성; 사이시옷이 개입된 형태 …… 92
(2) ‘용언어근+명사어근’의 구성; 용언이 명사를 수식할 경우 …… 92
(3) ‘부사어근+명사어근’으로 구성된 형태 …… 93
(4) ‘용언어근+용언어근’으로 구성; 동사 합성어 …… 93
(5) ‘용언어근+용언어근’으로 구성; 형용사 합성어 …… 93

제3장고유어┃95

1. 고유어의 특성 …… 95

1) 고유어와 작가 …… 95
2) 고유어의 특성 …… 96

2. 고유어와 표현 …… 97

1) 체언 고유어와 표현 …… 97
(1) 명사고유어와 표현 …… 97
(2) 대명사 고유어와 표현 …… 129
(3) 수사 고유어와 표현 …… 131
2) 용언 고유어와 표현 …… 132
(1) 동사 고유어와 표현 …… 132
(2) 형용사 고유어와 표현 …… 145
3) 수식언 고유어와 표현 …… 158
(1) 관형사 고유어와 표현 …… 158
(2) 부사 고유어와 표현 …… 161

제4장 한자어┃169

1. 한자어와 표현 …… 169

1) 한자어 구조의 성격 …… 169
(1) 단순어 …… 169
(2) 합성어 …… 170
2) 체언 한자어와 표현 …… 173
(1) 명사 한자어와 표현 …… 173
(2) 대명사 한자어와 표현 …… 198
(3) 수사 한자어와 표현 …… 201
3) 용언 한자어와 표현 …… 202
(1) 동사 한자어와 표현 …… 202
(2) 형용사 한자어 어휘와 표현 …… 221
4) 수식언 한자어와 표현 …… 229
(1) 관형사 한자어와 표현 …… 229
(2) 부사 한자어와 표현 …… 238
제5장 관용어┃247

1. 관용어 …… 247

1) 용언형 관용어 …… 248
(1) 용언형 관형어 …… 248
(2) 용언형 관형어의 표현 …… 251
2) 체언형 관용어 …… 254
(1) 체언형 관형어 …… 254
(2) 체언형 관형어의 표현 …… 254
3) 부사격 조사가 첨가된 관용어 …… 255
(1) 부사격 조사가 첨가된 관용어 …… 255
(2) 부사격 조사가 첨가된 관용어의 표현 …… 255
4) 용언의 부사적 용법에 의해 형성된 관용어 …… 256
(1) 용언의 부사적 용법에 의해 형성된 관용어 …… 256
(2) 용언의 부사적 용법에 의해 형성된 관용어의 표현 …… 257

2. 속담 …… 258

1) 속담 자료 …… 258
2) 속담과 표현 …… 259
(1) 한국어 속담 …… 259
(2) 한국어 속담의 표현 …… 264

3. 한자성어 …… 271

1) 한자성어의 의미방식상의 유형 …… 271
(1) 단순히 지시적인 것 …… 272
(2) 지시와 비유ㆍ상징이 섞인 것 …… 275
(3) 전체가 비유ㆍ상징적인 것 …… 276
(4) 의미가 유사한 것 …… 283
2) 한자성어와 표현 …… 289
(1) 2음절 및 3음절한자성어와 표현 …… 289
(2) 4음절 한자성어와 표현 …… 296

제2부 글쓰기의 방법┃313

제1장 표현과 구성┃315

1. 주제 …… 315

1) 주제의 의미 …… 315
(1) 주제의 설정 …… 315
(2) 주제문 …… 317
(3) 소재와 제재 …… 319
(4) 주제와 핵심어 …… 320
2) 주제의 파악 …… 321

