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종파불교 역사적 현상과 개념적 이해 또는 변두리 화과자점 구리마루당. 3
땅끝
2025-04-15 09:10
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1회 연결
본문
동아시아 종파불교 역사적 현상과 개념적 이해

도서명 : 동아시아 종파불교 역사적 현상과 개념적 이해
저자/출판사 :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민족사
쪽수 : 292쪽
출판일 : 2016-08-25
ISBN : 9788998742720
정가 : 30000
편집자 서문 _ 불교의 담론, 담론의 불교 / 석길암 _ 5
인도와 동아시아 불교 종파 논의의 현황과 과제 / 최연식 … 019
인도 불교에서 부파의 성립과 발전 / 이자랑 ………………………… 045
-부파 성립에 있어 율의 역할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45
Ⅱ. 부파 발생에 관한 전승 : 근본분열과 지말분열 …… 48
Ⅲ. 부파의 정체성 확립과 율(律)의 공유 …… 54
Ⅳ. 부파와 대승의 관계 : 학파로서의 대승 …… 60
Ⅴ. 맺음말…… 67
당대(唐代) 불교에 종파는 정말 존재했는가 / 장원리앙…………………… 075
1. 머리말…… 75
2. 중국 불교사에서의 ‘종(宗)’ …… 77
3. 근대 불교에서의 ‘종파’의 도입…… 80
16 _ 동아시아 종파불교, 역사적 현상과 개념적 이해
4. ‘종파’에 대한 비판적 검토…… 86
5. 결론…… 91
● 唐代??において宗派は本?に存在したのか / 張文良 ……………… 093
한국의 ‘불교 종파’ 연구 재고(再考) / 박광연……………………………… 113
Ⅰ. 머리말…… 113
Ⅱ. 한국의 ‘불교 종파’ 연구사…… 116
Ⅲ. ‘불교 종파’ 형성에 대한 제(諸) 견해 검토…… 123
Ⅳ. 맺음말:‘불교 종파’ 연구의 방향…… 137
일본(日本)에서의 불교 종파의 형성과 전개 / 오카모토 잇페이… 145
1. 문제의 소재…… 145
2. 종파(宗派)의 정의(定義)…… 148
3. 남도 불교(南都?敎)…… 155
4. 천태종(天台宗)…… 171
5. 진언종(眞言宗)…… 183
6. 겸창(鎌倉) 시대의 비예산계(比叡山系) 종파들…… 186
7. 결론…… 191
● 日本における??の宗派の形成と展開 / 岡本一平 ………………………… 193
【별록】 - 쟁점과 논의 / 정리: 석길암
부파(部派)에서 종파(宗派)까지, 논의(論議)와 쟁점(諍點)들………… 247
인도 불교 연구에서 부파(部派)의 정체성과 율(律)…… 247
중국 불교학 연구에 있어서 ‘종(宗)’ ‘종파(宗派)’…… 255
한국 불교학 연구에 있어서 ‘업(業)’ 그리고 ‘종파’…… 261
일본 불교에 있어서 부파와 종파…… 270
부파, 종파, 그리고 대승교단의 문제…… 278
변두리 화과자점 구리마루당. 3

도서명 : 변두리 화과자점 구리마루당. 3
저자/출판사 : 니토리 고이치, 은행나무
쪽수 : 292쪽
출판일 : 2016-08-30
ISBN : 9788956608952
정가 : 10000
프롤로그 … 7
제1장 안미쓰 … 9
제2장 미타라시 경단 … 119
제3장 별사탕 … 193
작가의 말 … 284
옮긴이의 말 … 287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