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를 위한 서양음악사. 1 또는 부의 타이밍
로즈
2025-04-14 05:43
6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2회 연결
본문
모두를 위한 서양음악사. 1

도서명 : 모두를 위한 서양음악사. 1
저자/출판사 : 박을미, 가람기획
쪽수 : 280쪽
출판일 : 2018-08-03
ISBN : 9788984355156
정가 : 15000
머리말
■ 제1부 | 고대음악
1. 음악의 기원
2. 고대 그리스의 음악 : 에토스 론
3. 음악학의 시조 : 피타고라스
■ 제2부 | 중세(450~1450) 음악
4. 자유학예와 무지카
5. 그레고리오 성가와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
6. 성가 기보법 : 네우마 기보법에서 사각 기보법까지
7. 성무일도와 미사
8. 귀도 다레초와 계명창
9. 트로프와 시퀀스
10. 전례극과 오베르암메르가우 수난극
11. 라인의 예언자, 빙겐의 힐데가르트
12. 다성음악의 발달 : 병행 오르가눔부터 다음적 오르가눔까지
13. 아르스 안티쿠아와 노트르담 악파
14. 모테트
15. 음유시인 : 트루바두르와 트루베르, 민네징거와 마이스터징기
16. 방랑시인 : 골리아드와 라틴 세속노래
17. 아르스 노바와 최후의 음유시인, 기욤 드 마쇼
18. 이탈리아의 트레첸토와 데카메론
19. 중세의 기악음악
■ 제3부 | 르네상스(1450~1600) 음악
20. 음악가로서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
21. 부르고뉴 악파 : 브루넬레스키의 돔과 귀욤 두 파이의 모테트
22. 인쇄술의 발명
23. 르네상스 음악의 연주 실제
24. 플랑드르 악파 : 음악의 왕자 오케겜과 음악의 미켈란젤로 조스캥 데 프레
25. 마드리갈과 베노사의 왕자, 제수알도
26. 종교개혁과 루터의 음악
27. 반종교개혁과 교회음악의 구세주, 팔레스트리나
28. 르네상스의 기악음악
29. 베네치아 악파와 성 마르코 성당
■ 제4부 | 바로크(1600~2750) 음악
30. 카메라타와 모노디
31. 오페라의 탄생
32. 17세기 이탈리아 오페라
33. 17세리 프랑스 오페라와 륄리
34. 17세기 영국 오페라와 영국의 오르페오, 헨리 퍼셀
35. 카스트라토와 파리넬리
36. 오라토리오
37. 칸타타 : 세속 칸타타와 종교 칸타타
38. 악기의 여왕, 바이올린
39. 베르사유의 음악
40. 바로크의 기악음악
41. 바로크 음악의 최절정 : 음악의 아버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참고문헌
찾아보기
부의 타이밍

도서명 : 부의 타이밍
저자/출판사 : 윤석천, 헤리티지
쪽수 : 232쪽
출판일 : 2018-07-27
ISBN : 9791186615331
정가 : 14000
머리말 04
1. 부자가 말하지 않는 부자가 된 사람들의 한 가지 공통점
한국의 신흥 부자들 15
피그말리온 효과 28
유동성과 정책 36
2008년 이후 자산시장을 밀어 올린 힘 42
주요 중앙은행의 긴축 기조라는 반전 49
2. 어떻게 부의 타이밍을 잡나 Ⅰ
현대 경제는 화폐의, 화폐에 의한, 화폐를 위한 경제 59
신용 사이클에 의한 경제 62
2018년과 그 이후 자산시장의 이상 흐름 : 천장 뚫은 주가지수와 부동산 활황의 배경 66
미국의 달러 공급이라는 나비 날갯짓 74
중국의 자본 통제와 글로벌 부동산시장 80
중국의 외화보유액과 자본 통제 84
중국인이 글로벌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89
3. 어떻게 부의 타이밍을 잡나 Ⅱ
신용 팽창과 저금리 95
신용 팽창이라는 마법 102
미국의 금리 조절을 예측하는 방법 109
화폐량이 늘지 않는다고 부가 발생하지 않는 법은 없다 114
한국 부동산이 정체를 보이는 한 가지 이유 119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은 유동성 변화에 어떤 영향을 받을까 124
4. 달러의 탄생과 부침
화폐의 탄생 133
미국 달러의 탄생 138
달러 패권 : 1973~1999, 석유 달러Petrodollar 시대 142
트럼프의 등장과 달러의 지배 147
5. 달러의 앞날과 화폐의 변화
달러 지배는 언제까지 155
위안화는 미래의 기축통화가 될 수 있을까 159
달러화 패권에 대한 도전 163
위안화의 기축통화 부상 가능성 168
6. 화폐를 더 찍어내겠다는 음모들
인플레이션이 사라졌다 175
헬리콥터 머니의 가능성 181
탄력받는 보편적 기본소득 189
기본소득제 반대론자들의 주장 192
7. 토마 피케티 이후 바뀌는 부의 정의
토마 피케티가 진짜로 말하고자 했던 것 199
마르크스의 전망은 옳았다 208
불평등이 부의 기회를 박탈한다 212
피케티는 대한민국에 무엇을 말하고 있나 218
부를 앗아가는 해충, 불로소득 221
기업 생태계를 망치는 불로소득 자본주의 226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