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서 만난 전쟁사 또는 시간여행, 과학이 묻고 철학이 답하다
로즈
2025-04-14 05:43
8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3회 연결
본문
미술관에서 만난 전쟁사

도서명 : 미술관에서 만난 전쟁사
저자/출판사 : 이현우, 어바웃어북
쪽수 : 328쪽
출판일 : 2018-08-16
ISBN : 9791187150459
정가 : 16800
머리말 _나는 미술관에서 전쟁사를 고증한다
Chapter 1. 전쟁의 승패는 늘 사소함에서 갈렸다!
01 돌팔매의 전쟁사
02 여성의 속옷을 입었던 전사들
03 소총수의 비애
04 곤충의 전쟁사
05 장기에서 ‘차(車)’는 왜 대각선으로 못 움직일까?
06 군복이 화려하면 전쟁에서 진다?
07 달콤한 초콜릿의 쌉싸름한 전쟁사
08 화포병들이 화장실 바닥을 긁으러 다닌 이유
09 나팔소리만으로 성벽을 무너뜨릴 수 있을까?
10 문화강국 ‘프랑스’의 국명이 원래 도끼란 뜻?
11 ‘무대포’는 정말 무모한 전술일까?
12 전령병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채택된 올림픽 종목
13 ‘구구단’이 장교들의 필수덕목이 된 사연
14 조선군은 정말 ‘포졸복’만 입고 싸웠을까?
Chapter 2. 탐욕의 참극
15 미친 사랑의 전쟁사
16 ‘카디건’ 탄생의 서글픈 배경
17 황후의 생일상과 맞바꾼 승리
18 투구 속에 감춰진 기사의 두 얼굴
19 ‘밀로의 비너스’가 두 팔을 잃게 된 사연
20 러시아조차 동장군에 무릎 꿇었던 ‘겨울전쟁’
21 세계 최대 전함 야마토가 호텔로 변한 이유
22 민족분단의 상징 ‘38선’은 정말 30분 만에 그어졌을까?
23 어느 시골 의사의 순박한 궁리에서 탄생한 살인병기
24 보어전쟁과 손목시계
25 전쟁 성범죄가 만든 치명적인 질병
Chapter 3. 피에 묻힌 진실
26 3월 ‘March’는 어떻게 행군이란 뜻이 됐을까?
27 폴란드 군인들은 왜 두 손가락으로 경례를 할까?
28 직업인 사무라이의 민낯
29 오랑캐 침략의 통로가 된 만리장성
30 역사에 걸핏하면 등장하는 ‘백만 대군’의 진실
31 전쟁은 그를 철혈재상으로 키웠다!
32 왜 스타크래프트의 ‘드라군’을 ‘용기병’이라 부를까?
33 정말 기후를 조작해 무기로 쓸 수 있을까?
34 ‘철수’가 ‘진격’보다 힘든 까닭
35 무기 대신 트렘펫을 들었던 늙은 나팔수를 기억하며
36 서구 도심의 높은 첨탑들이 총알 제조에 쓰인 사연
37 꽃을 든 남자, 그의 이름은 사무라이
38 로마군의 필승전략 ‘이기려면 일단 살고 봐라!’
Chapter 4. 누구를 위한 전쟁인가?
39 잔다르크는 정말 갑옷 원피스를 입었을까?
40 ‘프리랜서’가 ‘용병’이 된 이유
41 오로지 전쟁만으로 먹고 산 나라, ‘헤센’을 아시나요?
42 역사상 가장 용맹스럽고 충직한 사자들 이야기
43 관동팔경에서 ‘관(關)’의 지정학적 함의를 찾아서
44 왜 그들은 조국을 향해 총구를 겨눴을까?
45 국가는 어떻게 패망에 이르는가?
46 일제는 왜 조선에 ‘활쏘기 금지령’을 내렸을까?
47 어느 로켓 과학자의 영욕의 세월
48 멕시코 희대의 악녀에 관하여
49 국가란 진정 ‘엉터리 수작’에 지나지 않는 존재일까?
50 군사강국에서 복지강국이 된 나라
*작품 찾아보기 / 인명 찾아보기
시간여행, 과학이 묻고 철학이 답하다

도서명 : 시간여행, 과학이 묻고 철학이 답하다
저자/출판사 : 김필영, 들녘
쪽수 : 359쪽
출판일 : 2018-08-30
ISBN : 9791159253607
정가 : 19000
추천사: 새로운 배를 떠나 보내며 _임일환
들어가기 전
1장 프롤로그
2장 시간여행에 관한 이야기
터미네이터는 1984년으로 갈 수 있을까? | 팀은 자신의 할아버지를 죽일 수 있을까? | 엘비스 프레슬리는 젊은 시절의 자신을 만날 수 있을까? | 존 코너는 안드로메다 함대의 지구 침공을 막아낼 수 있을까?
