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문장으로 시작하는 심리학 수업 또는 부모의 말이 아이를 틀에 가둔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한 문장으로 시작하는 심리학 수업 또는 부모의 말이 아이를 틀에 가둔다

로즈
2025-04-14 05:43 8 0

본문




한 문장으로 시작하는 심리학 수업
9791188248292.jpg


도서명 : 한 문장으로 시작하는 심리학 수업
저자/출판사 : 박홍순, 웨일북.whalebooks.
쪽수 : 376쪽
출판일 : 2018-08-29
ISBN : 9791188248292
정가 : 16000

저자의 말
: 나를 알기 위해 떠나는 심리 여행

1부_나와 우리의 마음을 연구하다
: 심리학의 형성과 집단심리학
1 지각에 의한 내적 경험은 심리학적이다: 임마누엘 칸트, 《실용적 관점에서의 인간학》
2 죄를 고안하여 심리를 지배한다: 프리드리히 니체, 《안티크리스트》
3 정신은 무의식에서 의식으로 이행한다: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강의》
4 무의식은 개인적 층과 집합적 층이 있다: 칼 구스타브 융, 《무의식 분석》
5 그림자는 자아의 알려지지 않은 속성이다: 마리-루이제 폰 프란츠, 《개성화 과정》
6 영웅 상징은 자아의 강화 필요에서 생겨난다: 조지프 헨더슨, 《고대신화와 현대인》
7 인간은 무의식적으로 대상을 상징으로 바꾼다: 아니엘라 야페, 《미술에 나타나는 상징성》
8 정체성 혼란을 느낄 때 정체성을 의식한다: 에릭 에릭슨, 《아이덴티티》

2부_마음은 진공상태에서 존재하지 않는다
: 사회심리학과 언어심리학
9 정신분열은 대상과 자신을 동일시한다: 칼 야스퍼스, 《정신병리학총론》
10 꿈 연구를 몽상 연구로 바꿔야 한다: 가스통 바슐라르, 《불의 정신분석》
11 심리학은 개인과 세계의 특수한 관련성이다: 에리히 프롬, 《자유로부터의 도피》
12 심리학의 내부구조는 정치적이다: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사회와 인간, 프로이트 이론》
13 인간은 악의 평범성을 지닌다: 한나 아렌트,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14 잠재력과 사회영향이 복종적 인간을 만든다: 스탠리 밀그램, 《권위에 대한 복종》
15 필요 자체를 소비자에게 가르쳐야 한다: 로버트 세틀, 《소비의 심리학》
16 언어는 인간을 예속시키는 기능을 한다: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슬픈 열대》
17 현대인에게 비이성은 광기의 한 현상 형태다: 미셸 푸코, 《광기의 역사》
18 무의식은 본능으로 설명 못하는 기표로 형성된다: 자크 라캉, 《욕망이론》
19 감응의 심리학만이 인간과학을 구성한다: 질 들뢰즈, 《경험주의와 주체성》

3부_마음의 기원을 찾아가다
:개인심리학과 진화심리학
20 개인심리학은 개인 삶을 하나의 전체로 본다: 알프레드 아들러, 《삶의 과학》
21 범죄는 부정적 가정환경과 유전의 결과다: 마이클 스톤, 《범죄의 해부학》
22 불안은 어린 시절의 불안을 통해 형성된다: 프리츠 리만, 《불안의 심리》
23 열등감이 착한 여자를 만든다: 윌리엄 페즐러, 《착한여자 콤플렉스》
24 인격은 생각과 느낌을 묶어 집합으로 기능한다: 리타 카터, 《다중인격의 심리학》
25 비합리적 행동은 인간됨의 규준이다: 스튜어트 서덜랜드, 《비합리성의 심리학》
26 심리학은 정신생활을 다루는 과학이다: 윌리엄 제임스, 《심리학의 원리》
27 심리현상은 두뇌의 진행 과정이 원인이다: 존 썰, 《심리철학과 과학》
28 마음은 자연선택 문제 해결의 연산체계다: 스티븐 핑커,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29 성 전략은 의식적 계획이나 지각이 아니다: 데이비드 버스, 《욕망의 진화》
30 성격은 유전적 영향으로 형성된다: 대니얼 네틀, 《성격의 탄생》




부모의 말이 아이를 틀에 가둔다
9791188700165.jpg


도서명 : 부모의 말이 아이를 틀에 가둔다
저자/출판사 : 김수아 , 한지원, 청림라이프
쪽수 : 268쪽
출판일 : 2018-08-14
ISBN : 9791188700165
정가 : 14000

