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물잠자리는 사랑을 그린다 또는 스피치에 강해지는 일본어 작문 트레이닝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검은물잠자리는 사랑을 그린다 또는 스피치에 강해지는 일본어 작문 트레이닝

로즈
2025-04-14 05:43 8 0

본문




검은물잠자리는 사랑을 그린다
9791159253577.jpg


도서명 : 검은물잠자리는 사랑을 그린다
저자/출판사 : 송국, 들녘
쪽수 : 280쪽
출판일 : 2018-08-23
ISBN : 9791159253577
정가 : 15000

저자의 말
머리말_생태시와 생태화로 읽는 곤충의 사생활

길앞잡이는 왜 길을 안내하나
생태시_길앞잡이
길을 안내하는 반려 곤충
옷깃만 스쳐도 인연인데 | 길 안내는 동구 밖까지 할게요
신新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살아 있는 발전기
하필이면 왜 뜨거운 돌 위에 앉아 있을까? | 기동성 있는 민첩한 행동을 하는 이유
노출이 진화의 방향을 결정한다
길앞잡이과의 노출과 방향의 진화사 | 길앞잡이 날개는 위장복 연구의 모티브가 될 수 있다
스텔스 테크놀로지 모자이크 날개
왜 화려하게 치장하는 쪽으로 진화했을까? | 나노 광학적으로 디자인하다
험한 세상에 다리가 되어
땅 위에서 가장 빨리 달리는 생물 | 길앞잡이 다리 진화의 비밀
큰 턱은 사랑 나눔의 도구
하필이면 왜 턱이 거대해졌을까? | 곤충세계의 난폭한 바람둥이
겹눈은 진화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툭눈이의 비밀 | 왜 갑자기 멍때리기를 할까?
불편한 요람생활 아기벌레
수직굴에서 직립 생활하는 아기벌레 | 아기벌레는 언제쯤 환경지표종으로 보호될까?

둠벙으로 간 꼬마물방개
생태시_꼬마물방개
둠벙 찾아 삼만 리
둠벙의 생태적 가치 | 깊은 산속 둠벙에 누가 와서 살까?
숨쉬기 운동에도 비법이 있다
물속에서 산다고? | 숨쉬기 운동? 장난이 아니야!
전천후 전투병 물방개
물새와 물방개 | 수컷 앞발은 왜 탁구라켓처럼 생겼을까?
물땡땡이와 물방개
누가 먼저 물속생활을 시작했을까? | 물땡땡이와 물방개 구별하기
물속 환경 지킴이
전류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생리적 특이성 | 물속 생태환경 변화에 민감한 특이성

검은물잠자리는 사랑을 그린다
생태시_검은물잠자리
사랑의 고리 ‘하트’
착시현상 속에 바라보는 의미심장한 하트 | 하트는 가슴이나 마음에서 느끼는 기호일까?
사랑의 마음을 전달하는 표식 ‘하트’
자연에서 만나는 하트 | 언제부터 하트모양을 장신구로 사용했을까?
진정한 하트의 유래
하트의 최초 설계자 | 검은물잠자리의 하트 만들기
사랑의 고리 하트, 그 불편한 진실
왜 배를 활처럼 구부려 하트를 만들까? | 수컷이 등 뒤에서 짝짓기를 하지 못하는 이유
은밀한 진화
내부 생식기의 특화된 진화 | 치밀하게 각본을 짠 정자 다툼
금지된 사랑
잘못된 사랑의 열쇠 | 추잡한 사랑은 상처를 남기고

왕사마귀는 댄스 배틀을 좋아해
생태시_왕사마귀
영혼의 기氣가 흐르는 춤사위
왕사마귀의 춤은 사냥전술인가? | 왕사마귀는 왜 춤을 추는가?
최종병기 톱니발
순간의 선택은 생사의 갈림길이 되고 | 당랑권법과 당랑거철
눈과 목, 사냥을 위해 진화하다
툭눈이의 꼭짓점 구조 | 저 기다란 게 목이 아니라 가슴이라고?
엽기적인 자식 사랑
짝짓기할 때 수컷을 잡아먹는 이유 | 산란의 비밀
물속으로 빠져들게 하는 메커니즘
뇌를 조종하여 좀비로 만드는 연가시 | 사람을 물속으로 뛰어들게 하는 메디나충
탐구적인 사고의 틀
왕사마귀를 왜 곤충이라고 부르는가? | 사마귀목目의 손쉬운 구별법

