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야 계절이 보인다 또는 한국 자유민주주의와 그 적들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이제야 계절이 보인다 또는 한국 자유민주주의와 그 적들

시니
2025-04-14 05:42 7 0

본문




이제야 계절이 보인다
9791186972359.jpg


도서명 : 이제야 계절이 보인다
저자/출판사 : 고래달, 제이앤제이제이.디지털북스.
쪽수 : 256쪽
출판일 : 2018-05-20
ISBN : 9791186972359
정가 : 15000

우리의 계절
힐링
청춘이 빛나는 이유
청춘의 재료
착한 연극
페르소나
학벌이 필요 없는 사회
좋아하는 일하고 사는 거 힘들잖아
콤플렉스 인정하기
인생 재지 마
보고 싶은 너
말이 따듯한 사람
지혜를 위한 지식
관계 때문에 상처받는 너에게
행복달성
너라서 고마워
더 주고 싶은 사람
조금만 더 힘내
청춘은 시속 500Km
약속에 경중이 있을까
오그라듬으로 치부되는 감성
나도 가끔은 힘드니까
나잇값
욕심과 자존감
나는 멘토링이 싫다.
설레는 중
연애의 목적
부모라는 존재
나도 다 알아
초연결사회 속 청춘
변해도 변하지 않는 사랑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랬으면 좋겠어
모난 돌이 정 맞는 진실
나의 욕망 바라보기
설렘이 빠져나간 그 공간
바람
올바른 자기다움
무거운 증명
선물
내가 그리는 하루는
품격
노력 없는 사랑
마음강도
보이는 것
운이라는 건
너의 가치
자석
타인의 기대
누구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힘내
부러워한다고 지는 게 아냐
나도 이기적인 사람일 뿐인데
이상과 신념
행복을 줄게
없어 보이는 입맛
지루함과 친해지기
축복
마음속 고래 한 마리
고장난 계산기
맞춤법과 띄어쓰기
당신을 응원합니다
행복은 늘 거기에
욜로
여유도 쌓인다
어느쪽이 진짜야?
나만의 왕국 건설하기
2009년 머리말
내가 빛날 수 있는 자리
경험의 투입과 산출
흉내 없는 삶
그릇의 차이
내 안에 작은 위로
계산된 위험
떨어진 수많은 행복
행복 불감증
너의 긍정 뒤에
이제는 남이 된 너에게 쓰는 편지
우리가 잃어가고 있는 말
아이러니
맨날 항상 늘
인생은 곱셈이야
청춘이잖아
악취
개천의 용은 정말 좋은 걸까
당연한 것
늘 걸어온 길 뒤에
바람은 눈에 보이지 않아
그 시절
지쳐있을 친구에게
감정의 뿌리
그런 날
가끔은 포기해

내가 나에게 하는 당부
공감? 그거 별 거 없어
걷는 방법
대신, 진심
자신이 한심하다고 느낀다면
평범하게 산다는 건
우리
탈진
너라는 길
못난 고백
마음의 바다
행운은 발뒤꿈치에서
틀린 사람은 없다지만
세렌디피디
행복의 책임
명언
살펴보기
어떤 하루
마음의 베짱이
자기다움
결국, 사람

용서를 위한 용기
아직도 버리지 못한 것들
아끼다 똥 된다
양자택일
하기 싫은 조언
셀프 선물
반쯤 채워진 컵
나는 병아리다
여행과 사랑
좋은 사람
있는 그대로를 사랑해줘요
진짜
사소함
질소 과자
어른이 된다는 것
불행중독
불행중독 테크트리
잘 하고 있어요.
깊어질수록
결국 끌리는 사람은
열심히만 하지 말고

