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은 남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또는 공작. 2
로즈
2025-04-14 05:43
15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7회 연결
본문
괜찮은 남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도서명 : 괜찮은 남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저자/출판사 : 바버라 화이트헤드, 페이퍼로드
쪽수 : 262쪽
출판일 : 2018-07-27
ISBN : 9791188982226
정가 : 13800
역자 서문 단순한 개인사가 아닌, 연애와 결혼이라는 사건 7
서론 독신 여성들의 연애 생활, 이대로 괜찮을까 14
1장 준비된 남자와 준비되지 않은 남자 39
2장 괜찮은 남자는 모두 품절 63
3장 신세대 독신 여성의 DNA 93
4장 연애는 연애, 결혼은 결혼 139
5장 우리가 꼭 한집에 살아야 할까? 173
6장 연애 시장에서 살아남기 205
7장 사랑을 찾는 새로운 기술 229
결론 연애 위기의 돌파구를 찾아서 252
공작. 2

도서명 : 공작. 2
저자/출판사 : 김당, 이룸나무
쪽수 : 476쪽
출판일 : 2018-07-25
ISBN : 9788998790684
정가 : 18000
서문 _ 무간도(無間道)에 갇힌 이중스파이
추천사
김당은 사실의 아들(the son of facts)이다 _ 김훈(작가)
긴박한 첩보세계로 안내할 책 _ 윤종빈(영화감독, 영화 <공작> 감독)
제1장 ‥ 무간도(無間道)의 세계
01. 간첩 혐의로 체포된 공작원
조선일보가 발 빠르게 단독 보도한 까닭 | 조선일보와 박채서는 ‘동업자’ 관계 | 무간지옥(無間地獄)과 공작원에 대한 공소장 | 리호남(본명 리철)은 북한 공작원인가 | 리호남 ‘보위부 북경 연락책(1998년)’→‘작전부 소속 공작원’으로 둔갑
02. 리철의 두 얼굴 : 예고된 참사와 전조 그리고 덫
리철은 김일성종합대학 수석 졸업자 | 김당이 법정에서 증언한 리철의 ‘본업’과 ‘부업’ | 리철 “남북정상회담은 ‘안희정’ 접촉부터 시작되었다” | 대남 공작원이 남북정상회담도 중재했다? | 리철, 남북정상회담 경제회담 대표로도 참석 | 북한 대남공작 기구의 실상
03. 서울과 평양, 워싱턴의 서로 다른 속내
서울과 평양, 번지수를 잘못 짚다 | 워싱턴은 서울을 의심했다 | 미국의 한국 대선 관찰 메커니즘 | 검은 머리 미국인’들과 다양한 연락선(contacts)
04. 국정원의 경고와 위기 징후
국정원이 박채서에게 보낸 세 가지 방식의 경고 | 박채서가 체포되기 전에 김당에게 전한 세 가지 메시지 | 효용 가치를 상실한 해고 공작원을 대하는 방식 | “통 크게 봐줘라”는 평양의 메시지 | 북한 잠수정 사건과 해안선 촬영 비디오테이프
제2장 ‥ 혼돈무간(混沌無間)
05. 부부간첩과 민혁당 사건
박채서, 국방대학원에서 골프에 미치다 | 부부간첩과 북한 반잠수정, 김영환과 민혁당 사건
06. 첫 이산가족 개별 상봉