2. 단락 …… 323

1) 단락의 개념 …… 323
2) 줄갈이 …… 324
3) 단락의 원리 …… 324
(1) 통일성 …… 324
(2) 완결성 …… 325
(3) 연결성 …… 325
(4) 강조성 …… 326
4) 단락의 구성 …… 326
(1) 단락의 구성 요소 …… 326
(2) 소주제문과 주제문 …… 327
(3) 단락을 구성하는 기본 순서 …… 328
(4) 단락 가르기 …… 328
5) 단락의 연계 …… 329
(1) 접속어를 사용하는 방법 …… 329
(2) 지시어를 사용하는 방법 …… 330
(3) 주요 어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 331
6) 소주제문과 뒷받침문장의 위치 …… 332
(1) 소주제문이 단락의 앞부분에 있을 때(두괄식 단락) …… 332
(2) 소주제문이 단락의 뒷부분에 있을 때(미괄식 단락) …… 333
(3) 소주제문이 단락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있을 때(양괄식 단락) …… 334
(4) 소주제문이 단락의 가운데 있을 때(중괄식 단락) …… 335
7) 단락의 종류 …… 336
(1) 형태로 본 단락의 종류 …… 337
(2) 목적과 구실로 본 단락의 종류 …… 340

3. 구성 …… 343

1) 시간적 구성 …… 343
2) 공간적 구성 …… 345
3) 단계적 구성 …… 347
(1) 삼단구성 …… 347
(2) 사단구성 …… 349
(3) 오단구성 …… 349
4) 포괄식 구성 …… 353
(1) 두괄식 구성 …… 353
(2) 미괄식 구성 …… 356
(3) 양괄식 구성 …… 359
(4) 열거식 구성 …… 362
(5) 점층식 구성 …… 363

제2장 묘사와 서사┃367

1. 묘사 …… 367

1) 문학적 묘사 …… 367
2) 과학적 묘사 …… 369
3) 핍진성 …… 370
(1) 세부묘사 …… 371
(2) 동기부여 …… 372

2. 서사 …… 374

1) 언어적 서사와 비언어적 서사 …… 374
2) 서사의 요소 …… 381
(1) 인물 …… 381
(2) 사건 …… 393
(3) 시간 …… 398
3) 서사의 구성 …… 402
(1) 플롯 …… 402
(2) 플롯의 단층 …… 404
4) 서사의 시점 …… 415
(1) 일인칭 서술 …… 416
(2) 일인칭 관찰자 서술 …… 419
(3) 작가 관찰자 서술 …… 422
(4) 전지적 작가 서술 …… 424
5) 낯설게 하기 …… 426

제3장 설명과 논증┃431

1. 설명 …… 431
1) 지정 …… 431
2) 예시 …… 432
3) 비교와 대조 …… 434
4) 분류와 구분 …… 435
5) 정의 …… 439
(1) 정의의 개념 …… 439
(2) 정의와 지정의 차이점 …… 439
(3) 정의의 구성 …… 439
6) 분석 …… 441
(1) 물리적 분석 …… 441
(2) 개념적 분석 …… 442

2. 논증 …… 443

1) 명제 …… 444
(1) 명제의 요건 …… 444
(2) 내용에 따른 분류 …… 445
2) 논거 …… 446
(1) 사실 논거 …… 446
(2) 소견 논거 …… 448
3) 추론 …… 449
(1) 연역추론 …… 449
(2) 귀납추론 …… 451
(3) 유추법 …… 453

제4장 학술적 글쓰기의 방법┃455

1. 논문 쓰기 …… 455

1) 논문의 유형 …… 456
(1) 연구논문 …… 456
(2) 보고문 …… 456
(3) 평론 …… 457
2) 논문 쓰기의 절차 …… 457
(1) 주제의 선정 …… 457
(2) 1차 자료와 2차 자료 …… 457
(3) 자료의 채록 …… 458

2. 논문의 구성과 체제 …… 458

1) 논문의 구성 …… 459
(1) 서론 …… 459
(2) 연구 보고(본론) …… 459
(3) 결론 …… 460
(4) 참고 자료 …… 460
2) 논문의 체제 …… 460
(1) 인용법 …… 460
(2) 직접인용과 간접인용 …… 461
(3) 주석 …… 464

제3부 서사의 방법┃473

1. 원폭피해자들의 삶과 소외의식의 형상화 …… 475
2. 1960∼90년대 한국 현대소설에 있어서의 환경생태 문제 …… 499
3.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구사된 어휘의 상징연구 …… 521
4. 이기영 소설의 반봉건성과 혁명성 …… 545
5. 이근영 농민소설의 변모 양상 …… 563

▣ 참고문헌 / 581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