모순
자랑스러움
한 푼 두 푼 모아
우유부단은 어리석음
조금만 천천히
폰팔이와 명강사
가면놀이
사람 하나 있었으면
도시가 잔다
거친 언어의 저주
너라서
예뻐 죽겠어
때론 느긋한 체념으로
입을 모아 욕하는 사람
가장 찌질했던 거짓말
자존심이라는 감옥
우울증
경청 아닌 경청
내가 믿는 것
화풀이
겸손의 덫
참 좋았는데
멀리 본다는 것
체념과 열정
마음의 동료
간이역
단어가 가진 진짜 의미
전화하기 싫은 사람
미련한 미련
주는 게 더 행복한 사람
사랑도피
완벽한 조롱거리
마음을 채우려
외로움은 그저 작은 부분
다 널 위해서야
미워할 줄 아는 것
시작
새로운 사랑
모르는 척 해줘
이놈의 인생은
시작은 가볍게
이제야 계절이 보인다

작가의 글
추천사




한국 자유민주주의와 그 적들
9788997871339.jpg


도서명 : 한국 자유민주주의와 그 적들
저자/출판사 : 노재봉 , 김영호 , 서명구 , 유광호 , 조성환, 북앤피플
쪽수 : 444쪽
출판일 : 2018-04-20
ISBN : 9788997871339
정가 : 23000

제1부 촛불집회, 탄핵, 문재인 정부 해부

제1장 | 한국자유회의 선언문과 그 해제

1. 한국자유회의 선언문 - 노재봉
2. ‘한국자유회의 선언문’ 해제 - 김영호
3. ‘한국자유회의 선언문’을 다시 읽는다?조성환

제2장 | 촛불집회와 탄핵의 정치학적 평가

1. 박근혜 대통령 탄핵에 대한 정치사상적 진단 노재봉
탄핵과 파면정국의 특성 | 탄핵정국과 정치투쟁의 현실
2. ‘촛불세력’과 우상숭배의 정치의식 비판 조성환
‘촛불’과 ‘탄핵’, 분노의 굿판 | ‘촛불’, 전체주의 반동의 우상 | ‘촛불정국’, 중국의 사드배치 간섭 자초| 미ㆍ중 패권경쟁의 블록정치와 한국의 안보 | 임시정부 건국론과 역사의 우상숭배 | 민족의 신화, 자유민주주의적 통일의 적
3. ‘촛불시위’는 전체주의적 도전 조성환
‘한국자유회의’, 반(反)전체주의 선언 | 오도(誤導)된 국민주권론 | ‘촛불혁명’은 전체주의적 전복혁명 | 한국자유회의, 자유민주주의의 사상적 플랫폼 | 자유민주진영의 반(反)전체주의 운동

제3장 | 문재인 정부 국정 운영의 정치학적 비판

1. 문재인 정부, 어디로 가나?-노재봉
2. 문재인 정부 국정 운영 목표의 정치학적 비판?서명구
촛불혁명 정권 자임하는 문재인 정부 | 근대성에 대한 무지와 몰이해 | ‘절대 적’의 상정과 대한민국 부정 | 전체주의의 위험성
3. 문재인 정부의 외교ㆍ안보ㆍ대북정책 비판?조성환
노무현 정책의 ‘데자뷔’? | 통일론, 항복인가, 분단고착론인가? | 낭만적 민족주의와 평화 이데올로기 | 균형외교와 국제적 고립
4. 북한 옹호하는 체제전복 세력이 ‘적폐’다?유광호
북한인권 무시하는 문재인 정부 | ‘liberty’와 ‘freedom’ | 근대국민국가란 무엇인가 | 사라진 자유해방의 전통
5. ‘분리를 통한 통일전략’을 다시 논한다?김영호
민족 중심 통일논의의 문제점 | ‘분리를 통한 통일전략’의 정치학적 근거 | 새로운 통일전략의 유용성

