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교육학개론 최단기 문제풀이(관리운영직군 전직시험)(8급 9급 대비) 또는 지리교육과정의 기원을 읽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사회/교육학개론 최단기 문제풀이(관리운영직군 전직시험)(8급 9급 대비) 또는 지리교육과정의 기원을 읽다

땅끝
2025-04-15 09:10 3 0

본문




사회/교육학개론 최단기 문제풀이(관리운영직군 전직시험)(8급 9급 대비)
9791125712794.jpg


도서명 : 사회/교육학개론 최단기 문제풀이(관리운영직군 전직시험)(8급 9급 대비)
저자/출판사 : 공무원시험연구소, 서원각
쪽수 : 538쪽
출판일 : 2016-08-19
ISBN : 9791125712794
정가 : 26000

사회
PART Ⅰ. 법과 정치
01. 민주정치와 법
02. 민주정치의 과정과 참여
03. 우리나라의 헌법
04. 개인생활과 법
05. 사회생활과 법
06. 국제정치와 법

PART Ⅱ. 경제
01. 경제생활과 경제문화의 이해
02. 경제 주체의 역할과 의사 결정
03. 시장과 경제활동
04. 국민 경제의 이해
05. 세계 시장과 한국 경제
06. 경제생활과 금융

PART Ⅲ. 사회ㆍ문화
01. 사회ㆍ문화현상의 탐구
02. 개인과 사회 구조
03. 문화와 사회
04. 사회 계층과 불평등
05. 일상생활의 사회제도
06. 현대사회와 사회변동

교육학개론
PART Ⅰ. 교육원리와 생활지도
01. 교육원리
02. 생활지도

PART Ⅱ. 교육사의 이해
01. 한국교육사
02. 서양교육사

PART Ⅲ. 교육철학 및 과정
01. 교육철학
02. 교육과정

PART Ⅳ. 교육사회ㆍ심리학
01. 교육사회학
02. 교육심리학

PART Ⅴ. 교수학습방법론 및 교육공학
01. 교수학습방법론
02. 교육공학

PART Ⅵ. 교육평가 및 교육통계
01. 교육평가
02. 교육통계

PART Ⅶ. 교육연구 및 교육행정
01. 교육연구
02. 교육행정




지리교육과정의 기원을 읽다
9788962913637.jpg


도서명 : 지리교육과정의 기원을 읽다
저자/출판사 : 안종욱, 푸른길
쪽수 : 336쪽
출판일 : 2016-08-31
ISBN : 9788962913637
정가 : 25000

머리말
서론

I. 지리교육의 현재와 문제 설정
1. ‘언제’부터, 그리고 ‘왜’인가?
2. 선행 연구의 흐름과 시사점
1) 지리교육 부문
2) 사회과 교육 부문
II. 연구의 층위와 구성

제1부 지리교육과정 인식의 재개념화와 문제의 재설정
제1장 교육과정의 재개념화와 지리교육과정사
1. 교육과정의 재개념화와 텍스트적 이해
1) 교육과정의 재개념화
2)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이해
2. 교육과정 인식의 한계와 재개념화의 필요성
1) ‘교과’ 인식 측면
2) 교육과정 시대 구분 측면
3. 지리교육과정사에 대한 텍스트-콘텍스트적 접근
1) 교육과정사와 텍스트-콘텍스트
2) ‘시간’의 의미와 교육과정
3) 퇴적과 발굴의 관점에서 본 지리교육과정
제2장 현 지리교육과정의 혼란상과 문제의 재설정
1. ‘지리’와 ‘지구과학’ 내용의 혼란상
2. 혼란의 기원과 표면화
1) 혼란의 기원
2) 혼란의 표면화
3. 혼란의 재인식과 문제의 재설정
1) 혼란의 재인식
2) 문제의 재설정

제2부 1950년대 지리교육과정의 텍스트-콘텍스트
제1장 1950년대 ‘지학’의 등장과 지리교육과정의 변화
1. 자연지리의 분리과정과 지학의 등장
1) 1953년 교육과정 시간배당 기준표(안)의 구성
2) 일본 지문학의 도입과 변화
3) 전후 일본 ‘지학’의 내용 구성
4) 자연지리 내용 구조의 변화
2. 지학의 정체성 논란 및 학교 현장의 반응
1) 지학의 정체성 논쟁
2) 지학을 자연지리로 인식한 학교 현장
3. 지학의 정착과정
1) 대학전공과 교사 자격증
2) 교원 자격시험문항과 지학의 정착
제2장 1950년대 ‘일반사회’교육과 지리교육
1. ‘일반사회’의 등장 배경과 맥락
1) 해방 이후 일본의 영향
2) 교육당국과 교육관료의 성향
3) 한국전쟁과 사회재건주의
4) 사회재건주의 교육방법 및 교육과정 조직논리의 선택적 적용
5) 1950년대 진보주의(새교육)에 대한 당시의 평가
2. ‘일반사회’와 ‘일반’의 의미
1) ‘일반사회’의 등장과 그 의미
2) ‘일반’의 의미
3. ‘일반사회’ 과목의 강화와 지리교육
제3장 1950년대의 사회적 텍스트-콘텍스트와 지리교육
1. 취업
2. 입시
1) 입시와 취학률
2) 입학시험 문항 및 과목
3. 지하자원과 과학기술 교육
4. 문과와 이과

결론
부록
<부록 1> 고등학교 ‘경제지리’ 과목의 역사적 기원과 의미
<부록 2> 1950년대 일본과 우리나라 교육과정 시간배당 기준표
<부록 3> 대학별·학과별 입학시험 과목(1964학년도) 부록> 부록> 부록>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