1 시간여행이란 무엇인가?
시간여행의 정의 |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 시간여행의 유형 | 점프형 시간여행 | 시간지연형 시간여행 | 순환형 시간여행 | 시간여행의 논리적 가능성
2 터미네이터는 1984년으로 갈 수 있을까?
도착지-비존재 논증 | 도착지-비존재 논증에 대한 반론 | 출발지-비존재 논증 | 출발지-미결정 논증 | 정리
3 팀은 자신의 할아버지를 죽일 수 있을까?
할아버지 패러독스 논증 | 루이스의 반론 | 비벨린의 반론과 브라나스의 재반론 | 정리 | 바나나 할아버지 패러독스 논증 | 사이더의 반론 | 정리
4 엘비스 프레슬리는 젊은 시절의 자신을 만날 수 있을까?
엘비스 패러독스 논증 | 사이더의 첫 번째 해법 | 마코시안의 두 번째 해법 | 켈러와 넬슨의 세 번째 해법 | 캐롤의 네 번째 해법 | 정리
5 존 코너는 오로라 공주의 마음을 돌릴 수 있을까?
광속불변의 원리와 상대적 동시성 개념 | 오로라 공주 논증 | 스타인의 반론 | 맥스웰의 반론 | 딕스와 맥스웰의 논쟁 | 스타인과 맥스웰의 논쟁 | 정리
3장 3차원주의와 4차원주의
1 아리스토텔레스와 파르메니데스
우리는 동일한 강에 몇 번이나 들어갈 수 있는가 | 헤라클레이토스: 우리는 동일한 강에 두 번 들어갈 수 없다 | 파르메니데스: 우리는 동일한 강에 한 번도 들어갈 수 없다 | 아리스토텔레스: 우리는 동일한 강에 여러 번 들어갈 수 있다 | 정리
2 A-시간론과 B-시간론
A-시간론과 B-시간론 | 맥타가트 논증: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 첫번째 반론: 변화 없는 텅 빈 시간은 있을 수 있다 | 두번째 반론: 과거성, 현재성, 미래성을 ‘동시에’ 가지는 것은 아니다 | 세번째 반론: 사건은 변할 수 없다 | 네번째 반론: 맥타가트 논증은 타당하지 않다 | 정리
3 시제주의와 무시제주의
시제주의와 무시제주의 | 러셀의 무시제주의 | 후기의 무시제주의 | 프리스트의 반론 | 프라이어의 반론 | 정리
4 현재주의와 영원주의
네 개의 형이상학 시간이론 | 우리는 왜 과거와 미래에 대한 태도가 다른가? | 우리는 왜 현재를 생생하게 경험하는가? | 문장을 참인 것으로 만드는 진리확정자는 어디에 있는가? | 정리
5 이동지속이론과 시간적 부분이론
변화와 지속의 문제 | 이동지속이론 | 확장지속이론 | 찰나지속이론 | 기계인간 민수와 아메바의 분열 | 시간적 부분이론에 대한 반론 | 정리
6 로렌츠 해석과 민코프스키 해석
특수상대성이론 해석의 문제 | 원리적 이론과 구성적 이론 | 민코프스키의 4차원주의 해석 | 로렌츠의 3차원주의 해석 | 아인슈타인과 로렌츠의 선택의 이유 | 정리
4장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뉴턴, 라이프니츠, 칸트
뉴턴의 절대주의 | 라이프니츠의 관계주의 | 칸트의 형식주의 | 정리
2 관계적 3차원주의
칸트에게서 뉴턴을 발견하다 | 칸트에게서 라이프니츠를 발견하다 | 라이프니츠에게서 다시 뉴턴을 발견하다 | 보편시간과 보편공간 | 기존의 3차원주의와 관계적 3차원주의 | 정리
3 우주선 사고실험과 쌍둥이 사고실험
시간지연과 길이수축 | 물리적 현상과 좌표적 현상 | 우주선 사고실험을 이용한 보편공간의 추론 | 우주선 사고실험의 응용 | 쌍둥이 사고실험 | 쌍둥이 사고실험의 응용 | 보편시간의 추론 | 정리
4 시간여행 다시보기
딕스 다시보기 | 도위 다시보기 | 루이스 다시보기 | 정리
5장 에필로그
철학과 과학의 공존과 대립 | 3차원주의와 4차원주의 사이의 공방 | 철학과 과학으로서의 3차원주의와 4차원주의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