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를 건축하는 조경 또는 읽고 쓰는 아동문학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도시를 건축하는 조경 또는 읽고 쓰는 아동문학

로즈
2025-04-14 05:43 9 0

본문




도시를 건축하는 조경
9791187511144.jpg


도서명 : 도시를 건축하는 조경
저자/출판사 : 박명권, 한숲
쪽수 : 296쪽
출판일 : 2018-08-24
ISBN : 9791187511144
정가 : 24000

I. 자연과 인간
022 역사 속의 정원과 자연관
034 현대 조경에 나타난 자연
044 그룹한이 추구하는 자연

II. 과학과 예술
056 과학적 조경 이론의 선구자, 이안 맥하그
058 브라운 필드의 해결사, 니얼 커크우드
062 기후변화 시대의 과학적 조경 설계, 레인가든
066 기후변화를 고려한 그룹한의 과학적 설계, 미사강변센트럴자이
074 예술 지향의 조경, 피터 워커
086 미니멀리즘 조경, 마사 슈왈츠
090 대지예술의 영향, 조지 하그리브스
094 그룹한의 예술 지향적 조경

III. 조경과 도시
108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등장 배경
115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개념
117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 전략, 프레시 킬스의 경우
121 그룹한의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IV. 디자인과 문화
160 로드아일랜드 프로비던스 워터파이어 축제
162 전략 디자인의 승리, 다운스뷰 파크 우승작 ‘트리 시티’
165 도시의 문화 발전소, 시카고 밀레니엄 파크
172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파크의 탄생, 개스 웍스 파크
176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파크, 뒤스부르크-노르트 랜드스케이프 파크
180 융복합적 창조 마당, 당인리 복합화력발전소 공원 계획
190 문화가 있는 정원,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194 길과 풍경이 만나는 문화 생성소, 동부산 관광단지

V. 공간과 시간
202 시간과 조경설계
204 과거의 재현
206 과거와 현재의 공존
216 시간의 흐름에 따른 단계적 계획
218 시간을 체험하는 공간 계획
228 시흥장현지구 설계공모, 느리게 걷는 길

VI. 채움과 비움
234 비움의 미학
239 비움으로 채우는 공간
246 비움으로 만드는 도시

VII. 전통과 한국성
254 한국적 조경의 딜레마
258 콩지안 유의 사례
260 전통의 현대적 구현
270 숲, 개울, 길, 동탄2 신도시의 실험
289 내적 정신의 표현




읽고 쓰는 아동문학
9788994459950.jpg


도서명 : 읽고 쓰는 아동문학
저자/출판사 : 박덕규 , 노경수 , 이은주 , 양연주 , 신정아 외, 개미
쪽수 : 320쪽
출판일 : 2018-08-30
ISBN : 9788994459950
정가 : 19000

대표작과 등단작으로 함께 배우는 아동문학창작법
읽고 쓰는 아동문학
차례

책머리에 _ 아동문학창작의 첫걸음을 걷는 이들을 위해 4

제1부
2000년대 작가 19인 동화 동시 등단작


동화
고윤미 _ 레고의 꿈 12
김옥선 _ 아빠의 자전거 23
김이플 _ 꽃배를 탄 아이 31
김 정 _ 자꾸 뒤돌아보는 건 부엉이 때문이야 41
노혜진 _ 할머니의 숙제 55
박가연 _ 춤 65
박정미 _ 꽃 도둑 73
손아사내 _ 그림자 도둑 82
안수연 _ 괴물 난동 사건의 진실 89
염희정 _ 링고스타 101
이명희 _ 모과 110
이서림 _ 라오스의 달콤한 눈 120
임문성 _ 지렁이 대작전 128
조희애 _ 그건 정말 오해야 145
황선옥 _ 위험한 이사 152
동시
신정아 _ 코끼리 눈 외 4편 161
심정민 _ 풀씨 외 1편 166
유이지 _ 재미있는 한자 공부 외 6편 169
천선옥 _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외 1편 175

제2부
중견작가 7인 동화 동시 대표작과 작가 인터뷰


원유순 _ 엄마가 있는 그림 180
·날마다 쓰는 노력
노경수 _ 해바라기바라기 194
·모티프를 통합하는 상상력
양지숙 _ 네 잘못이 아니야! 214
·인권 문제의 새로운 인식
양연주 _ 제대로 닭 맛 232
·계몽과 교훈을 넘어서는 이야기
조소정 _ 내 배꼽 어떻게 찾지? 250
·꿈을 이룬 글쓰기
최형미 _ 13월의 크리스마스 265
·펑펑 울 수 있는 슬픈 이야기
김숙분 _ 실과 바늘 외 5편 281
·자연과 아이들을 위한 노래를 지으며

제3부
아동문학의 새로운 시각


박덕규 _ 동화는 어떻게 단련되는가 292
이은주 _ 지금, 여기의 그림책 304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