언론사 방북 및 이산가족 상봉 주선 | 역사적인 이산가족 개별상봉과 북남 수뇌의 상봉 | 김당의 평양 방문과 올브라이트의 방북 | “통미봉남?… 6·15선언은 민족적 행운”
07. 평양은 평화를 원했다
평화를 원하는 우리의 ‘가난한 이웃’ | 이회창·김대중·이인제 후보의 3인 3색 | 평양은 평화를 원했지만, 평화는 멀리 있었다
08. 북한 붕괴론이라는 장밋빛 환상
북한 급변사태 대비 ‘충무계획’과 ‘응전자유화계획’ | 2004년 국감에서 다시 불거진 ‘충무 9000’ 기밀 누설 논란 | 중앙일보의 ‘충무계획’ 보도와 북한의 반발 | 국방부와 외교부 그리고 청와대의 거짓말 | 노무현?부시의 한·미정상회담 신경전
제3장 ‥ 종극무간(終極無間)
09. 지구상에서 가장 접근하기 어려운 나라
북한에서는 ‘전화번호부’도 비밀 | ‘가짜정보’에 기만당한 ‘김일성 사망’ 해프닝 | 북한정보국의 김일성-김정일 부자(父子) 담당관 | 공개첩보에서 나온 ‘김일성 사망’ 해답의 실마리
10. 미국의 한반도 전략 변화
‘작계 5027’의 얼개를 공개하다 | ‘공세적 방어전략’과 대북 선제타격 및 무력통일 담은 ‘작계 5027’
11. 한·미 연합사 ‘작계 5027’
“한·미 연합사 ‘작계 5027’…북한 선제공격 땐 2주 만에 평양 함락” | 미국, 군정 후 북한에 ‘단독정부’ 수립 계획 | 그레그 전 대사 “한미 국방당국이 팀스피리트 훈련 부활 ‘뒤통수’” | 이홍구 “미국은 자기 나라에 비판적인 통일한국 불원”
12. 한·미 간 국익이 충돌한 ‘전쟁 이후 단계’
미국 “북한 점령 시 미군사령관 통제 아래 1년 이상 군정 실시” | 악몽의 시나리오 “한반도 잿더미 된 뒤 수복은 무의미” | ‘미국의 한반도 지배 전략’과 ‘한반도 위기설’의 배후 | 김훈 “이거 나가면 보안사에 한번 다녀와야 하겠지”
제4장 ‥ 남남북녀(南男北女)
13. ‘행동대장 이상재’와 ‘괴벨스 허문도’
현역 대대장 월북 사건과 보안사 정보처 폐지 | 언론 통제의 시발은 보안사 정보처의 부활
14. 언론기본법과 ‘보도지침’
‘언론학살’과 ‘보도지침’ | 5공 시절 국방부 기자들의 취재 접근은 기자실과 화장실뿐 | 보안사 “예전엔 몽둥이 타작부터 했는데 요즘은 세월이 좋아져서…"
15. ‘남남북녀’ 결혼 프로젝트
베이징의 남북한 첫 접촉과 국정원 협조자 | 남남북녀(南男北女) 결혼 이야기의 단초 | 남남북녀의 양가 부모들 베이징에서 상견례까지 | 남남북녀 결혼을 방해한 국정원의 회유와 협박
16. 최초의 남북합작 광고촬영
작전명 “통화되는가 애니콜” | “역시 삼성!” 감탄사 절로 나온 상하이 촬영 현장 | 국정원과 내통한 리금철과 애니콜 방해 공작 | 애니콜 CF 광고 성공과 삼성의 푸짐한 선물
제5장 ‥ 병아리(小鷄) 작계
17. 산허우이(三合會) 총회주와의 만남
베이징의 내기골프 도박 | 골프 제자로 만난 산허우이(三合會) 총회주 | 베이징의 상류사회 ‘독수리회’ | 베이징에 골프장을 짓다
18. 중국군의 ‘병아리(小鷄) 계획’, 39도선 이북을 점령하라
공산당 대외연락부 조한(朝韓) 처장과의 운명적 만남 | 중국군과 미군이 한꺼번에 북한에 진주해 충돌할 수도 | 청와대에 SOS | ‘작계 5029’와 ‘국방계획 2020’ | 왕자루이 평양 방문 수행한 조한 처장 | 현실화된 ‘병아리(小鷄) 계획’과 ‘작계 5029’의 충돌 가능성
