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 생각 깨우기 연습 또는 한민족과 한우
시니
2025-04-14 05:42
3
0
-
- 관련링크 : https://www.kdgmall.kr0회 연결
본문
일상에서 생각 깨우기 연습

도서명 : 일상에서 생각 깨우기 연습
저자/출판사 : 안성진, 타래
쪽수 : 272쪽
출판일 : 2018-03-15
ISBN : 9788982501043
정가 : 14000
Prologue. 변화는 생각에서 시작된다
Part 1. 책에서 꺼낸 생각들
할 수 있다는 사람과 만나다 《꿈이 없다고 말하는 그대에게》
소통을 위해 필요한 것 《나무와 말하다》
기억을 모두 잃는다면 인간이라고 할 수 없다 《살인자의 기억법》
지치면 지고 미치면 이긴다 《수레바퀴 아래서》
정신은 늙지 않는다 《노인과 바다》
좋은 부모를 만드는 무한 긍정의 힘 《너를 있는 그대로 사랑해》
책을 읽는 것은 삶을 읽는 것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모든 행복과 불행은 마음속에 있다 《수상한 고물상, 행복을 팝니다》
인생을 이해하는 또 다른 관점 《당신, 전생에서 읽어드립니다》
운명은 과학이다 《내가 춤추면 코끼리도 춤춘다》
놀란 자는 이루고 비웃는 자는 사라진다 《생각의 비밀》
사색이 필요할 때 읽는 책 《싯다르타》
공부벌레가 아닌 꿈벌레 되기 《10대, 나만의 꿈과 마주하라》
작고 가벼운 실천의 힘 《나는 고작 한번 해 봤을 뿐이다》
니체 철학에서 찾는 삶의 의미 《초인수업》
미술관에서 교양인이 되는 방법 《한국의 미 특강》
거짓말이 난무하는 세상 읽기 《왜 거짓말하면 안 되나요?》
복잡한 세상에서 현명하게 사는 법 《버려야 보인다》
감성을 자극하는 갓길 책 읽기 《마음의 눈에만 보이는 것들》
회사를 그만두고 싶을 때 읽는 책 《나는 이렇게 될 것이다》
시키는 대로 살 것인가, 내키는 대로 살 것인가 《이카루스 이야기》
책이 시키는 대로 해서 성공한 이야기 《책 읽고 매출의 신이 되다》
행복 처방 ‘감사합니다’ 《100감사로 행복해진 지미 이야기》
보이는 것을 제대로 보다 《보다》
실행 앞에서 머뭇거릴 때 《드림 레시피》
먼저 행동하면 걱정이 사라진다 《립잇업》
만 시간의 법칙을 벗어나다 《클릭 모먼트》
나를 죽이지 못한 것은 나를 더 강하게 만든다 《죽음의 수용소에서》
Part 2. 달리며 꺼낸 생각들
삶은 선택의 연속이다
나를 객관적으로 보는 방법
우리 몸은 적응력이 강하다
고통이 성장을 이끈다
색다른 경험이 나를 바꾼다
글쓰기는 인생 최고의 습관이다
나만 나를 바꿀 수 있다
독하게, 더 독하게
나를 응원해 주는 단 한사람
깜깜한 동굴 속에 사는 나는 누구일까?
걷다가 뛰는 즐거움을 맛보다
5초 안에 말해야 합니다
즉시 행복해지는 나만의 도구
비교에 능숙한 내가 행복해지는 방법
내 인생에 꼭 필요한 세 가지 습관
힘들 때 떠올려야 하는 것들
내가 갈 곳을 알기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들
지금 이 순간에 내가 해야 할 것들
좋아질 걸 알기에 견딘다
하루를 의미 있게 만드는 아주 쉬운 방법
내가 원하는 삶이 무엇인지를 항상 떠올려라
지혜롭게 사는 길
1초가 소중해야 시간을 귀하게 쓴다
같은 날은 없다
Part 3. 일상에서 꺼낸 생각들
나를 찾아가는 시간, 글쓰기
침묵은 금이 아니다
한번 더 생각하고 말하기
흔들리지 않고 사는 방법
매일 실행하면 만나는 기적
나의 인생을 50년 전통의 칼국수집처럼 만들어라
웃어서 손해 볼 일은 절대로 없다
일상에 좀 더 민감해지면 삶이 풍요로워진다
나는 누구인가!