프롤로그 : 양성평등을 처음 시작하는 부모에게 전합니다

1. 이야기 : “예쁘게 하고 가야지. 남들이 흉 봐!”
양성평등 말 공부 : 대화도 공부가 필요하다

2. 이야기 : “힘 센 남학생들이 이 의자 좀 옮겨줄래?”
양성평등 말 공부 : 아이는 부모의 말을 먹으며 자란다

3. 이야기 : “초음파 좀 봐주세요. 성별 반전 있을까요?”
양성평등 말 공부 : 이제껏 언어는 남성 중심이었다

4. 이야기 : “고추 보는 건 안 부끄럽고, 생리만 부끄러운 거야?”
양성평등 말 공부 : 부모도 모르는 고정관념

5. 이야기 : “창피해 죽겠어요. 시크릿 쥬쥬 보러 가면 우리 아들만 남자예요.”
양성평등 말 공부 : 딸은 여자답게, 아들은 남자답게?

6. 이야기 : “넌 딸인데 왜 그렇게 무뚝뚝하니?”
양성평등 말 공부 : 큰 딸은 살림 밑천, 아들은 집안의 기둥?

7. 이야기 : “모르는 소리 말라 그래! 요즘은 딸이 최고야!”
양성평등 말 공부 : 남아선호사상이 가져온 반작용

8. 이야기 : “남자는 강해야 되니까. 여자는 약해도 여우처럼 굴면 되니까.”
양성평등 말 공부 : 남자일, 여자일이 따로 있을까?

9. 이야기 : “여자애랑 남자애는 키우는 법이 완전 달라.”
양성평등 말 공부 : 아들과 딸에게 하는 말이 과연 달라야 할까?

10. 이야기 : “애 봐줄 사람 있어요?”
양성평등 말 공부 : 여성에게 육아와 일, 양립이 가능할까?

11. 이야기 : “시간 많고, 말 많은 전업맘이랑은 애초에 안 어울리는 게 상책이야.”
양성평등 말 공부 : 전업 엄마와 일하는 엄마의 언어

12. 이야기 : “엄마만 잘나가면 뭐해? 애가 저런데.”
양성평등 말 공부 : 육아에 대한 모든 책임을 엄마에게만 전가하는 말

13. 이야기 : “외동맘들 초예민해! 특히, 외동딸맘 너무 싫어.”
양성평등 말 공부 : 외동아이에 대한 편견 언어

14. 이야기 : “다둥맘은 배려가 없어요. 제가 왜 그 동생까지 봐야 해요?”
양성평등 말 공부 : 다자녀 가정에 대한 편견

15. 이야기 : “학교도 안 간 애가 뭘 알고 만졌겠어? 엄마가 더 유난이야!”
양성평등 말 공부 : 첫 성교육, 어떻게 해야 좋을까?

16. 이야기 : “너 그렇게 짧은 거 입고 다니다간, 큰일 당한다!”
양성평등 말 공부 : 성폭행 원인은 피해자에게 있는 걸까?

17. 이야기 : “남편, 집안일 도와줘서 고마워요. 나 이제 출근할게요.”
양성평등 말 공부 : 가사 노동에 대한 문제

18. 이야기 : “여자가 애 낳고 살림만 하려면, 돈 많은 남편 만나야 돼.”
양성평등 말 공부 : ‘행운의 여성’은 도대체 무엇일까?

19. 이야기 : “엄마, 맘충이 뭐야?”
양성평등 말 공부 : 혐오에 대한 언어, 어떻게 해야 할까?

20. 이야기 : “이제부터 부모에게는 새로운 언어가 필요해.”
양성평등 말 공부 : 자유롭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아이, 개념 있는 부모의 말

부록 : 다양성과 개성에 대해 이야기할 때 아이와 함께 읽으면 좋은 책
외모에 대하여 | 힘에 대하여 | 믿음에 대하여 | 성에 대하여 | 성교육에 대하여 | 공부에 대하여 | 선과 악에 대하여 | 사고를 지배하는 언어에 대하여 | 자립에 대하여 | 겉모습이 아닌 마음을 보는 눈에 대하여 | 남성에 대한 편견에 대하여 | 상상력에 대하여 | 배려에 대하여 | 집안일에 대하여 | 용기에 대하여 | 나와는 다른 성별을 이해하는 것에 대하여 | 양성평등에 대하여 | 성 역할 편견에 대하여 | 다름에 대하여 | 개성에 대하여

에필로그 1 :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부모의 모습을 보여주세요
에필로그 2 : 어른의 경험이 항상 옳은 것만은 아니에요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