19. 개성공단과 골프리조트의 덫
개성공단과 정동영의 야망 | 리호남 “개성에 땅 사놓으면 돈벌이가 될 것” | 박채서의 세 가지 제안
20. 김정일 ‘100인 그룹’과 장성택 비자금
김정일 호위 ‘100인 그룹’과 박채서의 장성택 비자금 관리 | 박채서가 북측에 제시한 ‘반대급부’ | 장성택, 박채서에게 ‘개인적 민원’ 해결 부탁 | 리호남 “군부를 설득하려면 ‘선물’이 필요하다”
제6장 ‥ 불신지욕(不信之辱)
21. 박채서 덫에 빠지다
박채서가 《군사교범》을 건네게 된 과정 | 박채서는 ‘작계 5027-04’를 탐지해 북에 넘겼나 | ‘작계 5027’ 누설 혐의는 국정원의 충격요법 | 노무현 청와대가 ’작계 개념계획’을 북측에 선물로 줬다? | 개성 리조트 사업에 롯데가 참여하게 된 배경
22. 미국의 방해공작
손유범과 DMZ 무인경계시스템 | 팜플렛과 설명서가 간첩죄로 둔갑 | 김정일 책상 위의 개성 골프리조트 청사진 | 미국의 노골적인 방해와 간섭
23. 노무현과 미국은 서로를 믿지 않았다
난폭한 무법자(lawless), 롤리스 부차관보 | 노무현 대통령의 반미 인식 | 박채서를 둘러싼 검은 그림자 | 골프에 빠지다
제7장 ‥ 아, 천안함(天安艦)
24. 이명박 정권 출범과 북한의 대남전략
김정일은 왜 답방 약속을 지키지 않았나 | 장성택의 SOS | 한·미 간의 ‘엇박자 프레임’과 이명박의 무대책 | 박왕자 피격 사건의 진상 | 화폐개혁과 북한 내부 권력 투쟁
25. 이명박 정부 시기의 비밀 대북접촉
KBS와의 백두산 다큐 프로젝트 | 이명박 정부 첫 회담 펑크 낸 구천서 | 임태희?김양건 싱가폴 비밀접촉과 이명박 회고록의 오류 | 국방위원회와 선군정치
26. 2인자 장성택과 권력투쟁
군부 실세 장성우·장성길 형제와 집단지도체제 | 장성택의 비밀 방중에서 알게 된 사실들 | 장성택 메시지, 현인택 통일부장관에게 전달 | ‘플랜 B’로 김당 기자의 김정일 인터뷰 준비
27. 2010년 3월 26일 21시 22분 대한민국이 공격 당했다
해답은 북한 측에서 나왔다 | 천안함 사건과 중국 정부의 ‘소환성 긴급 초청’ | 천안함 사건은 ‘우연’ 아닌 연평·대청해전의 ‘보복’ | 북한 군부 끓게 한 PSI 참여와 모래 반입 금지 | 북한 군부 강경파와 중국 군부의 결탁 | 무간도(無間道)의 덫에 걸린 박채서와 장류청
에필로그 _ 북풍과 병아리 계획, 그리고 천안함에 대해서
내가 본 김당 기자 _ 박채서(전 국가안전기획부 국가공작원)
박스
① _ 국정원 김은환 수사단장 인터뷰
② _ 시사저널 초청, 대선후보 3인 지상토론회
표 & 그림
① _ 한미연합사 방어준비태세(데프콘) 단계
② _ ‘작계 5027’에 포함된 '한반도 전쟁' 계획 5단계
③ _ ‘UFL 93년 전후단계 연습에서 드러난 한미 간 이견
④ _ 2016년 2월에 개편된 중국 인민해방군 5개 전구
⑤ _ 한반도 유사시 중국군의 개입 시나리오
⑥ _ 냉전 및 탈냉전 시기 한미 간의 전략적 이해 공작>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