내 인생에서 의미 없는 날은 없다
무언가를 떠올리는 습관
딱 오늘 하루의 목표를 정해 보자
나만의 만트라가 있는가?
매일 당신이 빠지지 않고 하는 일을 말해 달라
삶은 한 권의 책과 같다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
무기력하게 느껴질 때는 무조건 움직여라
사는 대로 생각한다는 것
생각하지 않아도 존재할 수 있다
버티는 힘을 길러라
아이들이 주는 맛
결과에 대한 성급한 기대는 포기를 부른다
사람은 평면이 아니라 입체다
하루를 최고로 만드는 2가지 감사한 일
건강검진 문진표가 내게 묻는 것
Epilogue. 나만의 1-1-1 법칙을 만들자
한민족과 한우

도서명 : 한민족과 한우
저자/출판사 : 이희훈, 현축
쪽수 : 372쪽
출판일 : 2018-05-10
ISBN : 9788985841283
정가 : 50000
제 1장 역사적 고찰
고조선 시대부터 가축으로 자리매김
고분벽화와 한우
고농서의 사육비법
제 2장 생태·생리학
분류학상 위치
다양한 분류방법
소의 기원
번식생리
소화생리
행동학
송아지의 행동 특성
연령 감정
유(乳) 성분
분뇨 배설량
제 3장 왜 한우가 민족의 뿌리인가
한우의 기원
치우천황(蚩尤天皇)과 한우
일본 고베의 한우 역사
우리 문화의 원형으로 선정된 「한우」
제 4장 신화와 전설
제주 삼성혈(三姓穴) 신화
견우(牽牛)와 직녀(織女)
흑기총(黑麒塚)
경북 선산(善山)의 의우도
전남 화순 의우총(義牛塚)
경북 구미의 의우총(義牛塚)
경북 상주 의우총(義牛塚)
그 밖의 의로운 소들
제 5장 한우와 민속
세시풍속(歲時風俗)
한우 삼신
민속놀이
- 양주 소놀이굿
- 영산 쇠머리대기
- 평산 소놀음굿
십이지(十二支)와 소
소 부적(符籍)
배내제도
소유권 분쟁 시 판정
윷판의 윷은 소(牛)
제 6장 소싸움
농경사회의 놀이문화에서 유래
싸움소는 6~7세가 전성기
싸움소의 주 무기, 뿔
체력단련과 기술연마 방법
소싸움 방식과 기술
제 7장 역용우 한우의 축력
역용으로의 한우
한우의 축력
경운기 등장으로 밀려나
제 8장 풍수지리와 소 그림(牛圖)
풍수지리와 소(牛)
소와 관련된 지명
- 우두동(牛頭洞) - 우두령(牛頭嶺)
- 우무도(牛舞島) - 우이령(牛耳嶺)
- 우금치(牛禁峙) - 우각현(牛角峴)
소 그림(牛圖)
십우도(十牛圖)
목우도(牧牛圖)
제 9장 고사성어와 문학
■ 고사성어
- 불언장단(不言長短)
- 할계언용우도(割鷄焉用牛刀)
- 구우일모(九牛一毛)
- 흑우생백독(黑牛生白犢)
- 계구우후(鷄口牛後)
- 교각살우(矯角殺牛)
- 기산영수(箕山潁水)
- 우골탑(牛骨塔)
■ 문학 작품
- 소를 끄는 노인(牽牛老翁-견우노옹)
- 고구려 정석가(鄭石歌)에 등장하는 소
- 막태우행(莫苔牛行, 소를 때리지 마라)
- 정래교의 老牛(늙은 소)
- 우음偶吟)
- 이상의 「권태」에 등장하는 소
- 유치진의 「소」
- 이광수의 「우덕송」
- 황순원의 소설 「황소들」
