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정도 개념은 알아야 사회를 논하지! 또는 이야기를 해야 알죠! > 도서

본문 바로가기

도서

이 정도 개념은 알아야 사회를 논하지! 또는 이야기를 해야 알죠!

시니
2025-04-14 05:42 6 0

본문




이 정도 개념은 알아야 사회를 논하지!
9791196040062.jpg


도서명 : 이 정도 개념은 알아야 사회를 논하지!
저자/출판사 : 박민영, 북트리거
쪽수 : 328쪽
출판일 : 2018-04-16
ISBN : 9791196040062
정가 : 14000

사회

1. 피로사회 - 사는 게 피곤한 이유 맥도날디제이션, 24시간 사회, 감정노동
2. 일인가구 - 혼자 사는 이들은 정말 행복할까? 일코노미, 욜로, 졸혼
3. 자기 계발 - 사장의 마인드로 자신을 채찍질하기 스펙, 멘토, 힐링
4. 사회 안전망 - 복지 제도가 있어도 살기 힘든 이유 실업급여, 국민건강보험, 국민연금
5. 기본소득 - 모든 사람에게 경제 안정을 누릴 권리를! 청년 배당, 무상 급식, 기초노령연금
6. 저널리즘 - 언론은 있는 그대로 세상을 비출까? 어젠다 세팅, 옐로저널리즘, 로봇저널리즘

문화

1. 잉여 세대 - 쓸모없는 사람 취급하며 착취하기 프레카리아트, 프리터족, 니트족
2. 문화 자본 - 계급을 구분 짓는 무형의 자본 학력 자본, 외모 자본, 구별짓기
3. 키덜트 - 천진난만한 어른일까, 나잇값 못하는 어른일까? 캥거루족, 헬리콥터 맘, 피터팬신드롬
4. 여성 혐오 - 가부장적 사회가 찾아낸 엉뚱한 희생양 미러링, 맨스플레인, 성적 대상화
5. 인종차별 - 인종 서열화를 넘어서 아파르트헤이트, 다문화주의, 유대인 혐오
6. 개인주의 - 공동체가 사라진 시대의 자아분열 나르시시즘, 셀피, 쿨

경제

1. 4차산업혁명 - 새로운 과학기술은 무조건 좋을까?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2. 젠트리피케이션 - 상권의 발달, 쫓겨나는 사람들 프랜차이즈, 권리금,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3. 기업 사회 - 기업은 어떻게 사회를 지배하는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필랜스러피, 창조적 자본주의
4. 녹색 성장 - 환경보호와 시장 창출의 모순 그린슈머, 신재생에너지, 생태 관광
5. 지식재산권 - 지식과 정보의 자산화는 정당할까? 산업재산권, 저작권, 카피레프트
6. 노동의 유연화 - 열심히 일해도 가난한 이유 임금피크제, 워크셰어링, 아웃소싱

정치

1. 신자유주의 - 대중을 지배하는 '슈퍼 리치'의 이데올로기 낙수 효과, 승자독식, 대처리즘
2. 문화제국주의 - 무력 침략 못지않게 무서운 문화적 침략 오리엔탈리즘, 옥시덴탈리즘, 네오오리엔탈리즘
3. 정치 참여 - 엘리트들의 정치, 그들만의 리그 폴리페서, 소셜테이너, 폴리널리스트
4. 공포정치 - 요람에서 무덤까지 통제되는 세계 엄벌주의, 패놉티콘, 빅 브러더
5. 관료주의 - 국민의 머슴일까, 국민의 지배자일까? 기밀주의, 악의 평범성, 번문욕례
6. 정당정치 - 민심 왜곡을 막을 정치제도는 무엇일까? 정당국고보조제도, 비례대표제, 중·대선거구제




이야기를 해야 알죠!
9791188765188.jpg


도서명 : 이야기를 해야 알죠!
저자/출판사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모시는사람들
쪽수 : 256쪽
출판일 : 2018-06-10
ISBN : 9791188765188
정가 : 12000

1부 문화비평
전철 안에서│정진홍
파란색과 분홍색│최화선
만화 한 편으로 본 종교문화│방원일
도깨비의 노린내│유기쁨
음악의 자리, 종교의 자리│최화선
닭 치고 모스를 생각함│박상언
로마교, 런던교, 이교, 열교│이진구
조상숭배와 종교학, 그리고 피에타스│임현수
고양이, 봄, 그리고 ‘성스러운 생태학’│유기쁨
조선시대의 부정청탁│이욱
BC와 AD│강돈구
과학자들이 새로운 흥미를 발견한 것, 종교│박상준
비밀스러움과 성스러움│윤승용

2부 시평
우리는 어떤 티벳을 말하고 있는가│이민용
다종교사회와 정치│최유진
타고 남은 재│전인철
대재난과 ‘일본교’│박규태
해외봉사와 종교│김윤성
“나는 샤를리”│김대열
성소수자의 인권과 종교폭력│차옥숭
삶에서 뿌연 먼지 같은 불안을 걷어내려면│박상언
밥과 무기와 믿음│김호덕
통계청의 ‘2015년 종교인구 조사’│윤승용
국가가 개인에게 종교를 물을 수 있는가│이진구
‘갈라파고스 증후군’│신재식
불교와 폭력│이민용

3부 단상
3월의 봄, 입학식을 기억하며│이욱
연애와 종교│방원일
크리스마스 트리와 초파일 연등│윤용복
얼음에 대한 생각│김호덕
우리 곁의 괴물들│조현범
가면과 페르소나│안연희
폭력, 노비, 노예│허남린
종교적 문맹│류성민
바울 르네상스│안연희
마을과 마을제의 │이용범
불교의 신앙대상│진철승
소리가 머무는 ‘상자’, 유성기│도태수
사소하거나 중대하거나│이혜숙
참된 심정이 빚어내는 거짓 문제들 그리고 vice versa│이연승
이야기하는 인간│하정현
세월의 눈금│장석만

4부 종교학 이야기
세계종교 패러다임│장석만
한국 종교문화의 서술을 위해 유념하고 싶은 것들│정진홍
엘리아데, 스미스, 링컨│이창익
감각의 종교학│우혜란
종교를 과학적으로 설명한다는 것│구형찬
‘불교’와 ‘부디즘’│송현주
중국 고대 무(巫) 자료를 살피면서│임현수
원전(原典)은 어떻게 종교학이 되는가│민순의
종교학,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테이프│이창익
무신론 학과의 등장│우혜란
“나는 종교문화를 연구합니다”│구형찬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