제2부 한국 자유민주주의와 그 적들

제4장 | 자유민주주의의 이해

1. 자유민주주의란 무엇인가? - 김영호
자유민주주의 논쟁의 정치적 의미 | 개인의 자유와 권리 보호 입헌주의 | 시민사회의 존재 | 법치주의 | 국민주권론과 대의제 민주주의
2. 국민주권론과 대의제?노재봉
3. 건국사관을 통해서 본 한국현대사?김영호
전복전략으로서의 역사전쟁 | 건국사관의 등장과 한국현대사 | 건국 시점을 둘러싼 논쟁 | 건국 이후 산업혁명과 대한민국의 발전
4. 대한민국의 탄생과 근대국민국가 완성을 위한 노력?조성환
‘과거 완료형’ 역사 인식의 문제점 |정치적 근대성 | 민족의식: 합리주의와 낭만주의의 분기(分岐) | 한국의 정치적ㆍ민족적 낭만주의 | 보편(합리)주의와 낭만주의의 대립 | 해방 후 노선투쟁과 6.25 전쟁의 의미 | ‘위기 정부’ 속의 국가발전과 시민사회의 성숙 | ‘통일혁명’, 근대국민국가의 완성
5. 21세기 미중패권경쟁과 한국의 국가전략?김영호
패권경쟁 소용돌이 속의 대한민국 | 왕도적 패권국가와 패도적 패권국가 | 세 번의 패권경쟁과 한반도 | 동북아 지역 균형자로서의 미국 | 국제정치현실의 개념적 이해 |용미론(用美論)의 관점에서 본 한미동맹 | 한국 안보문화의 문제점 | 21세기 미중 패권경쟁 시기 한국의 국가전략

제5장 | 한국 자유민주주의의 적들

1. ‘종족적 민족주의’와 ‘정치적 낭만주의’ 비판?서명구
예비적 개념 고찰 | 한국의 역사적 경험 | 해방 이후 한국 민족주의의 전개와 그 특징 |종족적 민족관에서 벗어나야
2. 신채호 역사관 비판?서명구
단재 사관의 역사적 의의 | 전기 단재 사관: 종족적 민족주의의 문제점 | 후기 단재 사관: 혁명적 민족주의의 문제점 | 단재의 민족ㆍ민중사상이 남긴 후유증
3. 한국 좌파의 사상적 뿌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서명구
좌파가 득세하는 한국사회 | 한국 좌파의 개념 규정 | 좌파의 사상적 뿌리와 그 특징 | 한국좌파는 일상적 전체주의 세력
4. 직접민주주의는 부드럽게 표현된 전체주의 ? 유광호
북한 핵실험에 대한 문재인 정부의 반응 | 대화와 타협 | 인민공화국 대 민주공화국 | 반(反) 제국주의론 공유 | 국민주권론과 인민주권론 | 대의제 |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도전
5. 헌법에서 ‘자유’ 지우는 것은 ‘대한민국 청산’ 의미?유광호
국가의 요건 | 좌익에게 이용당하는 김구 | 김구의 건국노선 이탈 | ‘민주화운동’의 실체 | ‘대한민국 청산’으로 가나?
6. 한국 사회의 전복세력과 전복전략?김영호
전복전략의 정의 | 전복활동의 구체적 형태 | 한국 사회 전복활동의 특징
7. 민족주의의 두 얼굴과 반미친중(反美親中) 노선?유광호
시민적 민족주의와 종족적 민족주의 | 종교를 대신한 민족주의 | 민족주의와 공산주의 | ‘친중(親中)’의 사상적 커넥션
8. 북한 전체주의의 정치사상적 기원과 특징?김영호
연구방법 | 전체주의체제의 특징 | 낭만적 민족주의와 북한 전체주의의 정치사상적 기원 | 한국 사회와 낭만적 민족주의의 부정적 영향 | 국제정치와 6ㆍ25전쟁이 북한 전체주의 형성에 끼친 영향 | 이용희의 한국민족주의 연구와 노재봉의 낭만적 민족주의 비판

제6장 | 한국정치에 관한 정치학적 성찰

1. 대중시위 촛불의 고향은 어디인가?노재봉
2. 프랑스혁명 선언문과 근대국가 대한민국의 특징-김영호
3. 조국을 위해 죽는다는 것 (pro patria mori)?김영호
4. 자유민주주의적 국민주권론 대 전체주의적 국민주권론-김영호
5. 일상적 전체주의와 일상적 저항-김영호
6. 국회선진화법 비판-조성환
7. ‘상시(常時)청문회법’ 거부권 행사에 대한 정치학적 이해?조성환
8. 포풀리즘을 거부한 박정희 대통령?유광호
9. ‘평화통일’을 다시 생각한다?김영호
10. 북한 전체주의 규탄하는 반체제작가 반디의 ‘고발’?서명구
11. 시민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제언?김영호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