■ 영화
- 「소와 함께 여행하는 법」
- 「워낭소리」
제 10장 소 관련 속담과 꿈 해몽
■ 속담
- 황소 불알 관련
- 더위와 소뿔 관련
- 송아지 관련
- 황소 관련
- 늙은 소 관련
- 소고기 맛 관련
- 기타 소 관련
■ 꿈 해몽
- 집안의 길흉과 연결되는 소 꿈
- 소를 집안으로 데려오는 꿈
- 소가 자기를 죽이는 꿈
- 소를 끌고 가는 꿈
- 소가 집안으로 들어오는 꿈
- 소가 새끼를 낳는 꿈
제 11장 도입우와 한우 유출
도입우의 역사
한우의 유출
제 12장 한우개량의 역사
조선시대부터 태동
1920년대 이후 혈통보존, 보호우 제도 강화
1930년대 증식개량 시책
1950년대 후반기부터 증식기반 마련
1960년대 한우개량사업
1964년 종축 및 후보종축 검사기준 제정
1983년 한우개량사업소 설치
1992년 축산물등급판정제도 시행
2000년 한우개량농가 육성사업 추진
한우의 유전자 분석
제 13장 한우의 털색
검정소, 누렁소, 얼룩소
황갈색 심사기준
황갈색, 흑우, 얼룩소로 분류
백한우
얼룩소
제 14장 우시장 변천사
우시장은 5일장과 맞물려 운영
1914년 가축시장 제도화
1963년 축산법 제정, 질서 잡혀
1976년 경매제도 시행
제 15장 한우의 보험제도
국내 최초의 보험은 「한우보험」
가축재해보험
제 16장 한우와 생명공학
수정란 이식
쌍자(雙子) 생산
수정란 핵 이식 복제
형질전환
녹색형광한우
제 17장 소고기의 특성과 부산물
소고기의 특성
뿔에서 꼬리까지 약재(藥材)인 한우
부산물
부산물의 다양한 용도
제 18장 이력추적시스템과 초음파
육질검사
이력추적시스템
한우의 초음파 육질진단
제 19장 한우의 특수관리
거세
코뚜레
해로운 산야초
제 20장 제주 흑우와 한우방목
천연기념물 제주 흑우
FAO, DAD-IS에 등재된 한우
공동으로 한우 방목
제주 한우의 다양한 명칭
제 21장 한우고기는 소고기 그 이상
(以上)
한우고기의 우수성
올레인산 함량이 가장 많은 한우고기
맛 관련 아미노산 함량이 가장 높다
뛰어난 한우고기의 건강 기능성
제 22장 소고기의 부위별 특징 및 요리용도
부위별 소고기의 특징
요리용도에 적합한 부위
소고기 종류별 구분법
소고기 고르는 요령
소고기 품질 및 신선도 알아보는 법
특수부위 및 부산물
제 23장 고농서의 한우요리
설야멱방(雪夜覓方) : 소고기 구이
우육증방(牛肉蒸方) : 소고기찜
잡산멱방(雜散覓方) : 내장 꼬치구이
장산멱방(醬散覓方) : 꼬치를 장에 졸이기
조편포법(造片脯法) : 포뜨기
우협증방(牛脇蒸方) : 소 갈비찜
우협멱방(牛脇覓方) : 소갈비구이
우심멱방(牛心覓方) : 소 염통구이
우위방(牛胃方) : 소의 양요리
우장증방(牛腸蒸方) : 소 곱창순대
우족멱방(牛足覓方) : 소 족발구이
우미증방(牛尾蒸方) : 소 꼬리찜
타락죽(駝酪粥) : 우유죽
제 24장 빛바랜 역사속의 한우들
제 25장 전국의 재미있는 한우 상(像)들
참고·인용문헌
댓글목록0