내리사랑의 아이콘 모시나비
생태시_모시나비
시립도록 정갈한 나비
가장 한국적인 나비 | 왜 모시나비인가?
나비처럼 왔다 나비처럼 떠난 나비학자
눈물겨운 유고집 『한국산 접류 분포도』 | 세계적인 석학의 반열에 오르다
‘정조대- 수태낭’은 내리사랑의 결정체
치밀한 짝짓기 전략의 고수 | 최초의 정조대는 누가 채웠는가?
마술을 부리는 날개의 비밀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치다 | 나노미터 생물리학적 디자인 ‘눈알무늬’
먹이식물과 나비 애벌레의 생존 전략
편식장이 애벌레는 생물다양성을 이끄는가? | 환삼덩굴과 네발나비 애벌레는 창과 방패

참매미, 울림으로 다시 태어나다
생태시_참매미
생체 사이클의 시스템화
알람시계를 맞춰놓고 살아가는 애벌레 | 어떻게 땅속에서 정확한 때를 알 수 있을까?
울림은 영역 다툼과 사랑의 표현
매미가 소리에 목을 매는 이유 | 어떻게 소리를 만들까?
‘애매미’는 소프라노 성악가
다양한 소리를 구사하는 애매미 몸속 구조의 비밀 |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없는 매미도 있다
도시의 부랑아 ‘말매미’
말매미는 왜 고래고래 악을 쓸까? | 말매미는 왜 밤에도 떠들까?
수학자 ‘주기매미’
주기성의 메카니즘 | 주기매미는 왜 소수 주기로 살아갈까? | 오덕五德을 실천하는 매미

납치 활극의 일인자 쌍꼬리부전나비
생태시_개미와 나비
나비-개미의 생존전략과 납치극 | 쌍꼬리부전나비의 생존전략 | 마쓰무라꼬리치레개미의 납치극
여왕처럼 살고 있는 나비 애벌레
개미는 왜 나비 애벌레를 정성들여 보살필까? | 나비 애벌레가 분비하는 신비로운 액체의 비밀
아리송한 공생 쌍곡선
사육하면 왜 사육을 당하는가? | 사랑하면 안 되나요?
트로이카 체제의 생태 특이성
쌍-마 이외의 공생관계 | 양쪽 모두 이득을 취하는 더부살이 기생성 상리공생 | 한쪽만 이득을 취하는 더부살이 기생성 편리공생
소통 시스템 교란 작전
소리로 개미 뇌세포를 조종하는 나비 | 사람아! 사람아!
애증의 삼각관계
얽히고설킨 애증의 연결고리 | 담양에서 바둑돌부전나비를 보면 운수대통

대숲의 요정 흰줄숲모기
생태시_흰줄숲모기
당당히 모기의 길을 간다
영화에 모티브를 제공하다 | 모정母情의 세월
은밀한 마이크로미터 흡혈 모드의 실체
어떻게 피부를 뚫고 들어갈까? | 흡혈관에는 추적 장치가 있다
에어쇼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날개
왜 호버링의 명수인가? | 곡예비행은 생사의 갈림길에서
별나게 살아가는 녀석들
대숲에는 왜 모기가 많을까? | 짠물에서 살아가는 짠한 모기

맺음말_돈키호테 곤충학자가 사랑한 곤충들




스피치에 강해지는 일본어 작문 트레이닝
9788940292419.jpg


도서명 : 스피치에 강해지는 일본어 작문 트레이닝
저자/출판사 : 모치다 유미코 , 이부키 사야카 , 이토 타카오, 시사일본어사
쪽수 : 192쪽
출판일 : 2018-08-20
ISBN : 9788940292419
정가 : 13000

머리말
책의 구성과 활용
목차
학습 구성

1. 今年の目標
2. アルバイト
3. 学校生活とストレス
4. 試験
5. 住まい
6. 結婚
ㆍ종합문제 1 (1과~6과)

7. ファッション
8. お酒
9, 就職活動
10. ペット
11. 習い事
12. 食文化
ㆍ종합문제 2 (7과~12과)

부록_정답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