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인체가 궁금하다면 한의사 또는 한국 기독교사. 1: 1945년까지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우리 인체가 궁금하다면 한의사 또는 한국 기독교사. 1: 1945년까지

시니
2025-04-14 05:42 5 0

본문




우리 인체가 궁금하다면 한의사
9791188091218.jpg


도서명 : 우리 인체가 궁금하다면 한의사
저자/출판사 : 안수봉, 토크쇼
쪽수 : 195쪽
출판일 : 2018-04-25
ISBN : 9791188091218
정가 : 15000

한의사 안수봉의 프러포즈

첫인사

한의사란
한의사라는 직업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언제부터 이 직업이 생겼는지 궁금해요
한의사는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나요
한의사도 진료 분야가 나누어져 있나요
한의사가 사용하는 의료기기는 뭐가 있을까요
한의사의 남녀비율은 어떻게 되나요
한의사의 수요는 많은가요
이 직업만의 매력과 장점은 무엇인가요
이 직업의 단점에 대해 알려주세요
한의학의 장, 단점에 대해 알려주세요
미래에도 한의사는 필요한 직업인가요
한의학은 비과학적인가요

한의사의 세계
한의사가 일하는 곳은 어디인가요
개인 한의원은 어떤 식으로 운영하나요
한의원을 찾는 환자들은 주로 어떤 이유로 방문하나요
기억에 남는 사건이나 환자가 있나요
한의사의 일과는 어떻게 되나요
시간이 날 때는 어떤 일을 하나요
현재 일을 잘 수행하기 위해 따로 노력하고 있는 것이 있나요
한의사이기 때문에 겪는 애로 사항이 있나요
일을 하면서 받는 스트레스는 어떻게 해소하나요
해외에서 한의사의 대우는 어떤가요
한의사가 되었을 때 가장 걱정되었던 점은 무엇인가요
한의사를 꿈꿨던 때와 한의사가 된 후 달라진 점이 있을까요
한의사로서 성취감을 느끼는 순간이 있나요
어떤 마음으로 환자들을 만나시나요

한의사가 되는 방법
한의사가 되려면 어떤 과정이 필요한가요
한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꼭 관련 학과를 졸업해야 하나요
청소년들은 학창시절에 어떤 준비를 하면 좋을까요
한의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자격이 있나요
한의사가 되려면 외국어를 잘해야 하나요
한의사가 되기 위해 필요한 자질은 무엇인가요
어떤 성격을 가진 사람이 한의사에 적합한가요
한의대생이나 한의사도 유학을 가나요
공중보건의사 제도는 어떤 것인가요
군의관 제도는 어떤 것인가요

한의사가 되면
연봉은 어느 정도인가요
한의사도 직급 체계가 있나요
주기적으로 윤리교육을 받나요
근무 시간은 어떻게 되나요
근무 여건은 어떤가요
노동 강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정년은 언제까지인가요
직업병이 있나요
다른 분야로 진출이 가능한가요

나도 한의사
몸과 마음을 다독이는 차 한 잔, 티테라피
사상의학으로 내 체질 알아보기

한의사 업무 엿보기
환자를 보면 병이 보여요, 한방치료
겨울이면 급증하는 감기, 한방치료로 해결!
환절기만 되면 찾아오는 비염, 한방치료로 해결!
피부 고민! 한방치료로 해결해요 아토피 피부염
피부 고민! 한방치료로 해결해요 여드름

인터뷰 속 인터뷰
인터뷰1_한의예과 양찬우 학생
인터뷰2_한의본과 국윤빈 학생
인터뷰3_임상강사 이현우

한의사 안수봉 스토리




한국 기독교사. 1: 1945년까지
9788983509932.jpg


도서명 : 한국 기독교사. 1: 1945년까지
저자/출판사 : 김명구, 예영커뮤니케이션
쪽수 : 584쪽
출판일 : 2018-06-15
ISBN : 9788983509932
정가 : 30000

발문
저자 서문

기독교 공식 선교 이전의 시대적 서설(序說)
1부 근대와의 충돌
1장. 조선과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충돌
2장. 근대문명과의 충돌-제너럴셔먼호 사건, 신미양요

2부 기독교 선교의 필연적인 조건과 그 시작
1장. 근대국가 구축의 이데올로기
2장. 새로운 근대사상 정립의 시도-신앙 영역에 대한 거부
3장. 이수정에 대한 배척

선교의 시대
1부 기독교 선교의 호기(好期)-합법적 선교의 시작
1장. 미 북감리교회의 조선 선교 시작
2장. 미 북장로교회의 조선 선교 시작
3장. 선구자 맥클래이(Robert S. Maclay)
4장. 만주의 스코틀랜드 선교사들을 통한 복음 전파
5장. 기독교 선교사들의 입국
6장. 의료와 교육 선교-복음 전파의 교두보
7장. 기독교 병원-선교신학의 분리
8장. 기독교 학교-복음적 목표와의 괴리 확인
9장. 의료·교육 선교의 확장-Pros와 Cons
10장. 교회의 공식적 시작-서울유니온교회, 벧엘교회, 정동장로교회의 출발
11장. 내륙(內陸)으로의 선교지 확보 모색
12장. 여러 교파의 조선 선교
13장. 선교지 분할과 예양의 문제
14장. 선교방식-복음 전도의 선교방식
15장. 기독교 선교사들과 정치와의 관계

2부 복음의 분화와 기독교 기호계 민족주의의 발흥
1장. 이승만과 한성감옥의 입교자들
2장. 황성기독교청년회(皇城基督敎靑年會, YMCA)의 창설과 그 전개
3장 복음 분화의 사회학-시대적 이유, 계급·계층적 이유,지역적 이유

한국 교회 시대의 도래
1부 시대적 상황과 한국 기독교의 대처 방식
1장. 시대적 상황-러일전쟁과 을사늑약
2장. 대응과 대처 방식의 분화

2부 1907년 영적 대각성 운동-역사의 필연
1장. 영적 대각성 운동의 토대
2장. 평양대각성운동
3장. 백만인구령운동(Evangelizing a Million Korea Homes)
4장. 한국 장로교회 정치제도의 수립-복음주의 신학의 전통 확인
5장. 1907년 평양대각성 운동의 해석학
6장. 동양선교회(Oriental Missionary Society)의 한국 선교 시작

3부 기독교와 민족운동
1장. 105인 사건
2장. ‘개정사립학교 규칙’과 ‘포교 규칙’ 공포
3장. 3·1운동
4장. 기독교와 상해임시정부

4부 기독교와 1920년대-분리와 분열의 시대
1장. 문화정치와 시대적 시련-한국 사회 분열 획책
2장. 기독교 민족주의계간의 격렬한 분열과 대립
3장. 한국 기독교의 분리와 분열
4장. 한국 교회의 분열-시대 상황 대처에 대한 이견, 지역적·신학적 갈등

5부 기독교와 공산사회주의
1장. 반기독교 운동과 공산사회주의의 기독교회 공격
2장. 공산주의에 대한 역사적 경험-신간회와 만주에서의 경험
3장. 기독교계의 반응과 대응
4장. 기독교 농촌 운동
5장. 교회부흥운동과 부흥회

6부 한국 감리교회의 형성과 한국 교회의 전향
1장 남북감리교회의 합동-사회복음주의로의 이향 선언과 미국 교회 지향 확인
2장 일본의 기독교 박해와 한국 기독교의 전향

색인
참고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