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사라는 버스에 무임승차 하지 마라 또는 해당 이광희 선생의 산송역수와 생활 풍수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육사라는 버스에 무임승차 하지 마라 또는 해당 이광희 선생의 산송역수와 생활 풍수

땅끝
2025-04-15 09:10 3 0

본문




육사라는 버스에 무임승차 하지 마라
9791159871399.jpg


도서명 : 육사라는 버스에 무임승차 하지 마라
저자/출판사 : 구민우, 북랩
쪽수 : 194쪽
출판일 : 2016-08-15
ISBN : 9791159871399
정가 : 12800

들어가며 4

Chapter 1 생도생활 4년, 눈떠 보니 20대 중반

001 가입교, 기초 군사 훈련 14
내가 지금 여기서 뭐하는 거지? 수양록, 지켜보고 있다 “왜?”라는 질문을 할 수 없는 분위기 15일 동안 장 활동이 멈추다 가슴에 필통을 꽂다 이거 꼭 외워야 되는 건가?
002 아무 생각 없는 1학년 25
잃어버린 목표, 표류하는 배 첫 미팅, 독일 빵집 부조리의 시작 3금 제도, 신독(愼獨) 첫 번째 MT(Military Training) 007 가방, 내부에는 뭐가 있을까? 가장 두려운 순간, 귀영점호 2학년이 되기 위한 벽돌 깨기 교장이 되어서 교육제도를 바꾸자 동기들에게 욕하다 무인 판매대
003 1학년 교육하는 2학년 37
옷방, 차별, 외박하지 못하는 중대귀신 기수생도, 1학년 생도 호실 출입금지 두 번째 MT, 아직 늦지 않았으니 나가라 모교 홍보 일본 해외문화 탐방
004 엄마 역할을 하는 3학년 42
1, 2학년 군기 담당 행정보좌관 중국(북한 접경지역) 해외문화 탐방 세 번째 MT, 진짜 나갈 수 있는 마지막 기회! 기초군사훈련 파견
005 아빠 역할을 하는 4학년 47
결혼식 예도 지원 4학년의 아지트, 명예위원생도 호실 육사 명예 실추 사건, “니들이 생도야?” 모두에게 상처를 남긴 체육대회 기마전 네 번째 MT, 유언을 적으며 눈물을 흘리다
006 졸업을 준비하는 5학년 51
병과 소개 교육

Chapter 2 장교로서의 생활

001 명심해라, 장교는 비정규직이다 54
002 군은 나라를 지키고, 병사는 나라를 이끈다 56
003 보병학교, 천안함 폭침 그리고 김정일 61
004 멋 내기, 몸에 착 붙는 전투복 63
005 GOP 총기 오발사고, 임관과 동시에 전역 위기 65
006 힘들고 귀찮은 일은 병사에게 69
007 안전사고 예방에 대한 시각 차이 71
008 포퓰리즘, 중대장님 지시 vs 부하들의 휴식 73
009 전우조 활동에 대한 고민 77
010 상급자와 의견 차이가 생기면? 79
011 모르는 걸 질책하지 마라 81
012 두 번째 총기 오발사고, 경고장과 의욕상실 83
013 연평도 포격 도발, 갱도 생활 85
014 JSA에서 근무할래? 88
015 인정받지 못해 쫓겨나다, 특전사 발령 90
016 힘든 건 싫다, 보병에서 병기로의 전과 92
017 북한 귀순자 초청 강연 94
018 단어는 제대로 알고 말하자 97
019 불평불만 하려면 해결책을 내라 99
020 로봇처럼 일하지 마라 101
021 복사(ctrl+c), 붙여넣기(ctrl+v)는 이제 그만! 104
022 뒷담화는 위험하다 106
023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108
024 제발 야근 좀 하지마라 110
025 Leader vs Follower, 무엇이 우선인가? 112
026 회의는 핵심만 간략하게 114
027 지휘관은 시간이 없다, 보고는 짧고 간결하게 116
028 당직은 그냥 밤을 지새우는 시간이 아니다 118
029 현실과 이상의 괴리감, 진급을 위한 군생활 120
030 불치하문, 당신은 모든 일의 전문가가 아니다 123
031 계급장이 당신의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된다 125
032 화내면 진다, 규정대로 해라 127
033 여군과의 문제로 헌병대에 끌려가다 129
034 미군은 박수를 받고, 한국군은 손가락질을 받고 131
035 지역 주민이 군을 바라보는 시각, “비켜, 임마!” 133
036 소탐대실, 교육기관에서 그릇의 크기가 드러난다 135
037 건강이 먼저다 137
038 일을 시킬 때는 여건 보장이 먼저다 139
039 공은 부하에게, 책임은 내가 141
040 잘못은 빨리 인정하고 개선할 방법을 찾아라 142
041 보고할까 말까? 144
042 데리고 있던 부하가 전역 후 군 서포터가 되도록! 147
043 어머니의 조언, 적을 만들지 마라 153
044 아버지의 조언, 모두가 좋아하는 사람은 없다 155
045 비교, 그리고 패배의식 157
046 포상 휴가를 남발하지 마라 159
047 가장 무서운 적은 북한군이 아니라 무능한 간부다 161
048 항상 ‘왜?’라고 질문하는 사람들 163
049 화재사고, 지휘관의 솔선수범 165
050 손·망실을 두려워하지 말고 관리를 잘하자 167
051 우리 아들 좀 잘 봐 주세요 169
052 SNS를 통한 부모님들과의 소통 172
053 유시진 대위, 군에 대한 허상 174
054 작전이 우선, 나머지는 뒷전 175
055 변명하지 말자 177
056 조사하면 다 나온다, 정직하게 살자 179

