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 동시 논평과 해설 또는 우리 고대사, 상상에서 현실로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한국 현대 동시 논평과 해설 또는 우리 고대사, 상상에서 현실로

땅끝
2025-04-15 09:10 3 0

본문




한국 현대 동시 논평과 해설
9791186867198.jpg


도서명 : 한국 현대 동시 논평과 해설
저자/출판사 : 김진광, 아침마중
쪽수 : 683쪽
출판일 : 2016-07-25
ISBN : 9791186867198
정가 : 22000

머리글

제1부 2015년 선정동시
제2부 2014년 선정동시
제3부 2013년 선정동시
제4부 2012년도 선정동시
제5부 월간문학 동시 월평 선정동시
제6부 아동문학 아동도서 서평
제7부 1989년 선정동시
제8부 아동문학평론 계간 총평
제9부 세미나 원고 및 아동도서 작품 평
제10부 일반시 평론




우리 고대사, 상상에서 현실로
9791195872305.jpg


도서명 : 우리 고대사, 상상에서 현실로
저자/출판사 : 윤내현, 만권당
쪽수 : 252쪽
출판일 : 2016-08-30
ISBN : 9791195872305
정가 : 16000

머리말 - 우리는 왜 지금 고대사를 말하는가

I. 민족사는 남북이 공유해야 한다
1. 겨레의 동질성을 회복해야 한다
2. 평양에서 남북 공동학술회의가 열리다
3. 남북 학술회의 「공동보도문」을 발표하다
4. 시간에 쫓기면서 학술회의를 준비하다
5. 우리는 같은 민족 한 핏줄이다
6. 단군이 갈등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Ⅱ. 민족신화는 무엇을 말해주나
1. 단군신화는 꾸며낸 이야기일까
2. 단군신화는 우리 상고사이다
3. 단군신화는 종합 문화의 원형이다
4. ‘셋’은 우리 의식 구조의 기본이다
5. 단군신화는 민족사에 살아 있다
6. 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무엇인가
7. ‘홍익인간’ 이념을 살려내자

Ⅲ. 우리 역사의식은 어떠한가
1. 우리 민족과 문화는 외부에서 왔는가
2. 우리 것이 외부로 가지는 않았을까
3. 우리 역사를 서양의 틀에 맞추어야만 할까
4. 우리나라와 서양은 사회 구조가 다르다
5. 만주 지역의 고대 유적에 관심을 갖자
6. 임나일본부는 일본 오카야마에 있었다
7. 고선지만이 아니라 이정기도 기억하자
8. 중국 근대의 고대사 연구를 교훈 삼자

Ⅳ. 고대 역사는 무엇을 말해주나
1. 우리 민족의 중심 종족은 누구였을까
2. 동이는 중국 민족일까, 우리 민족일까
3. 『사기』에서 기자는 왜 독립하지 못했을까
4. 고대에 우리 민족의 대외 진출은 어떠했나
5. 노자와 공자는 어떤 개혁을 꿈꿨을까
6. 『사기』는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주나
7. 「백이열전」은 무엇을 말해주고 있는가

Ⅴ. 우리는 누구인가
1. 동아시아에서 맨 먼저 나라를 세우다
2. 우리 민족의 능력은 어떠한가
3. 우리가 꼭 알아야 할 것이 있다
4. 우리 사회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5. 우리 사회의 병리 현상에 주목한다
6.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7. 우리 민족의 미래를 전망해본다

Ⅵ. 통일의 역사,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1. 우리 민족에게 개천절은 무엇인가
2. 우리에게 진정한 민족주의는 있었는가
3. 우리 고대사 체계는 잘못되어 있다
4. 우리 역사에서 고대는 어느 시기인가
5. 초점을 통일시대에 맞춰야 한다

저자 후기 - 홀로서기, 그러나 외롭지 않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