Chapter 3 군생활을 하다 보면 궁금한 것들

001 무기공학과의 실험 182
002 물속에 숨으면 안전할까? 184
003 모래(마대) 뒤에 숨으면 안전할까? 186
004 신형 방탄모는 안전할까? 188

마치면서 190
참고문헌 192




해당 이광희 선생의 산송역수와 생활 풍수
9791159871375.jpg


도서명 : 해당 이광희 선생의 산송역수와 생활 풍수
저자/출판사 : 이광희, 북랩
쪽수 : 328쪽
출판일 : 2016-08-26
ISBN : 9791159871375
정가 : 15000

시작하며 005

산송역수를 위한 이론
·2016년 국운(國運)을 점(占)치며 016
·주역과 육효(周易과 六爻) 019
·태극설(太極說) 020
·음양설(陰陽說) 020
·팔괘설(八卦說) 021
·음양오행(陰陽五行)이란? 021
·산송역수(山松易數)란? 023
·간지(干支) 024
·천간(天干)과 십이지지(十二地支)에 대입하는 오행(五行) 025
·육십갑자(六十甲子) 026

산송역수의 구괘(山松易數의 九卦)
·구괘암기법(九卦暗記法) 028
·구괘(九卦)의 수(數)와 소속 029
·구괘의 궁과 오행(九卦의 宮과 五行) 030
·구괘의 의미(九卦의 意味) 031

역의 팔십일괘 (易의 八十一卦)
·팔십일괘란?(八十一卦) 032
·팔십일괘의 순표(八一卦의 順表) 042
·삼합과 지지육합(三合과 地支六合) 044
·삼합(三合) 044
·지지합(地支合) 044
·역마(驛馬)와 겁살(劫殺) 045
·역마 찾는 법 045
·겁살(劫殺) 찾는 법 045
·천을귀인(天乙貴人) 046
·삼형살(三刑殺) 047
·형, 충, 파, 해(刑, 沖, 破, 害) 047

산송역수의 구성(山松易數의 構成)
·괘(卦)를 얻는 방법 054
·시각법(時刻法) 057

팔신론(八神論)
·용신(用神) 058
·비신(飛神) 058
: 비신구괘납갑법(飛神九卦納甲法) 암기법 060
: 비신(飛神) 붙이는 법 061
·원신(原神) 062
·복신(伏神) 062
복신(伏神) 찾는 법 062
·기신(忌神) 063
·구신(仇神) 063
·진신(進神) 064
·퇴신(退神) 065
: 용신(用神) 정(定)하는 법 066
: 괘신(卦神) 066
: 괘신(卦神) 구하는 법(法) 067

주역의 총론(周易의 總論)
·일진과 월건(日辰과 月建) 069
·동효 총론(動爻 總論) 070
·육친발동(六親發動) 071
·용신원신동(用神原神動) 072

육수발동(六獸發動)
·청룡동(靑龍動) 073
·주작동(朱雀動) 073
·구진동(句陳動) 074
·등사동(螣蛇動) 074
·백호동(白虎動) 074
·현무동(玄武動) 075

변효작용(變爻作用)
·손효의 퇴신(孫爻의 退神) 077
·관효의 퇴신(官爻의 退神) 077
·재변 진신(財變 進神) 078
·형효의 변(兄爻의 變) 078
·세효의 작용(世爻의 作用) 079
·복신의 작용(伏神의 作用) 080
·진신 퇴신의 작용(進神 退神의 作用) 080
·회두극과 회두극의 작용(回頭剋과 回頭剋의 作用) 080

실관중요론(實觀重要論)
·평생점(平生占) 083
·가택점(家宅占) 083
·신수점(身數占) 084
·재물점(財物占) 085
·구직관직시험점(求職官職試驗占) 086
·질병점(疾病占) 087

오행으로 보는 병의 종류 (五行으로 보는 病의 種類) 088
관재 및 소송점(官災 및 訴訟占) 089
혼인점(婚姻占) 090
이사점(移徙占) 092
태아의 남녀 구별 093
사람 찾는 점(人搜占) 094

육친생성 과정(六親 生成 課程)
·육친(六親)이란? 096
·육친정법(六親正法) 096
·육친(六親) 붙이는 법 097
·세응과 세응 붙이는 법(世應과 世應 붙이는 法) 099
·세응조견표(世應早見表) 102
·동효(動爻)와 변효(變爻) 102
·신명(身命)이란? 104
·신명(身命) 붙이는 법 104
·복신(伏神)이란? 106
·복신(伏神) 찾는 법 106
·육효로 보는 원진 107
·공망(空亡)이란? 110
·공망(空亡) 찾는 법 111

팔십일괘(八十一卦)의 풀이
01. 중건천(重乾天) 112
02. 중곤지(重坤地) 114
03. 수뢰둔(水雷屯) 115
04. 산수몽(山水蒙) 116
05. 수천수(水天需) 117
06. 천수송(天水訟) 118
07. 지수사(地水師) 119
08. 수지비(水地比) 120
09. 풍천소축(風天小畜) 121
10. 천택이(天澤履) 122
11. 지천태(地天泰) 123
12. 천지비(天地否) 124
13. 천화동인(天火同人) 125
14. 화천대유(火天大有) 126
15. 지산겸(地山謙) 127
16. 뢰지예(雷地豫) 128
17. 택뢰수(澤雷隨) 129
18. 산풍고(山風蠱) 130
19. 지택림(地澤臨) 131
20. 풍지관(風地觀) 132
21. 화뢰서합(火雷噬嗑) 133
22. 산화비(山火費) 134
23. 산지박(山地剝) 135
24. 지뢰복(地雷復) 136
25. 천뢰무망(天雷无妄) 137
26. 산천대축(山天大畜) 138
27. 산뢰이(山雷頤) 139
28. 택풍대과(澤風大過) 140
29. 중감수(重坎水) 141
30. 중이화(重離火) 142
31. 택산함(澤山咸) 143
32. 뢰풍항(雷風恒) 144
33. 천산둔(天山遯) 145
34. 뢰천대장(雷天大壯) 146
35. 화지진(火地晋) 147
36. 지화명이(地火明夷) 148
37. 풍화가인(風火家人) 149
38. 화택규(火澤睽) 150
39. 수산건(水山蹇) 151
40. 뢰수해(雷水解) 152
41. 산택손(山澤損) 153
42. 풍뢰익(風雷益) 154
43. 택천쾌(澤天快) 155
44. 천풍구(天風姤) 156
45. 택지췌(澤地萃) 157
46. 지풍승(地風昇) 158
47. 택수곤(澤水困) 159
48. 수풍정(水風井) 160
49. 택화혁(澤火革) 161
50. 화풍정(火風鼎) 162
51. 중진뢰(重震雷) 163
52. 중간산(重艮山) 164
53. 풍산점(風山漸) 165
54. 뢰택귀매(雷澤歸妹) 166
55. 뢰화풍(雷火豊) 167
56. 화산여(火山旅) 168
57. 중손풍(重巽風) 169
58. 중태택(重兌澤) 170
59. 풍수환(風水煥) 171
60. 수택절(水澤節) 172
61. 풍택중부(風澤中孚) 173
62. 뢰산소과(雷山小過) 174
63. 수화기제(水火旣濟) 175
64. 화수미제(火水未濟) 176
65. 유천명(曘天明) 177
66. 천유청(天嚅晴) 178
67. 택유형통(澤曘亨通) 179
68. 화유열(火曘熱) 180
69. 뢰유양(雷曘養) 181
70. 풍유속(風曘速) 182
71. 수유림(水曘林) 183
72. 산유화(山曘花) 184
73. 지유절(地曘切) 185
74. 유택선(曘澤善) 186
75. 유지극(曘地極) 187
76. 유수유(曘水柔) 188
77. 유화강(曘火剛) 189
78. 유뢰인(曘雷忍) 190
79. 중현유(重昡曘) 191
80. 유풍정(曘風正) 192
81. 유산도(曘山道) 193

실관임상론(實觀臨床論)

풍수지리
·생활풍수 1 음택풍수(陰宅風水) 286
·생활풍수 2 묘(墓)를 이장하지 마라 289
·생활풍수 3 양택풍수(陽宅風水) 292
·생활풍수 4 좋은 기운을 받기 원한다면 긍정적인 마인드가 필요하다 294
·생활풍수 5 좋은 기운을 받고 싶으면 현관에 신발을 두지 마라 296
·생활풍수 6 자(子) 방향에는 공부하는 학생의 책상을 절대 두지 마라 297
·생활풍수 7 높은 집에 살면서 좋은 기(氣)가 오기를 바라지마라 298
·생활풍수 8 바쁘더라도 일주일에 한 번은 흙을 밟아야 한다 299
·생활풍수 9 애가 들어서지 않으면 전원주택으로 이사 가라 301
·생활풍수 10 잘 되는 집은 아이도 많고 좋은 기운(氣運)이 잘도 온다 302
·생활풍수 11 아이를 많이 낳아서 맨발로 맘껏 뛰놀게 하라 304
·생활풍수 12 수맥이 흐르는 곳은 절대 피해라 306
·생활풍수 13 별장을 지을 때 땅 기운이 좋은 터, 별장을 지을 때 좋지 않은 터 307
·생활풍수 14 집의 허(虛)와 실(實) 309
·생활풍수 15 각 방위에 의한 에너지의 특성 311
·생활풍수 16 주방과 욕실 방위 317
·생활풍수 17 그림에 관하여 324

맺음말 326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